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SDI, 스텔란티스 북미 파트너 될까···합작 여부 '이목'
삼성SDI, 스텔란티스 북미 파트너 될까···합작 여부 '이목'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스텔란티스, 전기차에 2025년까지 300억유로 투자
북미 파트너 없는 두 회사···JV로 윈윈 전략 가능
삼성SDI 측 "북미 진출 방식·시기 확정된 바 없어"
인터배터리 2021의 삼성SDI 부스 (사진=박시형 기자)
인터배터리 2021의 삼성SDI 부스 (사진=박시형 기자)

[서울파이낸스 박시형 기자] 삼성SDI가 미국 진출 계획을 시사한 이후 세계 4위 완성차 업체 스텔란티스가 대규모 투자를 발표하자 두 회사의 합작법인(JV) 살립 여부에 시장의 관심이 집중된다.

9일 업계에 따르면 스텔란티스는 'EV데이 2021'을 통해 2025년까지 전기차 개발·양산에 300억유로(약 40조8000억원) 이상을 투자하겠다고 밝혔다. 

특히 전기차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배터리 개발을 위해 글로벌 배터리사와 압작 형태로 독일·프랑스·이탈리아 등 유럽 3개국과 북미에 총 5개의 배터리 공장을 건설하겠다는 계획을 내놨다.

시장에서는 북미 시장의 파트너로 삼성SDI를 점치고 있다.

앞서 전영현 삼성SDI 사장은 지난달 배터리 박람회에서 미국 시장 진출에 대해 "검토하고 있다"고 말한 바 있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미국 내 생산 제품을 우선 구매하도록 하는 '바이 아메리카' 행정명령에 서명하자 '검토'에 나선 것으로 분석된다.

실제로 LG에너지솔루션은 GM과 JV인 '얼티엄셀즈'를 설립하고, 총 70GWh 규모의 1·2 생산공장을 건설하고 있다. SK이노베이션도 포드와 함께 블루오벌SK를 설립해 2020년대 중반부터 연간 60GWh규모로 배터리를 생산할 계획이다.

미국은 세계 자동차 수요의 약 20%를 차지할만큼 거대한 시장이다. 또 자동차의 표준을 주도하고 있어 배터리 업체들은 미국 시장 진출에 열을 올리고 있다.

이런 맥락에서 볼 때 아직 미국 내 파트너를 구하지 못한 스텔란티스와 삼성SDI의 합작은 윈-윈(Win-Win)할 수 있는 전략이다.

스텔란티스는 2025년까지 총 130GWh 이상의 생산능력을 확보하고, 2030년에는 260GWh까지 늘리는 걸 목표로 잡았다. 모든 공장을 같은 규모로 짓는다고 가정하면 2025년 미국 내에만 52GWh 생산 능력을 갖추게 된다

블루오벌SK에 각 3조원씩 총 6조원이 투입된 걸 고려했을 때 비슷한 규모인 스텔란티스의 공장도 그에 상응하는 비용을 투입해야 한다. 이미 미국 내 여러 공장을 보유하거나 건설중인 국내 배터리사들보다는 상대적으로 여유가 있는 삼성SDI가 더 적극 나설 수 있다.

삼성SDI가 이미 스텔란티스의 피아트 전기차 500e에 배터리를 납품하고 있다는 것도 양 사의 JV 설립 가능성에 힘을 실어준다.

중국의 콘템포라리 엠페렉스 테크놀로지(CATL)나 비야디(BYD)도 파트너 후보군으로 거론되지만 미국과 중국의 무역전쟁이 갈수록 격화되고 있어 이들의 미국 진출은 쉽지 않아 보인다.

이에 대해 삼성SDI는 아무것도 확정된 바 없다는 입장이다.

삼성SDI 관계자는 "미국 시장 진출에 대해서는 언급됐지만 독자적인 공장을 건설할지, JV를 설립할지는 물론, 진출 시기에 대해서도 아직 결정된 내용이 없다"며 "여러 방안을 두고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