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체인저 된 '기후금융'···美·中·EU 중앙은행도 나선다
게임체인저 된 '기후금융'···美·中·EU 중앙은행도 나선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각국 중앙은행, 통화정책에 기후문제 적용 고려
美 위원회 출범···EU 기후 스트레스테스트 도입
"기후금융 첫 삽···노동·자본 목표와 조화 필요"
(사진=픽사베이)
(사진=픽사베이)

[서울파이낸스 유은실 기자] #지난해 여름 이상고온 현상으로 캘리포니아 전 지역에서 600건에 달하는 산불이 발생해 서울의 6배가 넘는 면적이 불에 탔고, 유럽에서는 폭염과 가뭄으로 곳곳에서 피해가 잇따랐다. 같은 기간 중국에선 홍수피해로 양쯔강의 싼샤댐이 붕괴될 가능성에 놓였고, 충칭 지역에서 26만명의 이재민이 발생하는 등 일대 혼란을 겪었다. 결국 작년 기후 재해로 글로벌 보험사는 약 830억달러의 손실을 기록했다.

기후가 금융 분야의 '게임체인저'로 떠올랐다. 전 세계 주요국을 이끄는 수장들은 기후변화와 탄소중립 정책을 전면에 내세웠고 그간 통화정책에 기후문제를 적용하는 것에 소극적이던 글로벌 중앙은행들도 대책 마련에 나섰다.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는 지난달 '금융안전기후위원회(FSCC)'를 출범시킨다고 공식 선언했다. 기후변화로 인한 홍수·산불·폭염 등 자연재해가 금융시스템에도 치명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것을 인정한 것이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레이얼 브레이너드 연준 이사는 지난 3월 23일(현지시각) 비영리 환경단체인 세레스가 주최한 온라인 콘퍼런스에서 "연준이 금융안정기후위원회를 출범시킬 예정"이라며 "기후변화로 인해 금융시스템에 예측 불가능한 충격이 발생할 수 있다"고 배경을 설명했다.

FSCC는 지난 1월 설립된 기후감독위원회(SCC)와 합쳐 운영되고, 글로벌 금융위기 재발 예방을 위해 설치된 금융안정감독위원회(FSOC)와도 협력할 예정이다. 이들은 기후변화와 경제적 위험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대응책을 마련하는 업무를 수행한다.

미 연준은 지난해 12월 '기후 및 환경 관련 금융리스크 관리를 위한 중앙은행과 감독기구들의 자발적 논의체(NGFS)'에 합류하기도 했다. 

중국에서도 녹색채권 발행에 관한 관심이 뜨겁다. 이강(易綱) 중국 인민은행 총재는 지난 20일 하이난 보아오포럼 석상에서 "고탄소 배출 자산에 대한 투자를 제한하고 녹색채권 등 녹색자산에 대한 투자를 늘리겠다"며 "향후 통화정책 과정에도 기후변화를 중요 요인으로 고려할 것"이라고 말했다.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은 중국 정부의 탄소정책과 발맞춰 기후변화를 통화정책의 주요 의제로 끌어올렸다. 이강 총재가 강조한 녹색채권은 채권 발행 자금을 기후변화와 신재생에너지와 같은 친환경 프로젝트에만 쓸 수 있도록 목적을 제한한 채권을 의미한다. 

로이터에 따르면 시진핑 중국 주석은 지난 22일 열린 기후정상회의에서 "2060년까지 온실가스 순배출을 '제로(0)'로 만드는 탄소 중립을 달성하겠다"고 발표했다. 미중 갈등이 격화되고 있는 상황에서도 '기후금융' 분야에서는 미국과 협력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냈다.

세계 중앙은행 중 기후금융 대응에 가장 적극적인 곳은 유럽중앙은행(ECB)이다. ECB는 오는 2022년 기후 스트레스테스트를 도입하기 위해 기후리스크 대응체계 확충에 들어갔다. 

주요 외신에 따르면 회사채 담보와 매입을 조정하는 방식으로 통화정책에 기후변화 요소를 반영할 것으로 전망된다.  

ECB는 현재 다양한 기후 시나리오를 상정하고, 기후리스크와 물리적(기상이변으로 인한 자본 훼손)·이행(탄소집약적 산업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리스크와의 상관관계를 테스트하고 있다. 올해 7월쯤 최종 평가를 마치고 결과를 통화정책에 적용할 계획이다.

물론 중앙은행들이 제시한 기후금융은 아직 초기 단계에 머물러있다. 통화정책에 기후금융을 반영하겠다는 선언이 이어지고 있지만 '어떻게'라는 구체적인 실천방법을 제시한 곳은 아직 없다. 각국 중앙은행은 코로나19로 인해 촉발된 노동·자본시장의 불안을 안정시켜야 한다는 과제도 떠안고 있다.

정중식 국제금융센터 부전문위원은 "중앙은행은 정부와 독립적인 기관으로 중앙은행이 정한 목표에 맞춰 움직인다"며 "최근 유럽중앙은행이 기후금융 관련한 언급을 가장 많이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다만 중국의 경우 탄소 집약 산업군이 많고, 미국 중앙은행의 목표 자체도 고용 등에 맞춰져 있어 강력한 합의와 정책 전환까지는 시간이 더 필요해 보인다"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1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다라미 2021-04-28 22:47:17
중국은 이런 국제적으로 민감해진 사안에 겉으로는 위하는척 속으로는 어떻게든 이득한번 챙겨보려 하겠지 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