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축銀, M&A 본격화 되나
저축銀, M&A 본격화 되나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은행·기업들 '눈독'...대형사들, 덩치키우기 '관심'  

[서울파이낸스 문선영 기자]<moon@seoulfn.com>저축은행업계에  M&A 바람이 불 조짐이다. 예금보험공사에서 예한울저축은행과 분당저축은행을 동반매각하는 방침을 확정했고 이 외에도 부실저축은행들이 계속 매물로 나오고 있는 것. 이에 서민금융진출을 희망하고 있는 은행들과 기업들이 관심을 보이고 있으며 영업망을 확대하고자 하는 대형 저축은행들도 M&A시장을 주목하고 있다.
25일 금융권에 따르면 새누리와 전일, 예한울, 분당, 현대 등 5개 저축은행의 매각 작업이 예정돼 있다. 이 가운데서 예한울저축은행과 분당저축은행은 예보에 의해 동반매각하는 방침이 정해졌다. 이 밖에도 건전성에 문제가 있어 증자가 시급한 것으로 나타난 10개 저축은행들이 매물로 나올 가능성이 있다고 점쳐지고 있다. 특히 대전, 고려 등은 BIS자기자본비율이 국제결제은행 기준 자기자본비율이 5% 미만이어서 적기시정조치 대상으로 관리를 받고 있다. 이들이 증자에 실패할 경우 인수합병(M&A) 시장에 매물로 나올 가능성이 높다. 또한 BIS비율이 감독기준에 근접 하지만 고정이하 여신비율이 높아 자칫하면 적기시정조치 대상에 편입될 가능성이 높은 저축은행도 7개 인것으로 알려졌다. 이들 역시 상황에 따라 M&A시장에 나올 가능성이 있다고 저축은행업계는 내다보고 있다.
이처럼 M&A 매물이 쏟아지고 있는 것은 부동산 경기 침체로 저축은행들이 한동안 적극적으로 영업에 나섰던 PF대출의 부실이 우려되는 등 경영여건이 날로 악화되는데 따른 것이다.
M&A매물이 증가 추세를 나타내자 서민금융진출을 희망해 왔던 시중은행들과 대기업들이 저축은행 인수에 적극 나설 전망이다. 올초부터 서민금융진출에 대한 의사를 적극 밝혀왔던 국민은행은 캐피탈사나 저축은행 인수를 통한 서민금융진출을 계획 중이다. 강정원 국민은행장은 지난 달 4일 월례조회에서도 "올해 중으로 소비자 금융에 진출할 것"이라며 "시너지효과가 예상되는 국내외 금융회사에 대한 추가적 M&A에도 적극 관심을 가질 것"이라며 M&A를 통한 서민금융 진출 의지를 재확인했다.
대기업들 역시 저축은행 인수에 관심을 보이고 있다. 이미 STX와 아주그룹은 저축은행업에 진출했으며 동양, 웅진, 두원 등과 같은 대기업도 저축은행 인수를 적극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해 저축은행의 한 관계자는 "규모면에서 월등한 은행이나 막강한 자본력의 대기업들이 저축은행을 인수할 경우 기존 저축은행들의 영업여건이 상당히 어려워 질 것"이라며 우려를 나타냈다. 또 다른 관계자는 "은행과 저축은행은 상당히 다르며 이미 저축은행 경영에 한 차례 실패한 경험이 있는 은행들이 저축은행을 인수한다해서 상황이 달라지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대형저축은행들 역시 저축은행 인수·합병에 큰 관심을 보이고 있다. 지점 신설 시 본점이 위치한 지역권 내에서만 지점신설이 가능한 영업제한 규제가 폐지되지 않는 한 영업망을 확대하기 위해서는 M&A가 필수적이다. 이에 HK저축은행은 지난3월 부산의 동광저축은행을 인수해 영업망을 부산으로 확대했으며 솔로몬저축은행 역시 지난 2006년과 2007년에 전북지역의 나라저축은행과 경지지역의 한진저축은행을 인수한 바 있다.
규모확대를 통해 경쟁력을 확보해야 하는 대형사들은 계속해서 M&A시장을 주시하고 있다. 문제는 최근 저축은행들이 부동산 경기 침체로 인해 PF대출 연체율이 급등하고 실적이 줄어드는 등 영업환경이 나빠져 M&A를 추진하기에 다소 무리가 있다는 점이다. 또한 낮아졌다고는 하지만 여전히 높은 프리미엄도 걸림돌이다. SC저축은행이 올해 인수한 예아름저축은행은 자본금이 280억에 불과했지만 무려 1천억원이 넘는 프리미엄이 붙어 1천500억원에 매각됐다.
저축은행 관계자는 "영업망을 확대할 수 있다는 것은 상당히 매력적이지만 프리미엄이 문제"라며 "시중은행들과 대기업까지 뛰어들면 잠시 하락했던 프리미엄이 다시 상승할 수 도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규모를 확대하지 않고서는 향후 금융시장에서 살아남기 어렵다는 인식이 지배적이기 때문에 저축은행간 M&A 역시 활발해 질 수밖에 없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견해이다.   
 
문선영 기자 <빠르고 깊이 있는 금융경제뉴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