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초정밀·대규모 위치인식 시스템 세계 최초 개발
KAIST, 초정밀·대규모 위치인식 시스템 세계 최초 개발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방해 신호 주파수 영역과 완전 분리···신호 질 100만배 이상 향상
XR 내 다량의 사물인터넷은 손가락 움직임으로 쉽게 제어 가능
밀리미터파 후방산란 태그 100개를 1제곱미터 안에 배치해 동시 위치 실험을 진행하는 모습. (사진=KAIST)
밀리미터파 후방산란 태그 100개를 1제곱미터 안에 배치해 동시 위치 실험을 진행하는 모습. (사진=KAIST)

[서울파이낸스 이도경 기자] 카이스트(KAIST)가 초정밀 위치 인식기술로 사물인터넷(IoT) 기기와 로봇의 미세한 움직임을 조종하고, 나아가서는 초실감형 확장현실(XR) 및 초정밀 스마트 팩토리 등 가상 세계에서 현실과 연결을 시키게 하는 인식기술을 세계 최초 개발했다.

KAIST는 전기및전자공학부 김성민 교수 연구팀이 무전원 태그를 통해 세계 최초로 160m 장거리에서 7mm(5m 단거리 0.35mm)의 정확도와 1,000개 이상의 위치를 동시 인식하는 초정밀·대규모 사물인터넷 위치인식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8일 밝혔다.

연구진은 이번 최초 개발한 무선 태그의 신호가 방해 신호와 주파수 영역에서 완전히 분리돼 신호의 질을 100만배 이상 향상시킨다고 설명했다. 이를 이용해 초정밀 위치 인식이 가능해지는 원리다.

또 연구진은 해당 기술을 접목하면 XR에서 다량의 사물인터넷을 손가락의 미세한 움직임만으로 쉽게 제어할 수 있는 등 몰입감을 크게 높일 수 있으며, 1000개 이상의 태그를 0.5초 이하에 동시 인식할 수 있어 수많은 기기를 실시간 조작할 수 있다고 전했다.

이 기술은 현존하는 실내외 위치인식 기술 중 작동 범위, 정확도 및 규모에서 성능이 월등해 그 의미가 깊다. 특히 최신 실내 측위 기술인 차세대무선기술(UWB)에 비해 300배의 정확도, 10배의 탐지 거리, 100배의 확장성을 갖는다.

이를 통해 현재보다 훨씬 많은 기기를 정밀하게 다룰 수 있으며, 실외 측위에 한정되는 GPS 위치 익식 기술과 달리 다양한 실내외 환경에서도 활용될 수 있다.

해당 기술의 태그는 스스로 무선 신호를 생성하는 대신, 거울과 같이 주변의 신호를 반사해 통신한다. 신호 생성에 필요한 전력을 아낄 수 있어 초저전력으로 동작한다..

배강민 KAIST 전기및전자공학부 배강민 박사과정과 문한결 박사과정이 공동 주 저자로 참여한 이번 연구는 모바일 시스템 분야의 최고 권위 국제 학술대회인 'ACM 모비시스(ACM MobiSys)' 2023에 지난 6월 발표됐다.

김성민 교수는 "이번 성과를 통해 스마트팩토리 등 산업체를 넘어, XR 등 민간에서도 포괄적으로 사용가능한 IoT(사물인터넷) 상호적용 기술로, 전방위적인 위치인식 기술의 보급을 가능하게 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