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년간 공매도 500조 육박···삼성전자·SK하이닉스 시총合 뛰어넘어
5년간 공매도 500조 육박···삼성전자·SK하이닉스 시총合 뛰어넘어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13일 '공매도의 시장 영향 및 바람직한 규제 방향' 토론회에 참석한 참석자들이 토론을 진행하고 있다.(사진=한국거래소)<br>
지난 8월 '공매도의 시장 영향 및 바람직한 규제 방향' 토론회에 참석한 참석자들이 토론을 진행하고 있다.(사진=한국거래소)

[서울파이낸스 김호성 기자] 국내 주식시장의 공매도 거래 금액이 최근 5년동안 500조 원에 육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달 29일 종가 기준 코스피 시총 1위 삼성전자(약 374조원)와 2위 SK하이닉스(약 61조원)의 합산 시가총액보다 큰 규모다.

5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이정문 의원이 한국거래소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15년부터 지난해까지 공매도 거래 금액은 498조원에 달했다. 연도별로는 2015년 87조원에서 2016년 84조원, 2017년 95조원, 2018년 128조원, 2019년 103조원이다. 이 기간 공매도 거래 금액은 41조원(18.5%) 불어났으며 합산 금액은 498조원에 달했다.

투자자별 비중은 외국인 투자자는 2015년 73%에서 2019년 63%로 줄었고 기관투자자는 25%에서 36%로 확대됐다. 개인 투자자들이 5년간 공매도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1%에 그쳤다.

수익률로 보면 공매도를 적극적으로 활용한 외국인과 기관 투자자보다 개인 투자자의 성적이 저조했다.

유가증권시장에서 최근 3년간 투자자별 순매수 상위 10개 종목의 평균 수익률은 외국인 31.5%, 기관 21.7%, 개인 -0.46% 순이었다.

이정문 의원은 "정보 접근성과 자본 동원력에서 기관과 외국인 투자자에 뒤처지는 개인 투자자는 공매도 제도에 접근 자체가 어려워 상대적 박탈감을 느낄 수밖에 없다"며 "금융위원회가 내년 3월까지 공매도 금지 조치를 연장한 만큼 남은 기간 개인 투자자들이 소외되는 일이 없도록 제도 기반을 마련하고 무차입 공매도에 대한 처벌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