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가 "한전, 4분기 7천억원대 적자 전망"···'비용·실적' 겹악재
증권가 "한전, 4분기 7천억원대 적자 전망"···'비용·실적' 겹악재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사진=한국전력공사
사진=한국전력공사

[서울파이낸스 김혜경 기자] 한국전력이 지난해 4분기에도 전년 동기와 비슷한 규모의 적자를 낼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원전사후처리 비용, 탄소배출권 구입비 증가 등 일회성 비용 요인과 함께 미세먼지 대책, 판매실적 감소 등의 영향이 맞물리면서 4분기 영업손실이 불가피할 것으로 분석됐다.

19일 증권사들의 컨센서스(최근 3개월 추정치 평균)에 따르면 연결기준 4분기 한전의 영업손실 규모는 7556억원, 매출액은 14조9102억원으로 집계됐다. 2018년 4분기에는 연결기준 영업손실 7885억원, 매출액 15조1746억원을 기록한 바 있다. 

이같은 추정치에는 약 2000억~2500억원 규모의 원전사후처리 관련 비용을 반영한 것이다. 한전의 발전자회사인 한국수력원자력은 원전 해체를 위해 매년 일정 수준의 충당금을 적립하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해당 비용을 2년마다 새롭게 평가해 충당금의 추가 적립 필요 여부를 판단한다. 지난해 12월 원전 1개 호기당 소요되는 해체 비용이 기존 7515억원에서 8129억원으로 8.2% 상향 조정됐다. 

탄소배출권 구입 비용도 약 6000억원 늘어날 것으로 예상됐다. 유상 할당량 증가 등의 요인이 컸다는 분석이다. 황성현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4분기 한전은 약 1조4000억원의 적자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면서 "적자 폭이 전년 동기 대비 늘어날 것으로 추정된 이유는 원전 폐기물과 탄소배출권 일회성 비용 9000억원이 반영되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발전자회사에 할당되던 탄소배출권 감소와 2차 계획부터 적용된 유상할당으로 환경비용이 7000억원으로 증가했다"고 지적했다.

이어 "2021년 3차 배출권거래제가 실시될 경우 유상할당량은 3%에서 10%로 커질 전망"이라면서 "올해 상반기까지 배출권거래제 세부사항, 전기요금 개편 로드맵 확정을 통해 탄소비용 전가에 대한 논의가 활발해질 것으로 예상된다"고 덧붙였다. 

하나금융투자도 4분기 약 1조1000억원의 영업손실로 전년 대비 적자폭 확대를 예상했다. △원전 사후처리단가 상승과 탄소배출권 등 기타비용 증가 △판매실적 부진 △원전이용률 하락을 실적 부진 원인으로 꼽았다. 유재선 연구원은 "전력수요 감소와 주요 원재료 가격 하락 본격화로 연료비는 크게 개선되지만 기저발전비중 축소로 구입전력비 감소폭은 크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신지윤 KTB투자증권 연구원은 "탄소배출권 비용과 원전사후처리 충당금 개정 등으로 4분기 6261억원의 영업손실이 예상된다"면서 "신·재생에너지공급인증서(REC) 가격하락으로 연간 2조원 규모의 신·재생에너지 공급의무화(RPS) 비용이 안정될 것으로 보이지만 환경비용 전체를 낙관해서는 안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신 연구원은 "미세먼지 대책, 탄소경제 구축 등 환경비용이 시사하는 바를 경시하면 안되는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연구원은 △기저발전 가동률이 낮게 유지된 영향 △석탄발전소 출력 상한 80% 제한 △따뜻한 날씨 영향에 판매실적이 부진한 영향도 4분기 실적에 부정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측했다. 다만 △전기요금체계 개편 논의 △유가 안정화로 인한 원료비 부담 완화 △원전 계획예방정비 종료 등은 올해 상반기 실적에 긍정적인 요인으로 분석됐다. 

민사영 메리츠종금증권 연구원은 "원전사후처리비 요인으로 한전의 4분기 영업손실은 9890억원을 기록할 전망"이라면서 "그러나 저유가 지속에 따른 액화천연가스(LNG) 발전단가가 하락 영향으로 지난해에 비해 올해는 큰 폭의 실적 개선이 가능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NH투자증권은 환경비용 부담 요인과 함께 호주 바이롱 광산 사업 중단으로 인한 충당금이 향후 실적에 부정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전망했다.

한편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한전 최근 분기보고서에서 5135억원 규모의 광업권 가치를 손실 처리했다. 

한전은 2010년 호주 지역 유연탄 자원개발을 위해 호주 앵글로 아메리칸으로부터 약 4000억원을 들여 바이롱 광산을 인수한 바 있다. 2015년 호주 정부에 개발 허가를 신청했지만 지난해 9월 해당 개발사업에 대해 반려 결정을 통보받았다. 

한전은 보고서에서 "종속기업인 '켐코 오스트레일리아(KEPCO Australia Pty., Ltd.)'와 '켐코 바이롱 오스트레일리아(KEPCO Bylong Australia Pty., Ltd.)'가 보유한 광업권에 대해 손상평가를 수행하고 장부금액과 회수 가능액의 차이를 손상차손으로 인식했다"면서 "호주 뉴사우스웨일즈 주정부 독립평가위원회 최종평가에서 반려 결정을 받음에 따라 향후 대응계획을 수립 중"이라고 밝혔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