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中 헝다그룹 쇼크, 금융시장 변동성 확대 우려"
한은 "中 헝다그룹 쇼크, 금융시장 변동성 확대 우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승헌 부총재 주재 '상황점검회의' 개최
"시스템 리스크 전이 가능성은 낮을 것"
"美연준, 통화정책 정상화 속도 높일 듯"
서울 중구 한국은행 전경. (사진= 박성준 기자)
서울 중구 한국은행 전경. (사진= 박성준 기자)

[서울파이낸스 박성준 기자]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 인상 시기가 당초 예상보다 앞당겨진 가운데 한국은행은 중국 헝다그룹의 디폴트(채무상환 불이행) 위기 등을 계기로 금융시장의 변동성이 확대될 수 있을 것으로 우려했다. 이에 따라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대응 방안을 상시 점검하겠다는 계획이다.

한은은 23일 오전 이승헌 부총재 주재로 '상황점검회의'를 개최하고,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결과에 따른 국제금융시장 상황 및 국내 금융시장에 미칠 영향을 점검했다고 밝혔다. 

추석 연휴기간 중 국제금융시장에서는 FOMC에 대한 경계감이 지속되는 가운데 중국 헝다그룹 채무불이행 우려 등으로 안전자산 선호가 강화되는 등 주요국 주가와 금리가 하락하고 미국 달러화는 강세를 보였다. 지난 21일에는 헝다그룹 관련 우려가 일부 완화되면서 주요국 주가 등에 반영되기도 했다.

미 연준은 지난 21~22일(현지시간) 이틀간 정례회의를 열고 정책금리를 현 수준(0.00∼0.25%)에서 동결하고, 자산매입 규모(매월 1200억달러)를 유지하는 등 기존의 완화적 정책기조를 유지했다. 다만, 정책결정문에서 경제상황 진전이 예상대로 계속된다면 곧 자산매입 속도를 완화하는 것이 타당해질 수 있다는 의견도 내비쳤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기자회견에서 "테이퍼링(자산매입 축소)이 빠르면 다음 회의에서 결정될 수 있으며, 내년 중반경 종료하는 것이 적절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 아울러 연준 위원들의 정책금리 기대를 보여주는 점도표(dot plot)에서도 2022~2023년 정책금리 인상을 예상한 참석자가 늘어나고 정책금리 인상 횟수가 상향 조정됐다.

이와 함께 중국 민간 최대 부동산개발업체인 헝다그룹은 이날 달러 표시 채권에 대한 이자 지급일을 맞아 위안화 채권에 대한 이자를 제때 지급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이자 규모는 2억3200만위안(약 425억원)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올해 말까지 지급해야 할 이자 총액이 7억달러(약 8290억원) 수준에 달하는 것을 고려할 때 중국 정부의 지원없이 독자적인 회생은 어려울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이 때문에 헝다그룹의 파산 위기는 '중국판 리먼 브라더스 파산 사태'로 인식돼 투자자들의 경계 심리를 더욱 높이고 있는 상황이다.

이 부총재는 "이번 FOMC 결과 발표는 시장 예상과 대체로 부합했으나, 테이퍼링 종료시점이 앞당겨지는 등 미 연준의 통화정책 정상화 속도가 예상보다 빨라질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할 것"이라면서 "중국 헝다그룹 위기는 국제금융시장의 시스템 리스크로 전이될 가능성은 낮다는 평가가 우세하지만, 부동산 관련 부채누증 문제가 현실화된 만큼 사태의 전개상황에 따라 금융시장 변동성이 확대될 소지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향후 연준 등 주요국의 통화정책 기조 변화, 중국 헝다그룹 쇼크의 전개상황 등에 따라 국내외 금융시장의 변동성이 높아질 수 있는 만큼 금융시장 불안요인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대응방안을 상시 점검해 나갈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