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 '감놔라 배놔라' 하는 우리금융 민영화
[기자수첩] '감놔라 배놔라' 하는 우리금융 민영화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서울파이낸스 문지훈기자] '사공이 많으면 배가 산으로 간다'

딱 우리금융 민영화를 두고 하는 말인 듯 싶다. 물론 표면적으로는 대주주인 정부가 우리금융 민영화의 열쇠를 쥐고 있지만, 민심(民心)과 이해관계자들의 입장을 도외시할 수 없는 탓에 이래저래 골머리만 앓는 형국이다.   

매각절차를 앞둔 우리금융은 이순우 회장 선임을 완료하고 26일  민영화를 위한 최종 방안 발표를 앞두고 있다. 현재까지 알려진 바로는 우리금융 계열사 중 광주은행과 경남은행 등 지방은행을 따로 매각한 뒤 우리투자증권 등 증권 관련 계열사, 우리은행 및 기타 계열사 등 3개 그룹으로 나눠 분리매각하는 방안이 유력하다.

하지만 벌써부터 시장에서는 당국의 민영화 방침에 대한 다양한 논란이 불거지고 있다. 그간 수차례에 걸친 민영화 실패 전례를 답습하지 않겠다며 신제윤 금융위원장이 '직'까지 내건 마당인데도 민영화 성공 가능성에 대한 의구심은 해소되지 않는 모습이다.

이번 방안에 대한 논란의 핵심은 크게 두가지. 지방은행 분리매각에 따른 지역 민심 향배와 은행-증권사 분리매각의 적절성 여부로 요약된다.

우리금융 자회사인 경남은행의 경우 과거부터 BS금융지주와 DGB금융지주가 유력 인수후보로 거론돼 왔다. 하지만 공교롭게도 때마침 금융당국이 BS금융지주 회장에 대해 사임을 종용하면서 DGB금융에 특혜를 주려는 것 아니냐는 의혹으로 번졌다. 여기에 해당 지역 상공인들과 정치권까지 가세해 금융당국을 압박하고 있다.

또다른 논란거리인 '증권-은행 분리매각' 여부의 경우 공적자금 회수 극대화 원칙에 기반한 논쟁이다. 흥행성이 보장된 우리투자증권을 먼저 매각할 경우 우리은행이 '낙동강 오리알' 신세로 전락하는 것 아니냐는 것이 논란의 요지다. 이같은 주장은 우리금융 매각실패를 우려한 시장과 우리금융 내부로부터 적극 개진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처럼 우리금융 매각을 둘러싼 이해당사자들이 워낙 많다 보니 여기저기서 잡음이 끊이지 않는 모습이다. 우리금융 민영화 성공을 장담하기 어렵다는 목소리가 나오는 것도 무리는 아니다.

하지만 과거 실패사례를 되짚어 보면 우리금융 민영화의 답은 분명해진다. 과거 수차례에 걸친 민영화 실패사례의 원인이 우리금융의 덩치가 너무 커서였다. 다양한 논란에도 불구하고 결국 분리매각안이 도출된 배경이기도 하다. 여기에 매각추진 과정에서 제기된 정치권과 노조 등 각종 잡음도 당국의 운신의 폭을 쪼그라들게 했다.

사실 기업 M&A에 '정답'은 없다는 것을 우리는 익히 알고 있다. 높은 가격을 받으면서 모든 이해당사자를 만족시키기는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얘기다. 하지만 한가지 분명히 짚고 넘어가야 할 것은 민영화가 지연되면서 우리금융의 자체 경쟁력이 크게 후퇴했다는 점이다.

우리금융 매각의 열쇠를 쥔 당국의 '의지'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는 것도 이 때문이다. 먼저 지방은행 분리매각의 경우 매각과정의 투명성만 담보된다면 특혜논란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증권-은행 분리매각의 적절성 여부 역시 흥행성패까지 연결짓기에는 지나치게 이르다. 국내 은행산업의 경우 진입장벽이 사실상 막혀있는데다 대형은행간 규모의 경제를 이루려는 움직임도 여전하기 때문이다.

부진한 업황으로 높은 가격을 기대하기에는 무리가 있으나 그렇다고 매각실패로 이어질 가능성도 크지 않다는 분석도 설득력을 얻는다. 당장 하나금융의 외환은행 인수로 만년 4위였던 하나은행은 수년내 국내 1위 자리를 꿰차게 된다. 국내 '리딩뱅크'를 두고 경쟁해온 경쟁은행으로서는 강건너 불구경만 할 수 있는 처지가 아니다.

결국 우리금융을 다시 시장의 품에 되돌릴 수 있을지 여부는 매각 주체인 금융당국과 민영화 주체인 우리금융, 그리고 이를 바라보는 이해당사자들의 전향적 태도에 달렸다는 지적을 간과해서는 안될 것이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