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시장 리스크↑··· 건설사, '포트폴리오' 확대 나선다
주택시장 리스크↑··· 건설사, '포트폴리오' 확대 나선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원전·플랜트·친환경 등 사업 다각화···"사업 성격 잘 고려해야"
신월성원자력발전소 전경 (사진=대우건설)
신월성원자력발전소 전경 (사진=대우건설)

[서울파이낸스 오세정 기자] 국내 주택 시장 침체가 장기화하면서 부침을 겪고 있는 건설사들이 이를 타개하기 위해 새 먹거리 사업을 강화하고 있다. 주택 사업에 올인하는 사업 포트폴리오로는 위험에 빠질 수 있다는 판단 아래 원전·플랜트 등 비주택 사업과 해외 사업에 공을 들이는 모습이다. 

15일 업계에 따르면 주요 건설사들을 중심으로 주택 편중을 벗어나 원전·플랜트 부문 사업을 강화하는 움직임이 포착되고 있다. 작년 12월 전남 영광 한빛 3·4호기 증기발생기 교체공사를 마친 대우건설은 대전 유성구 핵연료 제3공장 건설공사 준공에 나설 예정이다. 또 세계 최초로 해체 예정인 캐나다형 중수로 원전 '월성 1호기 해체공사 및 공정설계'를 수행하며 체코·폴란드 신규원전사업에 '팀 코리아' 건설분야 담당으로 참여하고 있다.

특히 탄소중립 대안으로 주목 받으며 차세대 먹거리로 떠오른 소형모듈원전(SMR) 시장 선점 경쟁도 치열해지고 있다. SMR 시장에 가장 먼저 뛰어든 것은 삼성물산으로, 세계1위 SMR 기업인 미국 뉴스케일파워에 지난 2021년부터 2년간 총 7000만달러 규모 지분투자를 단행했다. 현대건설도 2021년말 미국 원자력 기업 홀텍 인터내셔널과 SMR 개발 및 사업 동반 진출 협약을 맺었다. 

DL이앤씨는 미국 SMR 개발사 엑스에너지에 대한 2000만달러 규모의 전략적 투자를 결정, 2029년 상용화를 목표로 상품 개발을 진행 중이다. 현대엔지니어링은 캐나다 앨버타주 정부의 '제로 이미션(Zero Emission·무배출시스템)' 목표 달성을 위한 SMR 사업 협력을 추진하고 있다.

전 세계적인 친환경 흐름에 따라 새 비즈니스 모델 구축에 나선 건설사도 있다. 2050년 시장 규모 600조원 전망이 나오는 폐배터리 시장에 뛰어든 SK에코플랜트가 대표적이다. SK에코플랜트는 자회사 테스, 국내 이차전지 기업 에코프로와 함께 폐배터리에서 회수한 리튬, 코발트, 니켈 등 희소금속으로 다시 배터리를 제조하는 순환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롯데건설은 2014년 포항 하수처리수 재이용시설을 완공, 하수처리 과정에서 발생한 찌꺼기나 폐수 등으로 바이오가스를 생산하는 등 수처리 부문에서 성과를 내고 있다.

올해 들어 해외 대형 프로젝트 수주 소식도 이어졌다. 최근 대우건설은 리비아에서 1조원 규모의 가스화력발전소 공사 수주에 성공했다. 현대건설과 현대엔지니어링, 롯데건설, DL이앤씨 컨소시엄은 약 9조원이 투입되는 울산의 에쓰오일 '샤힌 프로젝트'를 착공해 눈길을 끌기도 했다. 연초에는 삼성엔지니어링이 3조원 규모 카타르 에틸렌 플랜트 공사와 1000억원대 아랍에미리트(UAE) 북부 페르시아만 가스전 개발 사업을 잇따라 수주했다.

이처럼 주요 건설사들이 새로운 시장으로 눈을 돌리는 것은 최근 부동산 시장 악화로 수익성이 하락한 주택 사업 비중을 줄이기 위한 전략으로 풀이된다. 건설사들의 국내 주택건축 매출총이익률(GPM)은 2021년 18%까지 치솟았으나 지난해에는 11%로 주저앉았다. 더 이상 주택사업만으로는 이익을 내기 힘들어진 것이다. 

한 대형건설사 관계자는 "최근 주택경기 침체가 계속 이어지면서 플랜트 등 비주택 사업이나 해외시장에 집중하고 있다"며 "다른 건설사들도 올해는 새로운 먹거리 사업을 발굴하고 강화하는 전략으로 수익성을 확보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다만 전문가들은 신사업과 해외사업 등은 주택사업보다 리스크가 크고 단기간 경쟁력을 키우기 어려운 만큼 기업 상황과 사업 성격 등을 잘 고려한 뒤 추진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이지혜 한국건설산업연구원 부연구위원은 "최근 국내 건설기업들은 수익성이 낮은 시공에 집중하기보다 기업의 지속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건설 가치사슬 확장, 신사업 진출 등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면서 "사업 포트폴리오 확장은 건설업 가치사슬 확대, 건설 전후방 연관산업과 비건설산업 영역까지로의 확대로 구분할 수 있는데 사업의 성격, 보유 사업과의 연관성 등에 따라 상황에 맞는 포트폴리오 확장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