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들 "생활용품 감독체계 정부가 마련해야"
소비자들 "생활용품 감독체계 정부가 마련해야"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서울파이낸스 김태희기자] 가습기 살균제에 이어 섬유탈취제와 방향제에 대한 소비자 불안이 커지면서 정부가 이들 제품에 대한 관리감독 체계를 개선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되고 있다.

화장품과 생활용품에 살균·보존제 성분이 들어갈 수밖에 없는 만큼 세부 관리감독 체계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18일 유통·중소기업계에 따르면 환경부는 한국 피앤지(P&G)의 페브리즈 성분을 공개하며 인체 위해 가능성이 별로 없다고 밝혔다.

유해성 논란을 빚은 성분인 벤조이소치아졸리논(BIT)과 제4급 암모늄 클로라이드(디데실디메틸암모니움클로라이드·DDAC)가 각각 페브리즈 공기탈취제와 섬유탈취제에 들어있지만 인체에 해가 될만한 수준은 아니라는 설명이다.

하지만 소비자들의 여전히 불안을 호소하고 있다. 섬유탈취제와 섬유유연제·방향제 등에는 대부분 살균·보존제 성분이 들어있지만 광택제나 접착제와 함께 공산품으로 분류돼 있어 소비자가 성분을 따져보기 쉽지 않기 때문이다.

향수나 미용물티슈 등은 화장품에 속해 용량에 관계없이 전 성분을 표시하도록 한 것과 대조적이다.

살균·보존제 성분이 피부 접촉이나 흡입 등 다양한 상황에서 인체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에 대해 정부가 정확한 입장을 밝히지 못하는 것 또한 소비자 불안을 가중하고 있다.

특히 이런 논란이 불과 몇년 전 물티슈 업계에서 벌어졌던 보존제 논란과 꼭 닮았다는 점은 화학성분 생활용품에 대한 불안을 키우는 요소다.

실제로 2013년에는 시민단체가 물티슈에 함유된 클로로메틸이소티아졸리논(CMIT)과 메틸이소티아졸리논(MIT)이 가습기 살균제에 사용된 물질이라고 지적하면서 생활용품 업계가 발칵 뒤집혔다.

이 성분은 식품의약안전처가 공산품에 사용을 허가한 보존제로 화장품에도 사용됐던 성분이었다. 하지만 가습기 살균제 사건으로 불안에 떨었던 소비자들은 흡입하는 것뿐 아니라 미량이 피부에 닿는 것조차 불안해했다.

식약처는 2년이 지난 2015년 시판 중인 물티슈나 세제에 자주 들어가는 28개 보존제 성분이 인체에 해롭지 않을 만큼만 포함돼 있다고 발표했다.

하지만 매출이 반토막 난 대부분의 생활용품 업체들이 보존제 성분을 바꿨고 소비자들도 '천연성분' 함유 제품을 찾아 헤맸다.

문제는 살균·보존제를 둘러싼 혼란과 불안이 앞으로도 되풀이될 가능성이 크다는 점이다.

유아용 물티슈 제조업체 관계자는 "MIT 성분을 빼고 정부가 허가한 다른 보존제 성분을 넣었는데 이마저도 좋지 않다는 이야기가 돌까 봐 걱정"이라며 "수분이 있는 제품에 보존제를 안 넣을 수는 없기 때문에 정부가 함유량을 제대로 감독하는 게 가장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 관계자는 살균제나 방부제라는 말보다 '보존제'라는 말을 써달라며 단어 사용에도 신중한 입장을 보였다.

다른 유아용 물티슈 제조업체 관계자도 "1세대 방부제가 파라벤, 2세대 방부제가 페녹시에탄올이라면 그보다 더 순화된 방부제가 CMIT/MIT인데 아직 페녹시에탄올을 사용하는 일본과 달리 국내에서는 CMIT/MIT도 쓸 수 없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유통기한을 늘리려고 이런 성분을 과하게 쓰는 것이 문제일뿐 미량의 보존제를 넣었다고 '물티슈=독성 물질'이라고 해석할 수 없다"며 "소비자 불안을 잠재울 수 있는 것은 정부가 신뢰받는 관리감독 체계를 만들고 여기서 벗어나는 제품을 제대로 단속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업계에서는 지난해 물티슈가 화장품법 관리 대상으로 편입되면서 소비자 불안이 다소 진정된 점을 예로 들었다.

생활용품과 물티슈를 취급하는 다른 업체 관계자는 "일반 공산품일 때는 검증되지 않은 물질을 사용했을 수 있다는 소비자의 불안감이 있었지만 지금은 (물티슈) 원료부터 제조과정까지 더 엄격하게 관리된다"며 "고객들도 안전성에 대한 부분은 많이 신뢰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