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승희 칼럼] 엔데믹 시대엔 세계경제 회복될까
[홍승희 칼럼] 엔데믹 시대엔 세계경제 회복될까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금 전 세계적으로 물가가 가파르게 오르고 있다. 팬데믹 초기에는 봉쇄와 생산차질로 인한 글로벌 밸류체인이 붕괴되며 시작된 물가 상승이 이후 물류 장애로 탄력을 받았고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한 서방세계의 러시아 경제봉쇄 전략으로 에너지와 식량, 원자재 공급에 차질이 발생하면서 각국 정부의 물가비상을 초래하고 있다.

세계의 생산기지 역할을 하던 중국이 미국과의 분쟁에 이어 제로 코로나 정책을 강행하는 중국 정부 내부 문제까지 겹치며 더 이상 생산기지로서의 위치를 지키기 어려워지고 있다. 중국 최대의 경제도시인 상하이 전면봉쇄가 시행되면서 그간 중국의 정치적 리스크로 불안해 하던 외국 자본들이 차츰 중국을 이탈하기 시작하면서 중국의 성장 속도가 현격히 떨어질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올 연초까지만 해도 중국 정부는 5.5% 성장을 목표로 잡았지만 국제기구들은 현재 중국 내 상황이 지속될 경우 최소 2%p 이상 성장률 하락을 겪을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기 시작했다. 세계적 생산품 공급은커녕 이대로 중국의 봉쇄 일변도 정책이 지속될 경우 중국내 물류에도 타격이 커질 것으로 보인다.

오랜 기간 물가가 오르지 않아 고민하던 일본은 요즘 '나쁜 엔저'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심각한 물가 압박을 받고 있다고 한다. 하이퍼 인플레이션에 직면했다는 얘기까지 나오고 있다. 에너지 대부분을 수입해야 하는 데다 수출품의 원자재 및 부품 중 수입품 비중이 큰 경제구조로 인해 그동안 엔저 호황의 추억을 갖고 있는 일본은 엔저로 인한 물가 폭등이라는 유례없는 경험을 하게 된 것이다.

원자재 수입 비중이 높은 한국 역시 달러 강세에 적절한 대응을 못할 경우 일본 수준까지는 아니라도 물가상승 압박은 크게 받을 것이고 또 중국만큼은 아니라도 성장률 목표치의 하향조정을 강제 당할 가능성은 높다.

이런 현상에서는 현재 전 세계에서 가장 경제적 실속을 챙기고 있는 미국이라고 해서 홀로 자유로울 수 없다. 올해 의회 선거를 앞두고 있는 바이든 행정부로서도 가파른 물가상승은 발등의 불이다.

지금 국내 언론들은 정치적 맥락에서 문재인 정부의 경제 실적을 어떻게든 깎아내리기 위해 숫자를 의도적으로 왜곡하거나 비틀어버리는 데 혈안이 돼 있지만 그런 방향성은 오히려 차기 정부 경제정책의 발목을 잡을 위험성만 높인다. 문재인 정부 하에서 국가부채가 폭증했다는 식의 국가부채와 국가채무조차 구분하지 못하는 경제기사들을 쏟아내고 있지만 지난 5년간 순자산 규모를 늘려온 정부 실적을 비틀어버린다면 이후 어떤 경제정책을 세우라는 것인지 터무니가 없다. 경제기사가 정치화함으로써 국가 경제의 미래를 혼돈으로 밀어넣는 결과를 부를 뿐이다.

팬데믹 상황이 엔데믹으로 전환된다 해도 세계는 지금 당장 물류 경색현상이 쉽사리 풀리기 어려워 보인다. 에너지와 식량 등 가장 기본적인 생산물들의 생산 및 유통 차질은 적어도 올 한해 개선될 가능성이 적다.

당장 세계 3대 곡창지대라는 우크라이나는 전쟁이 더 길어지면 올해 생산활동을 할 수 없고 그만큼 세계 곡물 수급에 문제가 커진다. 러시아는 이미 서방세계로부터의 각종 제재에서 조속히 벗어나기 어려울 것이고 그로 인한 러시아산 원유 및 가스 공급량 감소도 당연히 예상되는 문제다.

만약 중국의 대만 침공이 실제 발생한다면 그로 인한 대 중국 경제봉쇄 또한 불가피해질 것이다. 그 전장이 바로 해운 물류의 중요 루트인 만큼 당장 한국이나 일본은 중동이나 유럽, 아프리카 등과의 물류 유통에 심각한 타격을 받을 수밖에 없다.

물가상승 압박이나 성장률 지체 현상은 전 세계적으로 벌어질 일이지만 현재 한국은 상대적으로 그 압박 강도가 다른 나라들보다 약하다. 지난해 팬데믹 상황 속에서도 한국 경제가 적절한 대응으로 내실을 다진 결과다.

다만 수출 위주 경제구조를 가진 한국 입장에서 환율압박에 대비하기 위한 생산품의 국산화율 높이려는 노력이 그 어느 때보다 긴요해졌다. 차기 정부에서 그간의 시스템적 진전을 되돌리는 뒷걸음질만 치지 않는다면 그나마 한국은 다른 나라들보다 나은 형편이긴 하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