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 은행이자부담, 내년 상반기 12조 넘어"
가계 은행이자부담, 내년 상반기 12조 넘어"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올해 실질이자부담 증가율 2004년 이후 최대 

내년 상반기 가계가 은행에 내야 하는 이자가 12조 원을 훌쩍 넘을 것으로 분석됐다.

올 들어 지난 9월까지 가구당 이자 지출액이 사상 최고치를 기록한 상황에서 이처럼 이자부담이 계속 늘면 소비 측면에서 경제 회복에 장애물이 될 것으로 보인다.

더구나 소득이 기대만큼 늘지 못할 경우 가계와 금융회사의 동반 부실이 걱정되기 때문에 대책을 서둘러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내년 상반기 은행이자 12조 넘을듯
23일 삼성경제연구소에 따르면 내년 상반기 가계의 예금은행 대출이자 부담은 대략 12조3천억 원에 이를 전망이다.

분기별로는 이자부담이 올해 4분기 5조5천억 원에서 내년 1분기 6조 원, 내년 2분기 6조3천억 원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됐다.

이같은 전망은 내년 1분기와 2분기 가계대출이 각각 414조1천억 원과 419조8천억 원으로 늘어날 것이라는 가정에 바탕을 뒀다. 전분기 대비로 약 1.2%씩 대출규모가 늘어난다는 가정이다.

연구소는 "가계대출 증가세를 보수적으로 잡고 평균 대출금리는 올해 4분기 5.40%, 내년 1분기 5.80%, 내년 2분기 6.00%를 각각 대입했다"며 "지난 2분기 가계대출이 전기대비 약 2% 증가하는 등 최근의 증가세를 감안하면 실제 대출이자 부담은 더 많을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연구소 전망대로 대출규모가 늘고 대출금리가 오를 경우 올해 상반기보다 가계의 은행 이자부담이 2조원 넘게 불어나게 된다. 올해 상반기 가계의 은행 이자부담은 10조1천억 원으로 집계됐다.

비은행 금융기관의 이자까지 포함하면 가계의 이자부담은 더욱 늘어나게 된다.


◇올해 1~9월 이자지출 가구당 60만원
가계의 이자지출은 이미 눈덩이처럼 커지고 있다. 금리 수준은 낮지만 가계의 대출규모가 꾸준히 늘었기 때문이다.

통계청 가계수지동향에 따르면 올해 1~9월 가구당 이자 지출액은 59만8천 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7.8% 늘었다. 이 금액은 관련 통계가 나오기 시작한 2003년 이후 가장 많다.

1~9월 기준 이자지출은 ▲2004년 36만5천 원 ▲2005년 38만2천 원 ▲2006년 39만2천 원 ▲2007년 43만 원 ▲2008년 50만8천 원이었다.

통계청 관계자는 "금융위기 이후 가계부채가 많이 늘면서 이자지출이 증가했다"며 "통계청에서 조사하는 이자지출은 금융기관 뿐 아니라 친구나 친지에게 돈을 빌린 데 따른 이자까지 포함한다"고 설명했다.

2005년을 기준으로 삼은 실질이자부담 증가율은 올해 1~9월 14.5%로 관련통계가 나오기 시작한 2004년 이후 최고치였다. 1~9월 증가율은 2005년 2.0%, 2006년 0.3%, 2007년 7.3%, 2008년 12.7%였다.

실질이자부담 증가율은 물가 상승분을 제외한 것이다. 따라서 이자부담이 많이 늘더라도 물가상승률이 높으면 실질이자부담은 상대적으로 덜 증가한다.


◇전문가들 "가계부실 뇌관 우려"
가계대출은 내년 우리 경제를 위협할 `3고'의 하나로 꼽힌다. 3고란 고유가, 원(元)고, 고금리를 뜻하는데 이 가운데 금리가 오를 경우 가계대출 증가세와 맞물려 경제에 부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삼성경제연구소 황인성 연구위원은 "가계는 금리 상승으로 이자부담이 커져 피부로 느끼는 경기는 나빠질 것"이라며 "당국은 기준금리 인상 시기를 잘 조율하고, 은행은 가계와 금융의 동반 부실을 예방하는 데 주력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현대경제연구원 박덕배 연구위원은 "은행들이 금리 하락기와는 달리 금리 상승기에는 기준금리와 같은 폭으로 대출금리를 올릴 것으로 예상된다"며 "가계의 이자부담이 커지는 데 따른 소비 위축이 우려된다"고 말했다.

공급(대출)과 가격(금리)은 기본적으로 시장에서 결정되는 게 원칙이지만, 이중삼중의 안전장치도 마련해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조언했다.

박 위원은 "주택담보대출을 선진국처럼 장기 대출로 전환하도록 유도해 이자 상환 부담을 완화해 줘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국경제연구원 이태규 연구위원은 "장차 예상되는 금리 상승기에 소비자 금융에서 신용 경색이 발생하지 않도록 정책금융과 미소금융, 창업 지원제도 등을 활성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