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확산, 작년 대졸 취업자 1~2년차 연봉 2% 감소"
"코로나19 확산, 작년 대졸 취업자 1~2년차 연봉 2% 감소"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국은행 '고용상황 악화가 신규 대졸자에 미치는 장단기 영향'
(사진=한국은행)
(사진=한국은행)

[서울파이낸스 김희정 기자] 지난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으로 고용 시장이 얼어붙으면서 대졸 신규 취업자의 1∼2년 차 연봉이 2% 넘게 감소했을 것이라는 추산이 나왔다.

한국은행 오상일 차장과 이상아 조사역은 15일 '고용상황 악화가 신규 대졸자에 미치는 장단기 영향' 보고서에서 이렇게 분석했다.

연구진은 비교적 시계열이 긴 한국노동패널(1998∼2019년)을 통해 고용상황 악화의 영향을 분석했다. 특히 노동시장 충격이 신규 졸업자에 미치는 장기적 영향을 명확히 식별하고자 범위를 신규 대졸자로 한정했다.

분석 결과 경기 침체에 따른 실업률 상승은 신규 대졸 취업자의 임금을 줄일 뿐만 아니라 그 영향이 입사 3∼4년 차까지 이어졌다.

졸업 연도 실업률이 1%p 상승하면 1∼2년 차 연간 임금이 4.3% 적었고, 3∼4년 차에는 2.3% 줄었다.

오상일 차장은 "평균적으로 과거 10∼20년 평균 실업률이 3.5%였고, 작년 실업률이 4%였다"며 "작년에는 평년보다 실업률이 0.5%p 올랐으므로 신규 대졸 취업자의 1∼2년 차 임금은 2.15% 줄었다고 추정할 수 있다"고 말했다.

시간이 흘러도 임금이 회복하지 못하는 것은 일종의 상흔 효과(scarring effect)로, 하향 취업 증가, 기술 축적 기회 상실, 비효율적인 구직활동, 승진 기회 부족 등이 주요 요인이라는 게 연구진 설명이다.

대학별로는 중·하위권과 2년제 대학 신규 졸업자에게 부정적인 충격이 더 컸다. 전공으로 나눠 보면 인문계 졸업자가 가장 큰 손해를 봤지만, 직업적 특성이 강한 의약·사범 계열에는 영향이 미미했다.

또 대학 졸업 당시에 발생한 노동시장 충격은 대기업 취업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추정됐다.

분석 결과 졸업 연도 실업률이 1%p 오르면 대기업 취업 가능성이 1∼2년 차에 3.5%p, 3∼4년 차에 2.3%p 내려갔다.

작년 실업률을 대입하면 졸업 1∼2년 차에 대기업에 입사할 확률이 1.75%p만큼 떨어지는 셈이다.

졸업 연도의 실업률 상승으로 남성은 5∼6년 차까지 2∼5% 임금이 줄었으나 여성은 임금 손실률(0.7∼2.9%)이 비교적 낮았다. 여성의 경우 결혼과 고용 간 음(-)의 상관 관계가 높은 영향이라는 게 연구진의 설명이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