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ECD, 韓 성장률 전망치 또 낮췄다···세계 성장률은 상향
OECD, 韓 성장률 전망치 또 낮췄다···세계 성장률은 상향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1.8%→1.6%로 0.2%p 낮춰···세계 전망치는 0.4%p 높여
"아직 하방 리스크 우세"···물가, 0.3%p 내린 3.6% 전망
부산항 신선대부두와 감만부두에서 수출입 컨테이너가 쌓여 있다. (사진=연합뉴스)
부산항 신선대부두와 감만부두에서 수출입 컨테이너가 쌓여 있다. (사진=연합뉴스)

[서울파이낸스 신민호 기자]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올해 한국 경제성장률을 기존 1.8%보다 0.2%포인트 낮춘 1.6%로 또 하향조정했다..

미국과 중국 등 대부분의 주요국의 성장률 전망치를 이전보다 올려잡은 것과 대비된다.

OECD는 17일 발표한 ‘중간경제전망’에서 한국 경제가 올해 1.6% 성장하는 데 그칠 것으로 내다봤다.

지난해 11월 1.8%를 제시했음을 감안하면 4개월 만에 0.2%포인트 낮춘 셈이다. OECD는 한국의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지난해 6월(2.5%), 9월(2.2%), 11월(1.8%) 등 시간이 갈수록 계속 낮추고 있다.

최근 한국은행이 제시한 올해 우리 경제성장률 전망과 같은 수준으로, 한국개발연구원(KDI·1.8%), 국제통화기금(IMF·1.7%)보다 낮다. 아시아개발은행(ADB·1.5%), 피치(1.2%)보다는 높다.

OECD는 올해 세계 경제 성장률 전망치는 2.6%로 직전 전망보다 0.4%포인트 상향 조정됐다.

미국의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종전 0.5%에서 1.5%로, 중국은 4.6%에서 5.3%로, 유로존은 0.5%에서 0.8%로 각각 올렸다. 다만 일본의 성장 전망치는 기존 1.8%에서 1.4%로 0.4%포인트 내려 잡았다.

주요 20개국(G20) 가운데 올해 성장률 전망치가 내려간 곳은 우리나라와 튀르키예(3.0%→2.8%), 아르헨티나(0.5%→0.1%), 일본(1.8%→1.4%) 등 8개국 뿐이다.

OECD는 보고서에서 “기업·소비심리 개선, 에너지·식량 가격 하락, 중국의 완전한 리오프닝(경제 활동 재개) 등 긍정적 신호가 나타나고 있으며 세계 경제가 올해와 내년에 완만하게 회복하고 인플레이션은 점진적으로 둔화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다만 보고서는 "실리콘밸리은행(SVB) 사태에서 나타나듯이 시장금리와 채권가격의 급격한 변동으로 금융회사의 사업모델이 더 높은 만기 리스크에 노출될 수 있다"면서 “세계 경제 여건에 대한 개선된 전망이 여전히 취약한 기반에 놓여 있고 하방 리스크가 더 우세하다”고 평가했다.

내년 우리나라의 성장률 전망치는 2.3%로 직전 전망치(1.9%) 대비 0.4%포인트 높였다. 내년 세계 경제 성장률(2.9%)도 직전 전망보다 0.2%포인트 상향 조정됐다.

OECD는 "기업·소비 심리 개선과 에너지·식량 가격 하락, 중국의 완전한 리오프닝(경제활동 재개) 등 긍정적 신호가 나타나고 있다"며 "특히 한국과 호주는 중국 성장 반등에 따른 수혜로 타이트(tight)한 금융 여건에 따른 영향을 상쇄할 전망이다"고 분석했다.

올해 우리나라의 물가 상승률 전망치는 종전 3.9%에서 3.6%로 0.3%포인트 하향 조정됐다. 이는 글로벌 성장 둔화와 주요국 통화 긴축, 에너지 가격 안정세를 반영한 수치다.

내년 물가 상승률은 2.4%로 직전 전망치보다 0.1%포인트 올라갔다.

OECD는 "향후 2년간 거의 모든 G20 국가에서 인플레이션이 둔화하겠지만, 내년에도 대다수 국가의 물가상승률은 목표치보다 높은 수준을 유지할 전망"이라고 밝혔다.

OECD는 통화정책에 대해서는 "물가 압력 완화 신호가 뚜렷해질 때까지 통화 긴축 기조를 지속해야 한다"며 미국·유로존 등에 추가 금리 인상이 여전히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정부도 한국 경제가 둔화 국면에 진입했다고 판단하고 있다.

기획재정부는 이날 발표한 '경제동향 3월호(그린북)'에서 “우리 경제는 내수 회복 속도가 완만해지고 수출 부진과 기업 심리 위축 등 경기 둔화 흐름이 지속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정부는 지난달 그린북에서도 한국 경제를 둔화 국면으로 진단했는데 두 달째 같은 판단을 내렸다.

이승한 기재부 경제분석과장은 “경기 둔화를 진단한 것은 수출 부진이 결정적 요인이었다”면서 “중국 리오프닝 효과로 인한 수출 반등이 나타나기 전까지 계속 부진한 모습을 보일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