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권 정규직 전환 '마무리'…'중규직' 논란
은행권 정규직 전환 '마무리'…'중규직' 논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대다수 은행들, 지난해까지 합의도출
하나·경남·광주銀, 이달 중 논의 재개
 
[서울파이낸스 공인호 기자]<ihkong@seoulfn.com>지난해 3월 우리은행發 정규직 전환 바람이 시중은행들은 물론 지방은행들과 국책은행으로까지 확산되면서 올 초까지 은행권의 정규직 전환이 마무리될 전망이다.
그러나, 각 은행들의 정규직 전환 방식이 다소 차이점을 드러내면서, 일부 은행들의 경우 '무늬만 정규직', 혹은 '중규직'이라는 논란이 일고 있다.
 
우리은행은 지난해 3월 은행권 최초로 3000여명에 달하는 비정규직 직원들을 정규직으로 전환했다. 우리은행의 정규직 전환모델인 '분리 직군제'는 비정규직의 직군을 정규직과 분리해 고용은 보장하되 임금차별은 유지할 수 있게 한 제도이다.
은행권에서 정규직 전환의 첫발을 내딛었던 만큼 우리은행의 정규직전환에 대해 긍정적인 평가가 대체적이었으나, 노동계는 차별을 구조적으로 정당화하는 결과를 낳을 것이라는 우려를 표하기도 했다.
우리은행의 정규직 전환이 전격 발표되자 여타 은행들도 서둘러 비정규직 처우개선에 대한 협의를 시작했다.
 
이후 외환은행과 기업은행이 장기적으로 고용보장을 약속하는 '무기계약직' 전환이라는 해법을 내놨다.
외환은행은 전체 계약직 직원의 2/3에 해당하는 1000여명을 무기계약직으로 전환시켰으며 기업은행은 지난해 700여명을 무기계약직으로 전환시킨데 이어 내년까지 단계적으로 1500명으로 확대 적용한다는 계획이다.
무기계약직에 대해서도 직군제와 마찬가지로 임금이나 직급체계를 정비하려는 의도가 깔린게 아니냐는 지적과 함께, 고용 안정성 측면에서는 정규직에 비해 떨어질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국민은행과 신한은행 노사는 지난해 12월 비정규직 처우개선에 대해 전격 합의했다.
국민은행은 8,350명의 비정규직 직원 가운데 3년 이상 근속한 5천여명을 올해 초 무기 계약직으로 전환하고 나머지 비정규직도 단계적으로 전환키로 합의했다.
신한은행도 비정규직 1500명 가운데 1000명을 정규직 350명, 무기계약직 650명 등으로 전환키로 합의하고 2009년 6월까지 단계적으로 진행키로 했다.

한편 은행권에서 가장 많은 비정규직을 보유하고 있는 농협의 경우 각 부서별 특성을 감안해 2009년까지 단계적으로 정규직 전환을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농협은 지난해까지 경제·유통 관련 부서 500여명과 기능직 600여명을 정규직으로 전환한데 이어 올초 텔러직원 800여명을 정규직으로 전환할 예정이다.
 
지방은행들의 비정규직 처우개선도 마무리 단계다.
지방은행 최초로 비정규직 처우방안을 제시한 부산은행은 지난해 7월 1일자로 비정규직 606명 전원을 정규직으로 일괄 전환했다.
우리은행의 직군제와는 달리 부산은행은 기존 정규직의 하위직급을 새로 만들어 비정규직의 차별고착화를 어느정도 해결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후 전북은행이 올해 1월, 70명을 정규직으로 전환한데 이어 7월까지 나머지 사무텔러직 직원과 전문직 직원, 서무직 직원 전원을 정규직으로 전환한다는 계획이다.
대구은행도 이달 중 기존 정규직의 하위직급을 새로 만들어 비정규직 660명 전원을 정규직으로 일괄 전환한다. 
 
지난해 노사간 합의점을 찾지 못한 하나은행과 경남 광주은행 등은 올해 초 노사협상을 재개한다는 방침이다. 경남은행 관계자는 "여타 은행들에 비해 합의가 늦어진만큼 좀더 안정적이고 개선된 방안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공인호 기자 <빠르고 깊이 있는 금융경제뉴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