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지주사, 지배구조 변화 폭 '관심'
금융지주사, 지배구조 변화 폭 '관심'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3월 지주사 회장들 거취 결론
영향력 위축 우려…장고 거듭

[서울파이낸스 공인호 기자] 오는 3월 은행권 주주총회를 앞두고 국내 금융지주사 수장들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최근 제정된 '은행 사외이사 모범규준'에 따른 지배구조 변화가 불가피한 가운데, 오랜 임기를 지낸 CEO들은 금융당국의 압박 때문에 이사회 의장직의 겸직 여부는 물론, 연임 유무를 놓고도 장고의 시간을 보내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금융당국은 은행연합회 주도로 마련된 '모범규준'인 만큼 강제규정이 아니라는 입장이지만, 모범규준을 충족하지 못할 경우 경영평가에서 불이익을 받을 수 있다는 점에서 반강제 규정으로 인식하고 있다.

특히 CEO와 이사회 의장 분리 문제는 KB금융을 제외환 신한·하나·우리금융지주의 지배구조에 영향을 적잖은 미칠 수 있다는 점에서 은행권 안팎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종전까지 이들 지주사들은 회장이 이사회 의장을 겸직하며 이사회의 견제에서 대체적으로 자유로웠지만 모범규준은 이사회 의장과 은행 CEO를 분리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다. 금융당국이 이사회의 역할이 거수기 노릇에 전락한 이유를 CEO와 이사회 의장의 겸직구조로 보고 있기 때문이다. 

'자기 권력화' 논란을 불러일으킨 KB금융 사외이사와는 상반된 문제점이 노출되고 있는 셈이다. 이에 따라 이들 지주사 CEO들은 당장 오는 3월 주주총회 이전까지 거취를 결정해야 한다.

금융권에서는 이들 지주사 모두 이사회 의장과 CEO를 분리하는 방안을 선택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금융당국과의 갈등이 발단이 된 KB금융 사태가 반면교사로 작용할 것이라는 분석이다.

그러나 각 지주사별로 상이한 결정을 내릴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우리금융의 경우 예금보험공사의 견제를 받고 있기 때문에 분리쪽으로 가닥이 잡히겠지만 신한지주와 하나금융의 경우 겸직하는 쪽을 택할 수 있다는 관측이다.

신한·하나금융지주의 경우 '1인 지배구조'에 따른 독특한 조직문화와 명령체계를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CEO의 영향력을 약화시킬 수 있는 방안을 선택하기가 쉽지 않다. 더욱이 금융당국이 이사회를 통해 지주사 경영에 직간접적으로 개입할 경우 CEO의 영향력이 크게 위축될 수 있다.

특히 임기말을 앞두고 있는 라응찬 신한지주 회장의 경우 연임 가능성이 점쳐지고 있는 만큼 고민이 더욱 클 수밖에 없다.

신한지주 관계자는 "금융위기 재발 가능성 및 올해 은행간 합종연횡 움직임이 구체화되면서 조직안정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며 "라 회장의 퇴진은 당장 리더십 공백을 초래할 수 있다는 점에서 라 회장의 연임에 대한 직원들의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고 말했다.

하나금융지주 역시 올해 우리금융과의 합병 가능성이 대두되는 등 김승유 회장의 역할이 과거 어느때보다 중요해지고 있다는 점에서 이사회 의장의 겸직 가능성이 높다는 관측도 나온다. 다만 하나금융지주 단독으로 겸직이 결정날 경우, 김 회장의 정치적 인맥이 '특혜 논란'으로 번질 수 있다는 점이 부담이다.

그러나 다른 한편에서는 이사회 의장 분리가 당장 CEO의 영향력을 약화시킬 가능성은 낮다는 시각도 나온다. 금융노조 관계자는 "겸직 사실을 공시하고 선임사외이사를 둔다고 해서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다"며 "오히려 선임사외이사의 경우 CEO의 대리인 역할을 하게 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