흑린에서 '유사스핀 반도체' 발견···"적은 전력에도 성능 우수"
흑린에서 '유사스핀 반도체' 발견···"적은 전력에도 성능 우수"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김근수 연세대 교수팀…'유사스핀트로닉스' 차세대 반도체 연구분야 개척
유사스핀 반도체가 발견된 흑린의 결정 구조. (사진=한국연구재단)
유사스핀 반도체가 발견된 흑린의 결정 구조. (사진=한국연구재단)

[서울파이낸스 윤은식 기자] 국내연구진이 검은 빛을 내는 신소재 ‘흑린(black phosphorus)에서 새로운 종류의 반도체를 발견했다.

한국연구재단은 김근수 연세대 교수 연구팀이 흑린에서 ‘유사스핀 반도체’를 발견했다고 4일 밝혔다. 유사스핀 반도체는 기존 반도체에 비해 더 적은 전력 소모로 더 우수한 성능이 기대된다는 설명이다.

흑린은 원자번호 15번인 ‘인(P)’ 원자가 주름진 벌집 모양으로 배열된 물질이다. 일반적으로 성냥머리에 사용하는 ‘적린’이나 폭약에 쓰는 ‘백린’과 다르게 안정돼 있는 특징을 지닌다. 

반도체 기술은 외부 전기신호로 전자의 흐름을 제어하는 방식으로 정보를 전달하고 저장한다. 연구진은 흑린의 독특한 성질인 유사스핀을 활용할 경우, 외부 전기신호로 유사스핀의 방향을 제어하는 방식으로 보다 효율적인 정보처리가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유사스핀은 두 개의 부분 격자를 갖는 물질에만 나타나는 전자의 새로운 성질을 말한다. 전자의 스핀과 유사한 성질을 갖기 때문에 유사스핀이라 부른다.

물질의 구성 원자가 벌집 모양으로 배열된 경우 전자의 유사스핀이란 새로운 성질이 나타난다. 이 유사스핀이 정렬돼 제어할 수 있는 물질은 존재하지 않았다. 그런데 연구팀은 물질의 벌집구조에 특정 방향으로 주름이 생길 경우 유사스핀이 그 방향으로 정렬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에 연구진은 주름진 벌집구조를 갖는 흑린에서 유사스핀의 방향을 측정했고, 그결과 95% 이상이 한 방향으로 정렬돼 있음을 확인했다. 연구진은 “물질 속 전자의 유사스핀 방향을 측정할 수 있는 실험 기법도 직접 고안해 사용했다”고 설명했다. 

특히 이 정렬현상은 고온까지 안정적이고, 흑린의 두께와 무관하게 나타나 활용성이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팀은 유사스핀 반도체의 상용화를 위한 후속 연구로 유사스핀 반도체를 이용해 유사스핀 거대자기저항효과 발견에 도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거대자기저항효과는 전자의 스핀 정렬방향에 따라 높은 자기저항비가 나타나는 현상으로 하드디스크 등에 활용된다. 

김 교수는 “자성반도체의 발견이 스핀트로닉스 분야를 개척한 사례에 비춰 볼 때 유사스핀 반도체의 발견은 ‘유사스핀트로닉스’라는 차세대 반도체 연구의 신생 분야로 이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이날 국제학술지 ‘네이처 머티리얼즈(Nature Materials)’에 실렸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