自保, 십수년동안 흑자 딱 두번
自保, 십수년동안 흑자 딱 두번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IMF직후 '고유가 및 최초가입자 요율인상 영향'

동부화재 6번 '안정적'-메리츠,삼성,현대,LIG순
 
 
90년대부터 지금까지 십수년동안 손보사들이 자동차보험업을 영위하면서 흑자를 낸 적인 두번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에도 높은 손해율과 더불어 적자경영의 악순환고리를 끊어내지 못하고 있어 대책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9일 손해보험업계에 따르면 FY’90년부터 ‘05년까지 15년동안 삼성,현대,LIG,동부,메리츠,대한,제일,신동아,쌍용,그린등 10개 손보사 합산비율을 집계한 결과 FY’97,98년을 제외하고는 전부 100%대를 넘어섰다.<표 참조>
▲ 자동차보험 합산비율    © 관리자

FY’97년과 98년의경우 IMF직후 유가가상승하고 때를 같이해 손보사들간 인수지침강화로 최초가입자 요율이 180%대로 인상된 결과 합산비율이 90%대를 기록했던 것으로 조사됐다.
업계 관계자는 “고유가와 최초가입자 요율 상승영향으로 교통량이 크게 줄어 손해율이 안정권에 접어들면서 거두어 들인 보험료에 비해 지급하는 보험금이 적어 그나마 호황기를 누린 적이 IMF직후이다”고 말했다.

합산비율은 손해율과 사업비율을 합친 것으로 손보사의 이익구조를 나타내는 지표가 된다. 손보사가 받은 보험료를 100%로 기준을 잡고 손해율과 사업비율을 더한 수치가 100%를 넘어서면 거두어 들인 보험료보다 나간 금액이 많아 손보사가 손해를 보는 것이고 100%를 넘지 않으면 자동차보험에서 영업이익이 나게 된다.
 
■동부화재 가장 많은 이익기록
회사별로 살펴보면 동부화재가 자동차보험에서 가장 많이 흑자를 낸 것으로 나타났다. 동부화재는 FY회계연도를 기준으로 95~98년까지 ‘01~’02년까지 총 6번의 흑자를 기록했다.
 
동부화재는 자동차보험 영업이익이 난 이유로 사업비의 효율성을 들었다. 동부화재 관계자는 “자동차보험은 각 사별 비슷한 손해율과 환경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손해율 관리만으로는 이익을 보기 어렵다”며 “동부화재의 경우 타사들로부터 다소 빠듯하다는 소리를 들을 정도로 효율적인 사업비 집행으로 사업비율을 대폭 줄인것이 영업이익을 보게된 원인이라 할수 있다”고 말했다.

그 뒤로 메리츠 화재가 총 4번의 보험영업이익을 기록했으며 삼성,현대,LIG손보는 각각 3번씩 이익을 낸 것으로 조사됐다.

중소형사들의 경우 대부분 IMF직후 호경기 때를 제외하면 90년대부터 지금껏 자동차보험에서 영업이익을 낸 적이 거의 전무한 것으로 드러났다.
 
■스스로 무덤 판 결과
손보사들이 이처럼 수익구조가 반복적으로 악순환을 거듭하고 있는 것은 스스로 제무덤을 판 탓이다. 90년대초반과 지난 2005년 정도를 제외하면 손해율은 안정적인 수치를 기록하고 있다. 90년대 초반에는 손해율이 거의 90%를 넘으면서 적자의 주원인이 됐지만 사업비율을 살펴보면 20%초반수준으로 아주 안정적이다.
 
즉 사고가 많은 반면 리베이트등 영업현장에서 출혈경쟁이 적었다는 뜻이다.하지만 90년대 중반이후를 살펴보면 손해율이 안정되면서 이와 반대로 사업비율은 크게 높아진 것을 알수 있다. 결국 손해율이 안정되자 시장확대에 나선 손보사들간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각종 리베이트 제공등으로 사업비율이 크게 증가한 결과다.

특히 2000년대 들어서서는 보험가격 자유화와 온라인 자동차보험의 등장으로 저가경쟁까지 더해져 상황이 더욱 힘들게 됐다. 실제 2000년 이후 손해율을 보면 안정적인 적정 손해율인 것을 알수 있다. 하지만 2001년 온라인 전용 자동차보험인 교보자보의 등장을 시작으로 2003년 대형사에서 발단이 된 요율인하 경쟁은 보험료를 크게 떨어 뜨렸다.

손보사가 거둘어 들이는 전체 보험료 규모는 점차 줄어들고 사고로 지급하는 보험금과 출혈경쟁으로 인한 사업비율은 점차 증가하니 수익구조가 악순환이 지속될수 밖에 없다.
손보사 관계자는 “누가 뭐라고 해도 자동차보험 수익악화의 요인중 가장 큰 것은 경쟁이 심화되면서 서로간 출혈로 이어졌다는 점이다”며 “온라인 자동차보험의 등장과 2003년 D화재로부터 시작된 요율인하경쟁으로 손보사들은 스스로 무덤을 판 꼴이 됐다”고 지적했다.
 
■자정노력 않고 책임전가
자동차보험의 적자행진이 멈추지 않자 손보업계는 자동차보험제도 개선을 통해 보험료 인상을 추진중이다. 그동안 논란이 많았던 할인할증체계와 적정요율산정, 차량모델별 보험료 차등화등이 개선대상인데 주로 보험료 인상요인이 주류를 이룬다.

손보사들은 무엇보다도 수익악화를 탈피하기 위해서는 요율을 정상화 시켜야 한다는 데 이견이 없다. 또 외국 선진국과 같은 할인할증체계와 차량모델별 보험료 차등화 등을 주장하고 있다.

학계나 업계 개선안에 반발하고 있는 시민단체들 역시 현 상황을 타개하는데 보험요율을 개선하는 것이 최적안이라는 것을 알고 있다.

 또 시대가 점차 선진국으로 가고 있는 마당에 제도개선 없이 과거 십수년전의 제도를 그대로 적용하는 것이 문제라는 것도 알고 있다. 즉 현실에 맞게 제도가 바뀌는 것은 당연하다. 그러나 문제는 손보사간 자정노력을 하지 않고 보험료 인상을 통한 책임전가형식이 되느냐는 것이다.

시민단체가 반발하는 것도 손보사들끼리 경쟁하면서 요율을 낮추고 리베이트등을 제공했으면서 책임은 소비자들에게 넘기냐는 이야기다. 업계에서는 제도개선을 통해 보험료가 인상되면 당장 숨통은 틔일수 있겠지만 장기적으로 보험사들간 자정노력이 선행되어야 한다는 지적이 높다.

김주형 기자 toadk@seoulfn.com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