빚은 '왕창' 소득은 '찔끔'…가계 연쇄 파산 우려
빚은 '왕창' 소득은 '찔끔'…가계 연쇄 파산 우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가처분소득대비 가계 부채 70% 육박 '사상 최대'..."올 상반기 분수령" 

[서울파이낸스 이양우 기자]'소득이 빚을 못따라 간다'  '가계의 빚갚을 능력이 갈수록 약화되고 있다' 명목 가처분소득 대비 가계 빚의 비율이 사상 최고 수준인 70%에 육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가계의 연쇄 파산 가능성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높다.

한국은행은 17일 지난해 9월 말 기준으로 가계 신용이 712조 7천971억 원으로, 1년 전보다 5.4% 늘었다고 밝혔다. 반면, 총처분가능소득은 1천43조 천988억 원으로 1.5% 늘어나는 데 그쳤다.

이에 따라, 총처분가능소득 대비 가계 빚의 비중은 68.3%로 2.5% 포인트 상승했다. 사상 최대 규모다. 그만큼 가계의 빚갚을 능력이 약화됐다는 뜻을 내포하고 있다.

특히, 자산가격 상승을 감안한 실질가격 기준인 실질 가처분 소득대비 가계 부채의 비율은 1,2분기가 각각 81%, 3분기가 80%로 지난 2003년 1분기 이후 처음으로 80%를 넘어섰다. 이는, 주가나 부동산 가격을 감안해 가계가 실제로 느끼는 빚 부담을 뜻하는 것. 이는, 6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지난해 9월 말 현재 실질 가계부채(가계, 개인사업자의 대출 및 판매신용)는 436조1천억원. 이는, 9월 말 기준으로 계산한 직전 1년간 실질 가처분소득의 약 80%에 해당하는 규모다. 6월 말 기준과 3월 말 기준으로 실질 가계부채를 가처분소득으로 나눈 비율은 약 81%였다. 명목 기준으로 계산한 가계부채 비율보다 10%포인트 이상 높다.

실질 가계부채는 부동산 가격과 주가지수를 디플레이터로 삼아 명목 부채를 가공한 수치이며, 실질 가처분소득은 일반물가를 디플레이터로 삼아 계산된 수치다. 부채와 소득의 규모를 단순 비교하는 게 아니라, 부동산과 주식 가격의 등락에 따라 대출자들이 피부로 느끼는 빚 부담을 측정하기 위한 것.

일례로, 명목 가계부채가 10% 줄었더라도 부동산 가격이 15% 하락했다면 실질 가계부채는 5% 늘어나 실제 느끼는 빚 부담이 그만큼 무거워진다는 얘기다. 명목 가처분소득이 5% 늘었더라도 일반물가가 10% 상승했다면 실질 가처분소득은 5% 줄어든게 된다.

때문에, 가계 재정의 연쇄 부실 우려감 그 어는 때보다 높다. 같은 맥락에서, 올 상반기가 위기의 분수령이 될 것이라는 지적이 적지 않다.

가계 가처분소득 대비 부채비율이 일부 선진국보다는 낮지만, 지속적으로 올라가고 있어 금리가 상승하면 저소득 가계부터 빠르게 부실해질 가능성이 높다는 게 전문가들의 중론이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