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움證, '저축은행 인수 노릴 만한데…'
키움證, '저축은행 인수 노릴 만한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키움證, 저축은행 인수전 참여가능성 '솔솔'
"저축은행 부실 규모, 프리미엄 수준 지켜볼 것"

[서울파이낸스 양종곤 기자] 키움증권이 저축은행 인수 '4전 5기'에 나설지 주목되고 있다. 현재 키움증권은 저축은행 인수 참여 의사를 공식적으로 밝히고 있지 않지만 '인수참여는 시간문제'란 해석도 만만치 않기 때문이다.

키움증권은 지난 2005년 예가람상호저축은행 시작으로 지난 2009년 예한울상호저축은행과 푸른2상호저축은행 인수에 나설 만큼 저축은행 인수에 강한 의지를 내비쳐왔다.

최근 한 매체와의 인터뷰를 통해 권용원 키움증권 대표가 직접적으로 (저축은행 인수를 통해) 증권담보대출 공유와프로젝트 파이낸싱 등 다양한 효과를 기대한다고 밝힌 점 역시 이를 뒷받침하고 있다.

또 키움증권 입장에서 번번이 인수추진이 좌절된 상황이 답답할 수도 있다. 특히 지난 2009년 2개월간 협상을 진행한 푸른2상호저축은행의 경우 인수가능성이 유력하다고 시장은 추측했지만 결국 최종 문턱을 넘지 못하고 불발됐다.

하지만 현재 상황은 어느 때보다 키움증권이 저축은행 인수에 나서기 우호적인 분위기가 만들어지고 있다.

최근 정부가 부실 저축은행 떠안기에 적극적인 행보를 보이고 우리금융, 하나금융, 신한지주 등 3대 금융지주가 삼화저축은행에 인수전에 나서며 본격적인 저축은행 인수전신호탄을 쐈기 때문이다.

때문에 키움증권 입장에서도 과거와 달리 저축은행들이 부실과 건실로 나눠지고 있어 옥석가리기가 쉬워진 상황이다.

또 저축은행 우려가 확산되며 전반적으로 저축은행 몸값이 상대적으로 낮아진 점 역시 인수 참여 가능성에 무게를 둘 수 있다.

인수자금 추진 여력도 충분하다. 키움증권이 지난해 3분기(10월~12월) 수익성 여건이 양호함에 따라 투자자금 확충으로 저축은행 인수에 따른 추가적인 자금 조달 없이 인수에 뛰어들 여력이 충분하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특히 키움증권이 공공연히 저축은행 인수 목적으로 밝힌 지점 확보 이외에도 수익구조 측면에서 저축은행 인수에 나서야할 이유가 충분하다.

신용공여와 관련한 문제 때문이다. 신용융자 한도가 한계에 이른 상황에서 인수한 저축은행의 주식담보대출 등을 통해 주요 수익원인 홈트레이딩시스템(HTS)을 이용한 매매 수수료 수익을 안정적으로 확보한다는 계산이다.

정보승 한화증권 연구원은 "제도적으로 자기자본 100%까지만 신용공여 제한을 두고 있다"며 "현재 키움증권의 경우 자기자본은 7000여억원으로 거의 신용공여 제한 수준에 이르렀다"고 말했다.

이어 "특히 국제회계기준에 도입에 따라 상환우선주 1000억원이 부채로 인식될 경우 자기자본 감소로 신용공여 제한 역시 낮아지게 된다"고 말했다.

결국 기존 이자수익에 대한 안정적 확보와 지점을 통한 외형확장에 대한 요구가 현재 키움증권이 저축은행 인수에 나설 수 있는 충분조건이 되는 것이다.

하지만 현재 키움증권이 인수 추진을 적극적으로 나서기 부담스러운 부분도 있다. 먼저 키움증권 입장에서 과거 저축은행 인수 실패시 쓰라린 교훈을 맛본 적 있다.

지난 2009년 키움증권이 푸른2상호저축은행 인수 철회 소식에 주가는 하락세를 기록했다. 때문에 시장이 저축은행 인수가 결코 '득'이 될 수 없다는 여론으로 전환된 전례가 있는 만큼 이번 추진에 보다 신중하게 접근할 것이란 추측이 가능한 상황이다.

또 증권사 지점 확보상 서울 소재 저축은행 인수가 저축은행 인수 관련해 소위 '노른자'지역이지만 전체 서울 소재 26곳 저축은행 중 매각 가능성이 점쳐지는 곳은 매물로 나온 삼화저축은행과 삼보저축은행 등 소수인 점도 부담이다.

지난 25일 삼화저축은행 인수의향서 제출에 나설 것이란 시장 추측에도 결국 나서지 못한 점 역시 이러한 배경이 아니겠냐는 시선도 있다.

이에 대해 키움증권은 현재 저축은행 인수는 긍정적으로 검토 중이지만 공식적으로 추진의사는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키움증권 관계자는 "현재 정부 주도하에 저축은행 인수 여건이 조성되는 만큼 우선 지켜보자는 입장"이라며 "자체적으로 아직 부실저축은행에 대한 프리미엄이 빠지지 않은 상황이라고 판단된다"고 말했다.

이어 "수도권이 먼저냐, 지점이 먼저냐도 부차적인 문제"라며 "우선적으로 부실 규모와 프리미엄 수준이 어느 정도 되느냐가 인수추진의 전제조건"이라고 덧붙였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