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축銀 '뱅크런' 막으려면
저축銀 '뱅크런' 막으려면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서울파이낸스 이종용 기자] 유례 없는 한파가 몰아닥친 이번주 저축은행권 분위기는 그 어느 때보다 냉랭했다. 삼화저축은행의 영업정지 파장으로 영업 첫날부터 쇄도한 예금인출 문의로 곤욕을 치러야 했기 때문이다.

금융당국이 서둘러 진화에 나서면서 예금자들의 불안심리는 이제 다소 누그러진 분위기다. 자금인출 규모도 평상시 수준으로 돌아섰다. 저축은행들이 잇따라 정기예금 금리를 올린 덕분에 신규 가입을 문의하는 고객들도 늘어나고 있다고 한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삼화저축은행 외에 부실 저축은행이 6~7곳 더 있다는 얘기도 흘러나오고 있다. 금융당국은 "당분간 저축은행의 추가 구조조정은 없다"고 강조하고 있지만, '당분간'이라는 단서를 그냥 듣고 넘길 수 없는 저축은행 예금자들은 마음을 졸일 수밖에 없다.

삼화 사태가 불거진 직후 예금 인출을 문의하기 위해 저축은행 영업점에 몰려든 고객들의 대부분은 환갑을 넘긴 어르신들이었다. 저축은행이 서민들의 금융기관이라는 사실을 새삼 절감할 수 있었던 대목이다.

저축은행업계는 나름대로 고객 안심시키기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방문 고객이 알아보기 쉽도록 영업점 곳곳에 "금융당국, 더 이상의 영업조치는 없다"는 제목의 기사를 인쇄해 붙여 놓거나, 국제결제은행(BIS) 자기자본비율이 10%를 넘어 자산 건전성이 우수하다는 내용의 대형보드를 제작해 걸어 놓은 저축은행들도 있다.

하지만 저축은행 창구 직원은 "연세가 많으신 고객들은 BIS비율이 무엇인지 이해하지 못 한다"며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고 설명하고 있지만 막연한 불안감에 예금을 찾겠다고 하면 막을 도리가 없다"고 말했다.

물론 부실 저축은행 구조조정은 피할 수 없는 과제다. 당국에서는 저축은행 105개를 통틀어 봐야 총수신이 76조원으로 전체 금융자산의 2%에 불과하니 속도전으로 밀어붙이면 그만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겠다.

하지만 저축은행 고객들의 불안감을 담보로 하는 속도전은 위험하다. 불필요한 예금인출로 피해를 보는 가입자가 생기지 않도록 금융당국의 책임 있는 자세가 절실하다. 무엇보다 영업점 직원들이 "예금인출을 하지 않아도 된다"고 자신있게 어르신들을 설득할 수 있도록 우량 저축은행에 대한 뚜렷한 기준이 공개돼야 할 것이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