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출 혹한기' 온다···하나·국민銀도 가계대출 '경고등'
'대출 혹한기' 온다···하나·국민銀도 가계대출 '경고등'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농협銀 대출 중단 조치 등 풍선효과
당국, 가계대출 관리 강화 기조 지속
한 은행의 대출 창구 (사진=서울파이낸스DB)
한 은행의 대출 창구 (사진=서울파이낸스DB)

[서울파이낸스 이진희 기자] 일부 시중은행의 대출 중단에 따른 '풍선효과'가 가시화되고 있다. 하나은행, KB국민은행의 가계대출 증가세가 금융 당국 목표치(5~6%)에 턱밑까지 도달한 가운데, 나머지 은행들도 전세자금대출을 중심으로 가계대출이 급증하고 있다.

이에 따른 대출 보릿고개는 더욱 심화될 전망이다. 연간 가계대출 증가율 상한선을 넘지 않기 위한 은행권 자체 대출 조이기 움직임에다 당국이 예고한 가계부채 억제책까지 더해질 예정이어서 '대출 혹한기'가 오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23일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 16일 기준 하나은행의 가계대출 증가율은 5.04%로 집계됐다. 지난달 4.62%에서 약 2주 만에 0.42%포인트(p) 오르며 5%를 넘어섰다. 

같은 날 기준 국민은행의 가계대출 증가율은 4.37%로 당국 권고치에 근접했으며, 비교적 여유가 있던 △우리은행(3.9%) △신한은행(2.83%)도 빠르게 증가율이 치솟으면서 추가적인 관리가 필요해졌다.

은행 중 가계대출 증가율이 가장 가파른 농협은행(7.4%)의 경우 대출 중단 조치에도 당국 목표치의 마지노선을 이미 넘어선 상태다.

은행들의 가계대출은 전세자금대출을 중심으로 불어나고 있는 추세다. 가을 이사철을 맞아 전셋값이 천정부지로 치솟자 대출 수요가 크게 늘었다는 설명이다.

같은 기간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등 5대 시중은행의 가계대출 잔액은 701조5680억원으로 나타났는데, 올해 전세자금대출은 14.74%나 증가했다. 이는 주택담보대출(4.54%)과 신용대출(6.02%)의 증가세를 크게 뛰어넘는 수준이다.

더군다나 농협은행이 지난달 24일부터 일부 대출의 신규 취급을 전면 중단하면서 시작된 대출 쏠림 현상이 반영된 결과로 은행권은 보고 있다. 한 은행에서 대출이 막히면 다른 은행으로 대출이 쏠리는 이른바 풍선효과다.

앞서 농협은행은 정부 권고치를 초과하면서 지난달부터 3개월간 주택담보대출을 비롯해 전세대출, 아파트집단대출 등 신규 담보대출을 전면 중단한 바 있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일주일 전만 해도 가계대출 증가율이 더 높았는데, 집단대출 상환이 이뤄지면서 그나마 낮아진 것"이라며 "일부 은행들이 가계대출을 중단하거나 한도를 줄인 탓에 수요 쏠림으로 대출이 늘었지만, 당국 가이드라인에 맞춰 관리해 나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문제는 은행들이 가계대출 증가세를 관리하기 위한 움직임에 나설 것으로 보이며 대출 절벽 현상이 심화될 가능성이 커졌다는 점이다. 실제로 이달 들어 KB국민은행이 주택담보대출 및 전세자금 대출 우대금리·한도를 축소한 데 이어 우리은행도 잔액 기준 코픽스 주택담보대출 취급을 11월말까지 한시 중단했다.

신용대출 한도는 5대 시중은행 모두 연소득 수준으로 축소됐으며, 마이너스 통장 한도 역시 5000만원으로 줄어들었다.

은행들이 연말까지 취급할 수 있는 한도 자체도 많지 않다. 상한선인 '6%'에 맞춘다고 가정했을 때, 5대 은행이 추가로 내줄 수 있는 금액은 약 9조원 수준이다. 은행 입장에선 강도 높은 속도 조절이 불가피하다.

금융당국 역시 추가 대출 규제 발표를 준비 중이다. 고승범 금융위원장은 지난 16일 기자들과 만나 "가계부채 관리를 강화하는 방향으로 방안이 만들어질 것"이라고 언급한 바 있다.

가계부채 상승률을 낮추기 위한 카드로는 개인별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 확대 시기를 앞당기거나 은행권보다 느슨한 2금융권에 지금보다 강화된 대출 규제를 적용하는 방안을 적용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는 가운데, 실수요가 많은 전세대출에 대해서는 고심을 거듭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 다른 은행 관계자는 "지금 상태로는 당국이 설정한 연간 목표치인 6%를 지키기 어려울 수 있다"면서 "당국도 가계부채 관리를 강화한다고 거듭 강조하고 있는 만큼, 대출 심사를 강화하거나 한도를 줄이는 등 속도조절이 불가피하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