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문일답] 한은 "올해 물가상승률 4.5%···물가 상방 리스크 내년까지 지속"
[일문일답] 한은 "올해 물가상승률 4.5%···물가 상방 리스크 내년까지 지속"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국은행, 5월 수정경제전망 기자간담회
성장률 2.7% '0.3%p↓', 물가 4.5% '1.4%p↑' 
김웅 한국은행 조사국장이 26일 오후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경제전망 설명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 한국은행)
김웅 한국은행 조사국장이 26일 오후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경제전망 설명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 한국은행)

[서울파이낸스 박성준 기자] 한국은행이 올해 우리나라 물가상승률 전망치를 큰 폭으로 상향 조정한 가운데 향후 상방 리스크가 더욱 클 것으로 내다봤다. 특히 수요측 요인과 공급측 요인 가릴 것 없이 모두 높은 물가 오름세를 주도하면서, 내년까지 우리 경제의 가장 큰 리스크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란 관측이다.

한은은 26일 발표한 수정 경제전망을 통해 올해 우리나라 물가상승률 전망치를 4.5%로 예상했다. 지난 2월에 발표한 3.1%보다 무려 1.4%p가 뛰었다. 이는 지난 2008년 7월에 전망한 4.8% 이후 13년10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이뿐만 아니라 국제통화기금(IMF, 4.0%)을 비롯해 한국개발연구원(KDI, 4.2%), 한국금융연구원(4.1%) 등 대내외 전망기관에서 발표한 전망치와 비교해도 가장 높은 수준에 달한다.

한은은 물가의 상방 리스크 요인으로 △에너지가격 △식료품 가격 △물가상승 품목 확대 △거리두기 해제 등 크게 4가지로 꼽았다. 특히 국제 식량가격 오름세가 크게 확대되는 등 곡물가격 급등세가 물가상승압력을 높이는 '애그플레이션'을 언급하기도 했다.

반대로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는 2%대로 낮아졌다. 올해 연간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에 대해 한은은 종전 3.0% 전망에서 2.7%로 하향 조정했다. 원자재 가격 급등세에 따른 무역수지의 악화, 중국의 코로나19 봉쇄 조치에 따른 경기 둔화, 인플레이션에 따른 소비 부진 등의 요인이 성장률 하방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란 전망이다.

[다음은 김웅 조사국장과 이정익 물가동향팀장의 일문일답]

- 원·달러 환율, 추가경정예산, 거리두기 해제 등 물가에 있어 상방 요인이 많은 것으로 보인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해달라.

△ 물가를 상향 조정한 데에는 크게 4가지 요인을 꼽을 수 있다. 첫 번째는 에너지가격이다. 종전 국제유가 연평균 전망치를 배럴당 80달러 중반으로 잡았다면 이번에는 102달러로 전망해 20%가량 상향 조정했다. 이런 부분에서 상당폭 상향 조정이 이뤄졌다.

아울러 식료품 가격 급등에 따른 애그플레이션이 있다. 국제연합(UN)에서 발표하는 국제식량가격 평균 종합지수를 보면 코로나 이전과 비교해 60%가량 뛰었다. 밀, 옥수수 등 세부 품목으로 나눠보면 증가폭이 훨씬 크다. 이는 국내로 넘어와 가공식품의 가격을 올리고, 가공식품 가격 인상은 외식 가격 인상으로 이어진다.

세 번째로는 물가상승 품목이 광범위하게 확대되고 있다는 점이다. 예상보다 빠르고 광범위하게 올라서 지난 4월에도 (소비자물가가) 4.8% 올랐고, 이달과 내달에도 5%를 웃돌 것으로 예상한다. 마지막으로는 거리두기 해제로, 수요측의 물가상승압력 또한 예상보다 더욱 강하게 나올 것으로 예상한다.

다만, 이런 전망은 하반기에 우크라이나 사태, 중국의 봉쇄 조치와 같은 불확실성이 일부 해소될 수 있다는 것을 전제로 했다. 만약 상황이 개선되지 않는다면 (물가는) 더욱 뛸 수 있다.

- 물가상승압력에서 수요측 요인과 공급측 요인이 어떻게 되고, 무엇이 더 크다고 보나?

△ 수요측 요인과 공급측 요인을 모두가 만족할 수 있도록 구분하기 쉽지 않다. 굳이 품목별로 나눠본다면 에너지·식료품 등이 공급측 영향을 많이 받으며, 이를 제외한 나머지 품목을 포함하는 근원 물가가 수요측 영향을 더욱 많이 받을 것으로 보인다.

지난 4월 소비자물가 상승률로 보면 4.8% 인상폭 가운데 식료품·에너지 기여도가 2.4%이며, 나머지 품목에서 2.4%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공급·수요 모두 절반 정도의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대내·대외 요인으로 본다면 우크라이나 사태, 중국 봉쇄 조치 등은 대외 여건으로 공급측 요인에 가깝고, 거리두기 해제 등은 대내적·수요측 요인에 가깝다. 다만, 2차 파급효과 등을 감안할 필요가 있다.

- 여전히 수출이 성장에 상방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는지 궁금하다. 

△ 수출 전망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을 중국을 바라보는 시각이다. 중국이 코로나 봉쇄 조치에 따라 성장세가 둔화되거나, 생산 차질이 있으면 우리 수출과도 연결된다. 수출이 큰 폭으로 제약받지는 않겠으나, 영향이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반도체 수출이 우리나라 수출의 상방 요인으로 작용할텐데, 수출 전체로 봤을 때는 우리 경제의 상방 요인으로 보기는 어렵다고 본다. 대외적 요인인 우크라이나 사태, 중국 봉쇄 조치 등에선 상방보다 하방 압력이 더욱 크다. 반대로 거리두기 해제, 추경 등을 볼 때 대내 요인은 상방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다. 현재 성장률 전망은 보수적으로 전망한 것이며, 지난해 성장 동력이 수출이었다면 올해는 소비에 가까울 전망이다.

- GDP갭이 플러스로 전환했는지, 전환했다면 앞으로 확대되는 추세로 보고 있나.

△ 이번 전망치를 통해 재추정한 결과, 잠재GDP는 2% 내외로 추정된다. GDP갭의 마이너스 해소는 상반기로 예상한다. 지난해 4분기 GDP가 전기 대비 1.2%로 올랐고, 1분기도 0.7%를 기록했다. 이는 우리의 예상보다 높았다. 올해 2.7%, 내년 2.4%의 성장률 전망으로 플러스갭은 더욱 확대될 것으로 본다.


관련기사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