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느 보험사도 농협공제 못 이긴다"
"어느 보험사도 농협공제 못 이긴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某 경제硏 비공식 자료 "업계1위 S사도 경쟁상대 못 돼"

영업망―저가 공세 '막강'…단체시장등 시장질서 교란 우려
 
 
농협공제의 영업형태가 국내 보험사들이 벤치마킹해야 될 미래의 모습이라는 지적이 제기돼 보험업계를 긴장시키고 있다.

방카형식으로 상품을 판매하는 공제의 영향력을 따라잡기가 힘들다는 분석에 근거하고 있다. 이미 단체보험시장에서는 공제를 경쟁자로 인식하기 보다는 협력자로서 컨소시엄 구성에 빠지지 않고 있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공제의 이러한 저가공세가 시장질서를 흐트리고 있다는 불만도 적지 않다.
 
25일 국내 모 민간경제연구소는 비공식 보고서를 통해 국내 보험시장에 대해 외국사례와 비교분석해 나온 결과라면서 농협공제가 국내보험사들의 벤치마킹 대상이라고 지적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보험선진국인 미국 일본에서 이뤄지는 공제와 보험사간의 영업형태등과 국내 보험시장을 비교 분석한 결과 미국은 대형공제가 일본은 중소형공제가 영업을 하는 특징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국내시장에서 공제영업 활용모델을 분석중인데 현재까지의 결과로는 농협공제의 영향력을 국내보험사들이 따라가기 어려운 것으로 내다봤다.

특히, 생손보업계 1위인 S그룹 계열보험사들도 경쟁하기 쉽지 않은 상대로 전망했다.

농협공제의 경우 지점이 전국 구석구석에 포진해 있는데다 서민을 대표한다는 이미지가 강해 영업은 물론 마케팅력에 있어서도 당해낼수가 없다는 것.
 
더욱이 방카형식으로 영업을 하기 때문에 가격에서도 상당한 경쟁력을 지니고 있다는 분석이다.

실제 보험개발원에서도 농협공제의 요율적용이 국내 보험사보다 보수적이라고 판단하고 있다.

보험개발원 관계자는 “100을 기준으로 요율을 적용할때 국내사들이 경쟁으로 인해 가격을 낮추면서 40~50을 적용한다면 농협공제는 70을 적용한다”며 “가격은 높게 책정해 보장을 강화하면서도 사업비가 없기 때문에 국내 보험사보다 저렴한 보험료를 책정할수 있다”고 말했다.

보고서에서도 국내 보험사들이 농협공제형식의 영업판매망을 가지지 않으면 경쟁에서 뒤쳐질 것으로 보고 있다.
 
보험산업을 위해서는 생명과 손해보험의 통합은 물론 현재 논의가 되고 있는 지급결제기능까지 보험사가 갖추어야 될 것으로 지적됐다.
 
생손보업계가 합쳐지는 과정에서 예적금기능과 결재기능이 더해진다면 보험사 지점이 은행이나 공제의 지점형태로 변모, 자동차나 상해등 가입이 간단한 상품들은 방카형식으로 판매하고 보험사 최대의 장점인 찾아가는 금융서비스 채널인 설계사들로 하여금 고가의 상품판매를 할 수 있어 통합금융시대에 경쟁력을 갖출 수 있다는 것이다.

보고서 내용이 현재 자통법 시행에 따라 보험업계가 추진하고 있는 경쟁력강화방안과 맥락을 같이 하는데다 보다 구체적인 보험사들의 영업형태변화를 담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이미 보험업계 전반에서는 공제의 영향력이 강화되면서 과거 보험업계와 서로 경쟁하던 상극시대에서 서로 돕는 상생무드로 급격한 관계개선이 이뤄지고 있다.

농협공제는 저가의 보험료를 내세워 각종 공무원 관련 단체보험시장을 싹쓸이 하고 있는데 보험사들은 초반 강력히 견제하던 모습에서 이제는 각종 컨소시엄을 구성 합동으로 시장진출을 하고 있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이러한 공제의 저가공세가 시장질서를 무너뜨리고 있다는 우려도 적지 않다.

사업비를 더 이상 절감할 수 없는 보험사 입장에서는 농협공제의 공세가 부담스럽기 때문이다.
 
현재는 농협공제뿐이지만 성장성이 큰 단체공무원 시장의 특성상 다른 공제들까지 가세한다면 그야말로 보험사들은 발 한 번 담궈보기 어려운 상황에 직면할수 있다.

한편, 농협공제가 보험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날로 커지고 있다. 지난 2005년 농협공제가 거두어들인 보험료 수입은 생명공제 6조 4261억, 손해공제 1375억원을 기록했는데 이는 생보업계에서 4위권에 해당한다.

최근에는 텔레마케팅인원을 20명에서 70명으로 늘리고 TM전용상품출시하는등 신판매채널 구축 확대에도 적극 나서고 있다.

김주형 기자 toadk@seoulfn.com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