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家 '35년 집념'···코로나 백신으로 'K-바이오' 시대 열었다
SK家 '35년 집념'···코로나 백신으로 'K-바이오' 시대 열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2017년 SK바이오팜 미국법인 SK라이프사이언스 방문해 조정우 SK바이오팜 대표 등 관계자들과 회의를 하고 있다. (사진=SK)
최태원 SK그룹 회장(왼쪽 첫번째)이 2017년 SK바이오팜 미국법인 SK라이프사이언스 방문해 조정우 SK바이오팜 대표 등 관계자들과 회의를 하고 있다. (사진=SK)

[서울파이낸스 박시형 기자] 국내 첫 신약 개발로 대한민국 제약사의 첫 페이지를 쓴 SK그룹이 코로나19 백신 국산화에 성공하면서 'K 바이오' 시대를 열었다.

"바이오 주권을 확보, 사업보국을 하겠다"는 최종현 선대회장과 최태원 회장이 바이오 사업에 뛰어든지 35년만의 일이다.

SK관계자는 "SK의 바이오 역사는 최종현 선대회장과 최태원 회장, 바이오 연구진들이 리스크를 두려워하지 않고 새로운 도전을 거듭하면서 이뤄낸 성과”라며 “과감한 투자와 연구를 지속해 ‘K-바이오’의 또 다른 신화를 만들어 내겠다”고 30일 말했다.

SK는 1980년대 주력사업인 섬유산업을 대체할 성장동력을 고민하던 중 섬유 화합물 합성 방식이 제약품 제조 방식과 유사하다는 점에 착안 바이오 사업에 진출했다.

당시만 하더라도 제약업계는 다국적 기업의 신약을 구입해 단순 가공·포장하거나 복제 판매하는 수준이었다. 이 때문에 '중소업종 침해'라는 반발에 부딫치기도 했다.

이에 최종현 선대회장은 "대기업이 참여했으면 이익을 사회에 환원하고 국민에게 봉사해야 한다"며 "SK 목표는 우리 상표가 붙은 세계적 신약을 만드는 것이니 걱정하지 말라"고 말한 뒤 신약 개발에만 집중했다.

최종현 선대 회장은 1987년 선경인더스트리 산하에 생명과학연구실을 설립한 뒤 합성신약, 천연물신약, 제제, 바이오 등 4개 분야로 나눠 연구에 돌입했다.

연구실은 1989년 연구소로 확대돼 위암치료 신약을 1호 과제로 삼아 10년을 연구에 매진했다. 

그 결과 한국 근대 의약이 시작된지 100년만인 1999년, 국내 최초·세계 최초 신약인 3세대 백금착제 항암제 '선플라'를 개발했다. 당시로서는 막대한 금액인 81억원이 투입됐다.

선대회장은 미국 뉴저지와 대덕에도 연구소를 설립한 뒤 1993년 글로벌 신약기업을 따라잡기 위한 'P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이 프로젝트는 SK바이오팜의 출발점이 됐다. 

앞서 선경인더스트리에 설립된 생명과학연구소는 바이오, 백신, 제제 분야로 특화된 SK케미칼, SK바이오사이언스, SK플라즈마의 모태가 됐다.

선대회장이 남긴 바이오 사업 DNA는 최태원 SK회장과 사촌인 최창원 SK디스커버리 부회장이 이어받았다.

선플라 이후 SK는 2001년 국내 천연물 신약 '조인스'(관절염 치료제), 2007년 '엠빅스'(발기부전 치료제)를 개발하면서 국내 35개 합성신약 중 2개를 보유한 기업이 됐다.

SK의 백신 기술은 최창원 부회장이 가세하면서 본 궤도에 올랐다. 최 부회장은 2006년 SK케미칼 대표이사를 맡은 이후 프리미엄 백신 개발을 위한 스카이박스(SKYVAX) 프로젝트를 추진했고, 경북 안동에 백신공장을 설립했다.

2016년 세계 최초로 세포를 배양, 4가지 바이러스를 예방하는 독감백신(스카이셀플루)을 개발했다. 세포배양 기술은 유정란 백신에 비해 생산 기간이 짧고 효율이 우수해 독감 대유행 상황에 신속히 대처할 수 있어 바이오 업계의 주목을 끌었다. 

이런 성과를 기반으로 최 부회장은 2018년 SK바이오사이언스를 설립, K-백신 노하우를 고도화시켜 나갔다. 빌&멜린다게이츠 재단이 SK바이오사이언스의 코로나19 백신 개발에 360만 달러의 연구비를 지원한 것도 기술력을 고려한 결정이었다. 

최태원 SK회장은 신약 개발에 주력했다. 최 회장은 SK바이오팜을 설립, 2019년 수면장애 신약 '수노사'와 뇌전증신약 '엑스코프리' 등 신약 2개를 개발, 미 FDA 승인을 받아냈다. 

국내 기업 중 신약후보 물질 발굴과 임상, 미 FDA 승인, 마케팅 등을 독자적으로 수행한 신약을 보유한 기업은 SK가 유일하다. 

최 회장은 또 SK의 바이오 시장을 글로벌로 확장하면서 'K-바이오' 위상을 강화하고 있다.

최 회장은 2017년 글로벌 제약사 BMS의 아일랜드 생산시설(CMO)과 2018년 미국의 위탁개발∙생산업체(CDMO) 앰팩(AMPAC)을 인수했다. 국내 세종시에 위치한 공장을 포함하면 한국과 미국, 유럽에 바이오 생산기지를 갖춘 유일한 기업으로 성장했다. 

최 회장은 또 해외 생산시설을 통합관리하고 신약의 글로벌 마케팅을 담당할 SK팜테코를 미국 캘리포니아에 설립하면서 미국 시장도 공략 중이다.

지난해에는 프랑스 세포·유전자치료제 기업 이포스케시를 인수했고 지난 1월에는 미국 세포·유전자치료제 기업 CBM에 투자해 세포·유전자치료제까지 생산하는 기업으로 외형을 확장했다. 

특히 이포스케시에 대한 투자는 프랑스 정부가 2030년 부산엑스포 유치 지원을 위해 프랑스를 방문한 최 회장에게 양국 경제협력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 '레지옹 도뇌르' 훈장을 수여할 정도로 경제외교를 강화하는 계기가 됐다. 

이 외에도 SK는 인공지능을 활용, 단백질을 분해해 신약을 개발한 로이반트 사이언스에 투자하고 중국에 중추신경계 제약사인 이그니스를 설립하면서 해외시장 진출을 본격화하고 있다. 

SK는 바이오 관련 분야에 향후 5년간 최소 6조원 이상 투자를 단행할 예정이며, 향후 SK발 K-바이오 스토리가 더 많이 창출될 것으로 예상된다.


관련기사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