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점>우리금융 黃 회장 '연임'(?), 행장은 ?
<초점>우리금융 黃 회장 '연임'(?), 행장은 ?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회장-행장 분리..."새 지배구조" vs "구태 회귀"
선임과정 투명성-낙하선 여부따라 말썽 소지 
 
우리금융지주 최대 주주인 예금보험공사가 우리금융그룹의 지배구조와 관련 우리금융지주 회장과 우리은행 행장직을 분리하기로 결정, 우리금융 최고경영진 인선 구도가 새로운 국면으로 전환됐다.  

예보 관계자는 26일 "지주회사 회장에게 집중된 권한을 분산시키기 위해 지주회사 회장과 은행장을 별도로 뽑는 식으로 지배구조를 바꿨다"며 "회장과 은행장 분리에 따른 커뮤니케이션 문제 보완을 위해 회장이 은행이사회 의장을 맡도록 했다"고 설명했다.

이렇게 되면 '회추위'는 지주회사 회장 후보만을 결정하게 된다.
대신, '회추위'를 통해 선임된 회장이 '행추위' 구성을 주도하게 된다. 
 
여기서, 주목할 것은 재정경제부 고위관계자가 최근 "황 회장이 내놓은 회장, 은행장 분리안과 회장에게 은행장 선임권을 주는 안을 긍정적으로 검토중"이며 "이번 회추위에서 이 문제에 대한 답을 내놓을 것"이라고 밝힌 점이다.

특히, 이 관계자는 차기 회장과 관련 "그동안 실적이나 황 회장의 경영능력을 볼 때 그만한 사람을 찾기 힘들 것"이라고 언급했다". 이는 황 회장의 연임 가능성을 강하게 시사한 것으로 해석되기에 충분하다.

한편, 황 회장은 최근 기자간담회에서 "회장에게 우리ㆍ경남ㆍ광주은행장의 선임권을 준다면 우리금융 회장과 행장을 분리하는 것도 나쁘지 않다"고 언급한 바 있다. 시차는 있지만, 화답으로 해석된다.  

이같은 정황과 재경부 및 예보, 그리고 이해당사자들의 발언을 종합하면 우리금융의 차기경영진 구도는 어느 정도 예측이 가능해 진다.
 
재경부 관계자는 '회추위'에서 회장, 행장 분리 문제를 다룰 것이라고 얘기했지만, 실상 공식적으로 회장, 행장 분리안 발표는 26일 예보를 통해서 이뤄졌다.
 
'회추위'의 의사결정을 존중한 것인지는 모르지만, 회추위의 출범시기등을 감안할 때 예보의 발표는 재경부의 입장을 전달한 것으로 보는 것이 현실성이 높다. 

먼저, 예측 가능한 것은 황 회장의 재신임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점이다.
동시에, 행장인선은 예보, 곧 재경부의 의중이 반영된 인물이 낙점될 가능성이 황 회장의 연임 가능성만큼이나 높을 것이라는 관측도 가능해 진다.   

정황논리상 재경부 관계자가  언급한 내용과 같은 맥락에서 회장(황 회장)에게 산하 은행장 선임권을 주면서, 회장과 행장을 분리하는, 일종의 '딜'이 이뤄질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특히, 예보가 밝힌 "회장과 은행장 분리에 따른 커뮤니케이션 문제 보완을 위해 회장이 은행이사회 의장을 맡도록 했다"는 대목도 곱씹어 볼 필요가 있다.

사실, 예보는 우리금융지주 주식의 78%를 보유한 최대 주주이며, 우리금융지주는 우리은행 주식을 100% 보유하고 있다. 따라서, 예보 또는 재경부가 인사권을 행사하는 것은 지극히 당연하다. 국책은행장의 인선구도와 다를 바 없기 때문이다.
 
문제는 왜 이 싯점에서 회장과 은행장 분리안이 등장했는가 하는 점이다.
과거 우리금융출범 초기 상황으로 되돌아 가 볼 필요가 있다.
당시, 우리금융은 윤병철씨가 회장을, 이덕훈씨가 은행장을 각각 맡는 회장, 행장 분리구도로 출발했다.

그런데, 그후 이들 양두체제는 인사등 은행경영전반에 걸쳐 심각한 불협화음을 초래했고, 그 같은 경험이 현재의 회장 ,행장 겸임 체제로 전환되는 직접적인 요인으로 작용했었다.
물론, 이 또한 예보 내지는 재경부의 의사가 반영된 결과였다.
 
그렇다면, 지금 와서 회장, 행장 분리체제로 전환해야 할 뚜렷한 명분이 있는가.
이와관련, 예보는 이날 회장, 행장 분리 계획을 발표하면서 "우리금융의 전략적 기능을 강화하고 우리은행이 은행 본업에 충실할 수 있도록 하기위해 지배구조를 바꾸는 새롭게 바꾸는 것"이라고 짧막하게 언급했다.

그러나, 이같은 예보의 지적은 설득력이 떨어진다.
과거 회장, 행장 분리체제의 폐해는 구체적인 사례로 남아 있는 반면, 예보가 제기한 회장, 행장 분리론은 지극히 막연하기 때문이다.

어떤 판단을 내릴 때 '막연한 개념'보다는' 구체적인 경험적 사례'를 중시해야 하는 것은 상식에 속한다. 회장, 행장분리의 목적이나 성과는 막연한 데 반해, 그 부정적측면은 구체적으로 경험한 바가 있다는 점에서 그렇다.

더군다나 예보는 "지배구조를 새롭게 바꾸는 것"이라는 표현을 썼다.
그러나, 우리금융의 과거를 아는 사람이라면, 이는 새롭게 바꾸는 것이라기 보다는 '구태로 회귀하는 것'이 더 타당한 표현이다.

향후 우리금융의 회장과 은행장 선임이 얼마나 투명하고 객관적으로 이뤄지느냐에 따라 이 부분에 대해 논란이 증폭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을 것으로 보인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어떤 자질을 갖춘 인사가 선임되느냐가 중요한 잣대가 될 것이다.
 
하지만, 어떤 경우라고 하더라도 '낙하산'이라는 용어는 피해 갈수 있을지 몰라도, 새롭게 구성된 경영진이 경영성과로 입증하기 전까지는 '자리만들기' 내지는 '옥상옥'이라는 비판은 피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공인호 기자 ihkong@seoulfn.com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