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리스크 역대 충격, '김정일 사망' 때 가장 커
北 리스크 역대 충격, '김정일 사망' 때 가장 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코스피 3% 넘게 빠져…나머지 1% 미만 충격 그쳐

[서울파이낸스 이호정기자] 북한의 포격 도발로 코스피 지수가 크게 출렁이는 가운데, 역대 북한 리스크의 충격파가 가장 컸던 시기는 지난 2011년 12월19일 '김정일 사망' 소식이 전해진 직후였던 것으로 나타났다.

21일 금투업계에 따르면 김정일 사망 소식이 알려진 당일 코스피는 전 거래일 대비 3.4% 급락했다. 지난 2006년 10월9일 북한 1차 핵실험 당시도 전날보다 2.4% 하락했으나 나머지 대북 이슈는 코스피에 -1% 미만의 영향을 끼치는데 그쳤다.

2010년 11월23일 연평도 포격 사건 당시는 전일보다 0.8% 내렸고, 2013년 2월12일 3차 핵실험(-0.3%), 2005년 2월10일 핵보유 선언(-0.2%), 2009년 5월25일 2차 핵실험(-0.2%) 등의 북한 리스크도 증시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오히려 2009년 11월10일 대청해전(0.3%)과 2010년 3월26일 천안함 침몰(0.6%) 당일에는 플러스 수익률을 냈다.

이날 김대준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변수 발생 초기에는 코스피가 하락하는 모습을 보이지만 북한 리스크에 민감하게 반응하지는 않는다"고 말했다. 실제로 코스피는 북한리스크 발생 일주일 뒤면 대부분 이전 수준으로 회복하는 모습을 보였다.

김정일 사망 일주일 뒤 코스피는 사망 전날보다 0.9% 올랐고 1차 핵실험 일주일 뒤에도 핵실험 이전보다 0.3% 상승했다. 핵보유 선언 일주일 뒤에는 오히려 이전보다 3.7% 올랐고 천안함 침몰 일주일 뒤에도 침몰 이전보다 2.1% 상승했다.

김대준 연구원은 "이번 포격의 영향력이 김정일 사망이나 1차 핵실험 수준까지는 아닐 것으로 판단해 북한 변수에 의한 코스피의 하락폭을 좁게 본다"며 "다만 연평도 포격처럼 국토에 직접적인 타격을 가했다는 점에서 복원력은 다소 약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다른 북한 이슈와 달리 연평도 포격 일주일 뒤에는 코스피가 포격 이전보다 2.0% 하락하는 등 증시에 미친 충격의 회복이 더디게 나타났다.

한편 북한 리스크 가운데 발생 당일 외국인의 자금 이탈이 가장 컸던 것은 지난 2013년 12월 13일 벌어진 장성택 숙청이었다. 이날 외국인은 유가증권시장에서 2705억원 어치를 팔았다. 김정일 사망 당시 외국인은 2407억원 어치의 매물을 쏟아냈다.

하지만 2006년 10월9일 1차 핵실험 당시에는 오히려 4738억원 어치를 매수했으며 2009년 11월 대청해전(2656억원), 2010년 3월 천안함 침몰(2117억원), 2010년 11월 연평도 포격(1812억원) 때도 강한 순매수 기조를 보였다.

김 연구원은 "각 업종의 주가도 약세 압력에 노출될 수 있지만 일정 시간이 지나면 대부분 북한 악재를 털어내고 반등에 성공한다"며 "업종 비중 조절시 북한 리스크를 크게 고려할 필요는 없다"고 말했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