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정부 출범 이후 가계·기업 체감경기 온도차 '뚜렷', 이유는?
文정부 출범 이후 가계·기업 체감경기 온도차 '뚜렷', 이유는?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가계, 불확실성 해소·정책 기대에 소비심리…금융위기 이전
기업, 당장의 매출 감소에 민감…비정규직 제로 정책 '부정적'

[서울파이낸스 이은선기자] 문재인 정부가 출범한 5월 들어 가계와 기업의 체감업황이 극명한 온도차를 나타내면서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가계의 소비자심리지수는 금융위기 직후에나 나타났던 급격한 회복세를 보인 반면, 제조업의 체감 업황은 오히려 전월보다 부진해진 탓이다.

31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17년 5월 기업경기실사지수(BSI)'에 따르면 이달 제조업의 업황 BSI는 전월대비 1p 하락한 82에 머물렀다. 다음달 전망 지수의 경우도 84로 지난달과 같았다.

앞서 발표된 이달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전월대비 6.8p 급등한 108을 기록했다. 이는 소비심리에 큰 충격을 줬던 세월호 참사 이전 조사치인 지난 2014년 4월(108.4) 이후 3년 1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치다. 상승폭만 보자면 2009년 8월(+7.5p) 이후 7년 9개월 만에 최고치였다.

가계의 소비심리 이달 들어 급등한 것은 문재인 정부의 출범에 따른 '불확실성 해소'와 새 경제 정책의 핵심인 '일자리 창출' 기대감이 반영된 결과다. 실제로 이달 취업기회전망 CSI는 한달 새 27p나 급등한 113을 기록해 편제 이후 최고치를 새로 썼고, 향후경기전망 CSI도 한달 새 22p 급등한 111로 6년 10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반면, 기업의 경우에는 정부 정책 기대에 미온적인 반면, 당장의 매출 사정에 더 민감하게 반응했다. 이달 제조업 업황 실적치가 1p 떨어진 데는 5월 매출BSI가 전월대비 4p 급락한 점이 주효했다는 게 한은의 설명이다.

하세호 한은 기업통계팀 과장은 "소비자들의 경우 뉴스화 되는 여러 이슈들에 의해 영향을 많이 받는 경향을 보이지만, 기업들은 자기 회사 사정에 따라 응답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라며 "5월 영업일수가 줄어 매출액이 전반적으로 마이너스를 기록하고 수주와 생산도 줄어들면서 체감업황이 보합권에 머무른 것으로 보인다"고 평가했다.

▲ 소비자심리지수(CCSI)와 제조업 업황 경기실사지수(BSI) 추이. (자료=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

일각에서는 정부의 '비정규직 제로' 등의 일자리 정책이 오히려 기업 체감 경기에는 부정적 영향을 미친 것이 아니냐는 관측도 나오지만, 이번 조사에는 크게 영향을 주지 않았을 것으로 평가된다. 이번 조사에 참여한 업체 관계자도 "아직은 별다른 영향이 없기 때문에 (정부의 일자리 정책을) 지켜보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정책 양상에 따라 향후 BSI에 반영될 수 있는 잠재 요인인 셈이다.

과거에도 가계의 소비심리가 기업 체감업황과 상관없이 급등락한 배경에는 사회적 이슈가 작용했다. 박근혜 전 대통령의 탄핵 사유가 된 최순실 국정농단 논란이 부각된 지난해 11월 당시 CCSI는 한달 새 6.3p 급락했지만, 제조업 업황 BSI는 오히려 1p 상승했다. 지난 2011년 일본 대지진 당시에도 CCSI는 10.5p나 급락했지만, 제조업 업황 BSI는 6p 상승해 격차를 보인 바 있다.

기업 체감업황이 급격히 얼어붙을 때도 소비심리는 별개였다. 지난 2015년 5월 당시 조업일수가 18일에 그치면서 제조업 업황BSI가 5p 하락했다. 당시 기준으로 22개월 만에 최대 낙폭을 기록한 것이다. 반면, CCSI의 경우 이와 별개로 전월대비 1.3p 상승했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