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화신용보고서②] 2%대 물가 달성시기 지연···고금리 장기화 '불가피'
[통화신용보고서②] 2%대 물가 달성시기 지연···고금리 장기화 '불가피'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11월 물가상승률 3.3%···"추세적 둔화 흐름 재개"
"금리인하 시점, 미국·EU보다 늦은 내년 3분기쯤"
서울 시내 대형마트에 라면 판매대 모습. (사진=연합뉴스)
서울 시내 대형마트에 라면 판매대 모습. (사진=연합뉴스)

[서울파이낸스 신민호 기자] 향후 국내 물가상승률의 둔화 흐름이 재개될 것이나, 목표수준(2%)에 수렴하는 시기가 지연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누적된 비용상승 압력과 국제유가·환율 등 다양한 불확실성 요인의 영향이다.

이 때문에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인하가 가시화됐음에도, 국내 기준금리는 현재 높은 금리 수준을 장기간 이어갈 전망이다.

14일 한국은행은 '12월 통화신용정책보고서'를 통해 이 같이 전망했다.

앞서 국내 소비자물가 상승률(전년 동기 대비)은 상반기 중 뚜렷한 둔화 흐름을 보이며, 지난 7월 2.3%까지 떨어졌다. 이후 석달 연속 오름폭이 확대되면서 10월 3.8%까지 높아졌지만, 11월 중 3.3%까지 둔화된 상태다.

이에 대해 한은은 "에너지 가격 하락으로 기저효과가 소멸했지만, 높은 원자재 대외 의존도로 2차 파급 효과가 장기간 지속되고 있다"며 "실제 상품물가가 경직적인 모습을 보이면서 7월 이후 근원물가 상승률이 완만하게 하락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 결과 일반인과 전문가의 1년기대인플레이션도 각각 3.4%, 3%로 전분기 대비 소폭 상승했다. 특히 상대적으로 넓은 범위의 정보를 활용하는 전문가 기대인플레이션이 확대된 점은, 물가상승률 둔화에 소요되는 기간이 예상보다 장기화될 수 있다는 우려를 반영하고 있다.

결과적으로 추세적인 물가 둔화흐름은 재개되겠지만, 목표치 도달은 지연될 것으로 예상된다. 한은 관계자는 "누적된 비용 상승 요인으로 인한 2차 파급효과, 국제유가와 환율 변동, 공공요금 등과 관련한 정부 정책, 연말연초 가격조정 집중 가능성 등 관련 리스크 요인을 주의 깊게 살펴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더 긴 시계에서는 글로벌 무역체제 분절화, 기후 변화, 친환경 체제 전환 등에 따라 물가 상승 압력이 구조적으로 높아질 가능성도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 같은 견조한 물가상승세는 국내 고금리 장기화 가능성을 지지한다. 앞서 한은 금통위는 국내 경제성장세가 개선 흐름을 이어가는 가운데, 물가경로가 당초 전망보다 높아질 것으로 예상했다. 이에 물가상승률이 목표수준으로 수렴할 것이라는 확신이 들 때까지 통화긴축 기조를 충분히 장기간 지속한다는 방침을 내세운 바 있다.

이는 지난 12~13일(현지시간) 진행된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를 통해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금리인하 논의를 시작한 것과 대비된다. 현재 시장은 미국, EU 등이 이르면 내년 2분기부터 금리를 인하할 것으로 보고 있으며, 우리나라의 경우 그보다 늦은 3분기가 언급되고 있다.

조용구 신영증권 연구원은 "지난 수정경제전망을 통해 금통위는 물가목표 도달 시점을 내년말 이후로 언급했다. 이는 동결 기조가 6개월 이상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며 "조건들을 고려하면 금리 인하는 내년 3분기에 시작될 것이며, 연간 인하 폭은 50bp(2회)로 제한될 것으로 보고 있다"고 전했다.


관련기사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