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 '포스트 카다피' 건설업계에 기회다
[기자수첩] '포스트 카다피' 건설업계에 기회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서울파이낸스 이승연기자] 수주감소로 시름이 깊어지던 건설업계에 청신호가 켜졌다. 국내 플랜트 수주 시장의 전략적 요충지인 리비아에서 반정부 시위가 사실상 막을 내렸기 때문이다.

반정부군 대표기구인 과도국가위원회(NTC)가 국가 재건 로드맵 마련에 착수하면서 리비아 정국도 차츰 안정을 찾아갈 것으로 보인다. 리비아에 진출한 건설사들의 발 빠른 대응이 요구되는 이유다.

국내 건설사들은 리비아 내전발생 이전인 지난 2월까지 총 47개 현장에서 105억 달러 규모의 사업을 추진해 왔다. 이 가운데 무려 70%에 달하는 74억 달러 규모의 공사가 중단된 상태다.

무엇보다 우리 건설사들로서는 리비아사태에 따른 피해현황 파악이 선결과제다. 그간 중단됐던 각종 공사 재개와 함께 발주처와의 피해보상 문제를 협의해야 하기 때문이다. 

리비아의 정권이 바뀐 만큼 기성금 및 미수금 수령을 위한 창구 마련에도 만반의 준비를 해야 한다. 건설업계에 따르면 현재 리비아에 남아있는 미수금은 3000억원에 달한다. 시공 잔액 역시 80억 달러에 육박하고 있어 자금을 관리할 수 있는 창구확보가 시급하다.

일단 리비아 반정부군이 카다피 정권과 해외 기업들의 기존 계약을 존중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는 점은 긍정적이다. 정부 또한 리비아 시민군에 100만 달러를 지원하기로 하는 등 양국의 우호관계 정립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

하지만 프로젝트의 대부분이 카다피 정권과의 긴밀한 협조 아래 계약이 체결됐다는 점에서 안심할 수만은 없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새 정권의 정치적 판단에 따라 상황은 언제든지 급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건설업계에서는 기존 사업계약의 효력을 유지하고 80억달러에 달하는 기성금을 원활히 수령하기 위해서서는 정부 차원의 지원이 필수적이라고 입을 모으고 있다. 

더욱이 리비아 전후 복구 사업 규모가 1000억 달러를 상회할 것으로 예상된다는 점에서 정부의 태도에 따라 기존 사업은 물론 복구사업에 따른 추가 수주도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국내 부동산 경기 침체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우리 건설사로서는 이번 리비아 사태가 호기로 작용할 수 있다는 얘기다.

위기를 기회로 바꾸기 위해서는 정부와 업계 모두의 노력이 절실하다. 정부는 하루빨리 '포스트 카다피' 체제와의 우호적 외교관계를 구축해야 하며,  업계 역시 현황파악 및 공정관리에 역량을 집중해야 할 때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