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주 韓銀 금통위 관전 포인트 '소수의견'·'경제성장률 전망'
이번주 韓銀 금통위 관전 포인트 '소수의견'·'경제성장률 전망'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기준금리는 1.50% 동결 유력…성장률 전망치 0.1% 하향 예상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 (사진=한국은행)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 (사진=한국은행)

[서울파이낸스 김희정 기자] 이번주 한국은행은 금리를 결정하는 금융통화위원회를 개최한다. 기준금리를 현 1.50% 수준으로 동결할 것이라는 예상이 지배적인 가운데, 이번 금통위의 관전 포인트는 금리인상 소수의견 등장과 올해 하반기 경제성장률 전망치 수정 여부로 좁혀진다. 

오는 12일 예정된 금통위를 앞두고 전문가들은 연 1.50% 금리 동결을 유력하게 점치면서도 소수의견 등장 여부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일반적으로 금통위는 기준금리 변동 직전 소수의견을 통해 금리인상 시그널을 보내기 때문이다. 이번 금통위에서 금리인상 소수의견이 나오면 8월 금통위에서 실제 금리인상이 이뤄지는 식이다. 

◇ 인상 소수의견 등장할까 = 올 하반기 기준금리를 결정하는 금통위는 이달 12일, 8월31일, 10월18일, 11월30일 등 네 차례다. 시장에서는 금리인상 시기에 대한 시각이 복잡하게 엇갈리고 있지만 8월이나 10월 금리인상 가능성에 조금 더 무게를 싣는 분위기다. 

이미선 부국증권 연구원은 "7월 금리인상 소수의견 출현, 8월 금리인상 시나리오가 예상된다"며 "고용지표 부진, 글로벌 보호무역 우려 등 대내외 불확실성이 높은 수준이지만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지속적인 금리인상으로 한미 금리역전차가 확대되고 있는 것도 현실이다"고 말했다. 이어 "한미 금리역전차는 현재 50bp(베이시스포인트·1bp=0.01%p) 수준으로 국내 통화완화 정도를 줄이지 않으면 연말 100bp 수준까지 벌어진다"고 지적했다. 

전문가들은 무엇보다 금통위 의사록을 통해 꾸준히 금리인상 필요성이 언급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고 있다. 4월 금통위 의사록에 따르면 A 위원은 "향후 성장·물가 흐름이 이번 성장경로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을 경우 적절한 시기에 기준금리를 추가 인상해 통화정책 여력을 확보해 놓아야 한다"고 했다. 

5월 금통위 의사록에서도 여러 금통위원들의 매파(통화 긴축 선호)적 기조가 확인됐다. 당시 일부 금통위원들은 기준금리를 동결하면서도 대내외 경제 환경을 고려, 향후 금리인상이 필요하다는 인식을 나타냈다. B 위원은 "성장세가 견실한 시기에 기준금리를 적정 수준으로 인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다만 이달 소수의견이 나오지 않는다면 금리인상 시기는 올 4분기 또는 내년으로 넘어갈 수도 있다. 김지나 IBK투자증권 연구원은 "이번 금통위에서 기준금리를 동결할 것이며 그 결정은 만장일치로 이뤄질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한다"며 "펀더멘털만 고려하면 국내 기준금리 인상은 어렵지만 통화정책 여력을 확보하기 위한 수단으로 1회 인상이 가능하다고 본다"고 말했다. 

하인환 SK증권 연구원은 "한은의 금리 인상 스케쥴은 상반기까지만 해도 연내 1회 인상 전망이 우세했으나 최근 들어 국내 경기 부진에 따라 연내 동결 주장까지 나오고 있다"며 "블룸버그에서 제공하는 23곳 증권사 채권 애널리스트들의 한국 기준금리 전망 가운데 연내 동결을 예상한 곳이 4곳이라는 것이 눈에 띈다"고 말했다. 

◇ 올해 3% 성장전망 하향 가능성 = 올해 하반기 경제성장률 전망의 경우 한은이 기존 전망치 3.0%에서 0.1%p 하향 조정할 가능성이 유력시 된다. 지난달까지만 해도 이주열 총재는 "국내 경제가 비교적 견실한 성장세를 지속하고 있어 지난 4월의 전망(연 3% 성장)을 수정할 상황은 아니다"고 재차 강조했다. 

그러나 세계 경제 1, 2위 국가인 미국과 중국의 무역 충돌은 소규모 개방경제인 우리나라에 전방위적인 파문을 몰고 올 공산이 크다. 그동안 우리경제를 지탱하는 역할을 했던 수출이 자칫 무역분쟁에 휘말려 올 하반기부터 감소세로 돌아설 경우 우리경제의 활력이 급격하게 저하될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 

현대경제연구원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주요국 수출 의존도는 올해 기준 중국 26.4%, 미국 11.2%로 미·중이 전체의 38% 가량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상황에서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 1일 지난달 수출이 전년 동기 대비 0.089% 줄어든 512억3000만달러로 잠정 집계됐다고 밝혔다. 

목표치(연 2%)에 못미치고 있는 물가 상승률도 한은의 경제전망에 부담을 주고 있다.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1분기 1.3%, 2분기 1.5%를 간신히 기록했다. 6월엔 물가 흐름을 보여주는 근원물가 상승률이 1.2%로 내려갔다. 기업들의 체감경기를 나타내는 기업경기실사지수는 지난달 80을 기록하며 넉달 만에 하락 전환했고, 소비자심리지수(105.5)도 전월대비 2.4p 떨어져 1년2개월만에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  

김천구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미중 무역전쟁과 악화된 국내 고용지표 등 하방 리스크가 확대된 상황"이라고 평가했다.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지난달 구직급여 지급액은 5644억원으로 지난해 동월보다 1220억원(27.6%) 늘었다. 구직급여 지급액이 증가했다는 것은 실업 상태에서 구직급여를 받는 사람이 그만큼 많다는 의미다. 고용상태가 여전히 나쁘다는 뜻이다. 

한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제통화기금(IMF)을 제외한 국책·민간연구기관들은 일찌감치 2%대 후반 성장을 예상했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은 2.9%, 현대경제연구원 2.8%, 한국경제연구원 2.8% 등을 제시했다. 

다만 만약 한은이 경제성장률을 기존 대비 0.1%p 하향 조정해 2.9%로 낮추더라도 우리 경제의 성장세는 견조하다는 진단이다. 잠재 성장률(2.8~2.9%) 정도의 성장은 유지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한은은 분기 평균 0.82%∼0.86% 성장하면 연간 3% 성장하게 된다고 추산한 바 있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