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업익으로 이자도 못내는 한계기업 3100곳…3곳 중 1곳은 '만성'
영업익으로 이자도 못내는 한계기업 3100곳…3곳 중 1곳은 '만성'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표=한국은행
표=한국은행

[서울파이낸스 김희정 기자] 3년 연속 영업이익으로 이자 비용도 감당하지 못하는 한계기업이 3000곳이 넘는 것으로 파악됐다. 3곳 가운데 1곳가량은 영업이익으로 이자를 내지 못하는 상황이 7년 이상 이어지는 '만성' 한계기업이었다. 

한국은행이 20일 금융통화위원회에 보고한 '금융안정 상황' 자료를 보면 작년말 한계기업은 3112개로 전체 외부감사 대상 비금융법인(외감기업)의 13.7%에 달했다. 한계기업은 이자보상비율(영업이익/이자비용*100)이 3년 연속 100% 미만인 기업을 뜻한다. 

이 가운데 이자보상비율이 7년 이상 연속 100% 미만인 장기존속 한계기업은 942개사로 집계됐다. 이는 전체 한계기업 가운데 30.3%를 차지한다. 특히 이자보상비율이 10년 이상 연속 100% 미만인 곳은 393개였다.  

지난해 말 장기존속 한계기업의 자산규모는 90조4000억원(전체 한계기업 대비 31.2%), 부채는 84조6000억원(39.0%), 차입금은 50조4000억원(40.3%) 수준이었다. 

2010~2016년 한계기업 중 지난해 말 현재 이자보상비율이 100% 이상 된 기업의 비중은 40.1%로 집계됐다. 그러나 계속 한계기업은 31.4%, 폐업 등으로 외감기업에서 제외된 기업도 28.5%에 달했다.

한계기업의 정상화 가능성은 시간이 길어질수록 급격히 하락했다. 2010~2013년 한계기업 중 이자보상비율이 100% 이상으로 상승한 기업은 1년 후엔 18.8%였으나 4년 후가 되면 1.2%로 쪼그라들었다. 2010년 한계기업만을 대상으로 한 분석에서도 4년 이후부터는 이자보상비율이 100% 이상인 곳이 거의 없었다. 

다만 한은은 장기존속 한계기업이 우리경제, 금융시스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크지 않아 현재로서는 관련 리스크가 제한적이라고 진단했다. 다만 정상화 가능성이 낮은 한계기업이 계속 증가하면 자금의 호율적 배분을 저해하고 위기 시 금융시스템의 리스크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봤다. 한은 관계자는 "회생 가능성이 낮은 기업에 대한 구조조정 능력을 강화하고 금융기관은 부실 우려 기업의 대출 건전성을 관리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