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료방송업계 "경쟁력 떨어진 지상파 콘텐츠 대가 지나쳐···산정방식 바꿔야"
유료방송업계 "경쟁력 떨어진 지상파 콘텐츠 대가 지나쳐···산정방식 바꿔야"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사진=freepik)
(사진=freepik)

[서울파이낸스 이도경 기자] 지상파 콘텐츠 재송신 대가를 두고 대가 산정 방식을 합리적으로 책정해야 한다는 유료방송 업계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OTT(온라인 동영상 서비스)의 공세에 지상파 콘텐츠 가치가 떨어지고 있는 데 비해 지상파 방송사가 유료방송 업계에 요구하는 콘텐츠 재송신 비용은 갈수록 높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김용희 동국대 교수는 지난 19일 제주 신화월드에서 열린 한국언론학회 학술대회에서 "광고 시청률 탄력성, 이용률 변화 등을 고찰한 결과 지상파 콘텐츠의 가치가 지난 2013년 이후 52.69% 하락했고, 지상파 무료 VOD인 FOD의 경우 68.69% 떨어졌다"고 밝혔다.

이어 "대가 산정은 사업자간 자율 협상이 바람직하나, 매출액이 증가하지 않는 상황에서 과도한 비용 인상 압력은 바람직하지 않다"며 "지상파 콘텐츠가 유료방송 플랫폼의 상품성을 높이는 중간재 역할을 제대로 하는지 재평가해야 하며, 합리적 근거 마련을 위한 제도와 기준이 요구된다"고 말했다.

김 교수에 따르면 지상파 재송신료 매출액은 지난 2013년 1254억6300만원에서 지난 2021년 4079억3600만원으로 크게 증가했다. 연평균 증가율은 12.16%에 이른다.

유료방송 업계는 최근 유료방송 시장 정체가 심화되고 있는 데다, 지상파 방송의 콘텐츠 경쟁력이 종합편성채널(종편)을 비롯한 일반 채널 사업자들에게도 밀리고 있는 만큼, 정당하고 합리적인 방향으로 대가가 다시 산정돼야 한다는 입장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지난 17일 발표한 '2022년 하반기 유료방송 가입자 수 및 시장점유율'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하반기 유료방송 가입자 수는 약 3624만8397명으로 상반기 대비 0.67% 증가했다. 직전 반기 대비 가입자 수 증감률이 1% 미만을 기록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업계 관계자는 "그간 지상파 방송사(PP)들은 꾸준히 콘텐츠 대가를 올려왔고, 합의되지 않을 경우 '블랙아웃(지상파 콘텐츠 송출 중단)'까지 할 정도로 일방적 협의를 진행해왔다"며 "아직까지 상당수 시청자들이 지상파 위주로 채널을 돌리고 있고, 과거 지상파 방송의 블랙아웃 당시 유료방송사들이 관련 민원을 그대로 받아낸 만큼, 지상파 방송의 콘텐츠를 완전히 끊을 수는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과기정통부는 지난해 지상파 프로그램의 콘텐츠 대가 산정 기준을 마련할 계획이었으나, 논의는 크게 진척되지 못하고 있는 모습이다. 관련 논의를 위한 회의에 지상파·종편 PP(방송채널 사용 사업자) 업체들이 불참하고 있기 때문이다.

과기정통부는 지난해 '프로그램 사용료 인상률에 하한·상한 기준을 둔다'는 내용의 콘텐츠 대가 산정 가이드라인 초안을 내놨으나, 대형 PP업체들의 반발에 부딪혔다.

업계 관계자는 "각 플랫폼 사업자들은 통상 100개 이상의 채널을 가져가는데, 지상파 1개 PP가 가져가는 콘텐츠 사용료가 타 중소 PP사들에 비해 지나치게 높다"며 "K-콘텐츠 시장의 활성화, 중소 PP사들과의 상생을 위해서라도 적정한 대가를 청구하는 가이드라인 마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