車업계, 장기파업 사례는
車업계, 장기파업 사례는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대우차, 만도기계 등과 닮은 점 많아

쌍용차 노조의 공장 점거파업 사태가 6일 노사간 극적 타협으로 해소되면서 그동안 자동차 업계에서 빚어졌던 장기 파업 사례들이 다시 조명을 받고 있다.

쌍용차가 막대한 파업 손실을 만회하고 회사를 정상화하려면 과거의 유사 사례에서 해결방안을 구하거나 반면교사로 삼을 필요성이 있기 때문이다.

국내 자동차 업계에서 대규모 인력 구조조정에 반발한 노조의 총파업 사태는 대체로 대내외적인 경제조건 속에서 회사가 경영위기를 맞으면서 발생했다.

특히 회사가 자구책으로 대량 감원계획을 통보하고 이에 반발한 근로자들이 공장을 멈추면서 커다란 생산차질이 발생한 점, 노사가 감원 규모에 대한 입장차를 좁히지 못해 결국 공권력이 생산현장에 투입된 점 등이 쌍용차 사태와 유사하다.

우선 1998년 18일간 파업을 벌였던 자동차 부품업체 만도기계 근로자들의 파업을 유사사례로 꼽을 수 있다.

당시 만도기계는 IMF 외환위기로 인한 완성차 업체의 판매 부진으로 매출이 급락했고 사측이 경영 정상화 방안의 일환으로 1천90명을 정리해고하겠다는 방안을 통보하자 노조가 전면 파업에 들어갔었다.

결국 공권력이 동원돼 사태가 해결됐지만 만도기계는 파업에 따른 생산차질로 960억원에 이르는 매출 손실을 봤다.

2001년에 발생한 대우자동차 파업 사태는 쌍용차의 이번 파업과 닮은 점이 더 많다.

두 회사 모두 법정관리 상태였던 완성차 업체라는 사실이나 희망퇴직을 포함한 전체 감원 규모가 2천명을 넘었던 점, 회사 매각 문제가 맞물려 있었던 점 등이 비슷하다.

대우자동차는 대우그룹의 과도한 차입 경영이 IMF 외환위기를 거쳐 허점을 드러내면서 경영난을 겪었고 2000년 최종부도를 낸 뒤 법정관리에 들어갔다.

회사는 직원 6천884명을 줄이기 위해 희망퇴직을 실시했고 생산직 근로자 2천794명을 해고하겠다는 계획을 추진하자 노조가 각 사업장에서 파업에 돌입했다.

파업 기간에 노사는 여러차례 교섭을 벌였고 회사에서는 무급휴직과 인력 전환배치 등으로 정리해고 규모를 조정한 수정안을 노조에 제시하기도 했다.

파업이 해결되지 않자 경찰 병력이 부평공장 등에 투입됐고 근로자 1천700여명이 정리해고되는 선에서 생산중단 사태는 마무리됐다.

회사를 떠난 1천700여명 중 1천600명 가량은 2년에 걸쳐 단계적으로 GM대우로 복직했다.

대우자동차 사례가 이번 쌍용차 파업 건과 비슷한 점이 많지만 회사가 처한 경영상황에서는 차이가 크다고 업계 관계자들은 지적하고 있다.

대우자동차는 파업에 따른 손실이 컸지만 이후 영업흑자를 내는 등 빠르게 생산력을 회복해 법정관리 상태를 유지하다 2002년 GM에 매각됐다.

그러나 쌍용차는 전면 파업만을 따지면 한 달을 넘기지 않았던 것으로 알려진 대우자동차보다 생산중단 기간이 훨씬 길고 시설 훼손 정도가 심해 자체 생존 경쟁력이 떨어진다는 것이다.

대우자동차의 경우, 파업 당시 인수 의사를 표시했던 해외 업체들이 많았지만 쌍용차는 인수 후보로 거론할만한 업체가 뚜렷이 나오고 있지 않다는 점도 다르다.

완성차 업계의 한 관계자는 "쌍용차가 파업 사태를 마무리하고 회생을 도모하려면 어떻게 해서든 유동성을 확보하고 생산을 시급히 정상화시켜야 한다"며 "법정관리 상태를 유지하거나 다른 업체에 매각되려면 생존력을 보여줘야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