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 비둘기 연준 '환호'···다우 첫 3만3000선 돌파 마감
뉴욕증시, 비둘기 연준 '환호'···다우 첫 3만3000선 돌파 마감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023년까지 제로금리' 전망
파월 "테이퍼링 시기상조"
사진=뉴욕증시
사진=뉴욕증시

[서울파이낸스 남궁영진 기자] 뉴욕증시에서 주요 지수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의 결과에 대한 안도감으로 상승 마감했다.

17일(미국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 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189.42p(0.58%) 상승한 3만3015.37에 거래를 마쳤다. 처음으로 3만3000선을 넘어 종가를 형성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전장보다 11.41p(0.29%) 오른 3974.12에, 나스닥 지수는 53.64p(0.4%) 상승한 1만3525.20에 장을 마감했다. S&P 500 지수도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시장 참가들은 FOMC 결과와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의 발언에 촉각을 곤두세웠다.

장 초반에는 불안감이 적지 않았다. 연준이 기대보다 덜 완화적일 수 있다는 우려 탓이었다. 연준은 하지만 장기간 완화적인 통화정책을 유지할 것이란 방침을 다시 한번 확인하면서 안도감을 제공했다.

특히 연준 위원들의 기준금리에 대한 전망을 담은 '점도표'에서 2023년까지 제로(0) 부근 금리가 이어질 것이란 전망에 변화가 없었던 점이 크게 작용했다.

내년 이후 금리 인상을 예상한 위원이 지난 12월 전망보다 늘어나기는 했지만, 평균 금리 중간값은 올해부터 2023년까지 0.1%로 동일했다. 다수의 위원이 이 기간 금리 동결을 예상한다는 의미다.

시장에서는 최근 경제 지표 개선과 1조9000억 달러 부양책 등을 고려하면 점도표 상의 금리 인상 시기가 앞당겨질 수 있다는 전망이 적지 않았다.

연준은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6.5%로 기존 전망 4.2%에서 대폭 상향 조정했지만, 점도표가 유지되면서 긴축에 대한 우려를 자극하지 않았다.

파월 의장도 지금은 테이퍼링(채권매입 축소)을 논할 시기가 아니라고 긴축 논란에 재차 선을 그었다. 그는 "전망치가 아닌 실제 지표를 보고 싶다"면서 "전망에 근거해 선제적으로 행동하지 않겠다"고 강조했다.

경제가 개선될 것으로 예상되지만, 지표로 확인할 때까지는 통화정책에 변화를 주지 않겠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파월 의장은 시장의 관심이 집중됐던 은행의 SLR(보완적 레버리지 비율) 완화 연장과 관련해서는 조만간 별도의 발표가 있을 것이라면서 추가적인 설명은 내놓지는 않았다.

장 초반 1.67% 위로 올랐던 미 국채 10년물 금리도 FOMC 이후에는 1.6%대 초반으로 내렸다.

이에 따라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도 상승 전환하는 등 위험자산에 대한 투자 심리가 전반적으로 개선됐다.

다만 증시 마감 무렵에는 미 국채 10년물 금리가 1.65% 부근으로 다시 반등하는 등 금리 상승 흐름 자체가 완전히 꺾이지는 않는 양상이다.

유럽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상황은 불안 요인으로 부상했다. 독일과 프랑스 등 유럽 각국에서 신규 확진이 재차 증가하면서 '3차 유행' 우려가 제기되는 중이다. 다수 국가가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접종을 일시 중단하는 등 백신 보급에도 차질이 발생하고 있다.

이날 발표된 미국의 경제지표는 부진했다. 상무부는 2월 신규 주택 착공 실적이 전월 대비 10.3% 급감한 142만1000채를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월스트리트저널이 집계한 전문가 전망치 2.5% 감소한 154만 채에 못 미쳤다.

2월 주택착공 허가 건수는 10.8% 감소한 168만2000채를 기록했다. 시장 예상치 7.0% 감소한 175만 채도 하회했다.

이날 업종별로는 산업주가 1.12% 오르며 장을 이끌었다. 기술주는 0.11% 내렸지만, 커뮤니케이션은 0.22% 상승했다.

뉴욕증시 전문가들은 이번 FOMC가 시장에 최선의 결과라고 평가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FF 금리선물 시장은 9월 25bp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을 4.4% 반영했다. 시카고옵션거래소(CBOE)에서 변동성지수(VIX)는 전 거래일보다 2.83% 하락한 19.23을 기록했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