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 "4~6개로 재편"
은행 "4~6개로 재편"
  • 서울금융신문사
  • 승인 2002.12.01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은행 합병시 '구조조정' 가장 우려
생산성 가장 높은 겸업구도 은행+보험

거스를 수 없는 대세 혹은 세계적 추세로 간주되는 은행간 합병을 통한 대형화에 대해 실제로 금융인들은 어떻게 생각하는지를 묻는 것으로 설문조사를 풀어갔다.

이 첫번째 항목에 대해 44.1%의 금융인들은 한국 금융산업의 구조적 특성을 고려해야 한다고 대답했다.
놀라운 것은 대형화보다 차별화를 중시해야 한다(17.8%)는 금융인들이 세계적 추세이므로 따라야 한다(15.7%)는 응답자보다 많다는 사실이다.

생존게임에서 살아남기 위한 수단으로서의 대형화는 인정하지만 그 성공여부에 대해서는 다소 미심쩍다는 애기다. 이는 22.1%의 금융인들이 대형화에 대한 사전검증이 필요하다고 대답한 것과 일맥상통한다.

합병 1주년을 맞은 국민은행 합병 시너지 효과에 대해서는 아직 성과를 판단하기 이르다(48.8%)고 신중하게 답했다. 규모의 경제를 통해 경쟁력이 강화됐다고 느끼는 금융인은 27.7%에 불과했다.

국민은행이 외형성장에는 일단 성공했지만 수익성 측면에선 아직 검증되지 않았다고 주장하는 금융계 전문가들의 시각과 큰 괴리감이 없어 보인다
향후 은행권 합병 구도에 대해서는 부분적 추가합병이 예상된다(49.3%)고 답한 금융인이 대다수였다. 빅 3체제로 급격히 재편될 것(20.2%)이란 의견도 상당수 있었다. 특히 은행 종사자들(59.4%)이 추가합병 가능성을 높게 점친 사실을 눈여겨 볼 만하다.

좀 더 구체적으로 향후 은행의 숫자가 몇 개가 될 것인가란 항목에 대해서는 4~6개로 재편될 것(68.5%)이란 답이 압도적이었다.

그럼 합병과 금융인들이 가장 우려하는 것은 뭘까? 인력 구조조정(42.7%)이 1순위에 올랐다. 조직문화 변질에 따른 타 조직원간의 융화문제(39%), 전문성, 다양성 상실(12.2%) 등은 차후의 문제였다.
IMF이후 금융구조조정으로 은행원 셋 중 하나가 직장을 떠났고, 퇴출당한 증권, 보험, 종금사 등 거의 모든 업종에서 실직자가 양산됐던 악몽이 대량 합병을 계기로 부활하는 것에 대한 금융인들의 불안감을 엿볼 수 있다.

대형화와 함께 현 금융계의 또 다른 이슈인 겸업화에 대해서도 질문을 던졌다. 걸음마 수준에 불과하지만 은행, 보험, 증권사간 짝짓기는 봇물을 이루고 있고 향후에도 계속될 것이기 때문.

특히 은행과 보험중 어느쪽이 주도적 역할을 할 것인가에 대해 69%의 금융인들이 은행의 손을 들어 주었다. 보험이 주도권을 잡을 것이란 답은 10.8%에 그쳤다. 겸업화를 일찍부터 도입, 보험이 은행의 자금줄이 되면서 막강한 지배력을 행사하고 있는 유럽의 경우와는 다소 차이를 보일 것으로 금융업 종사자들은 예상하고 있는 듯 하다.

한 발 더 나아가 금융업 종사자들은 생산성이 가장 높은 겸업화 형태로 은행+보험(55.9%)을 꼽았다. 은행+증권, 보험+증권은 각각 34.3%, 4.2%를 얻어 그 뒤를 이었다.

외국자본의 국내 금융업 진출에 대해서도 물어보았다. 이 항목에 대해서는 금융인들의 41.3%는자본이동의 국경이 사라진 글로벌 시대에 토착 및 외국자본을 구분하는 것이 무의하다고 답한 반면 35.7%의 금융인들은 외국자본의 무분별한 금융업 지배는 피해야 한다고 말해 글로벌 자본의 국내 금융업 진출에 대한 입장 정리가 명확하지 않음을 간접적으로 드러냈다.

외국계 투자펀드는 국내 금융시장을 쥐락펴락하는 상황이다. 4년전 제일은행이 美 뉴브리지캐피탈에 넘어갔고 H&Q아시아퍼시픽은 굿모닝신한증권(옛 쌍용투자증권)을 샀다. 한미은행의 대주주인 칼라일, 국내 부실채권정리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는 론스타 역시 외국계 투자펀드의 대표격이다.

한창 논란이 되고 있는 조흥은행 매각에도 美 서버러스, 일본 신세이은행 등 외국계 투자펀드가 대거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외국계 펀드의 국내시장 지배는 멈추지 않을 기세다.

같은 맥락에서 조흥은행 매각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는가도 물었다. 뉴브리지-신세이-서버러스 컨소시엄과 신한지주간 2파전으로 압축된 상황에서 외국계 투자자본에 대한 금융인들의 시각이 궁금했기 때문이다.

이 항목에 대해서는 36.2%의 응답자들이 지분 80%를 소유한 정부의 뜻에 따라야 한다고 답했다. 그러나 지금당장 매각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28.2%), 정부가 당초 제시했던 15~20%의 블록세일이 바람직하다(26.3%)란 의견도 골고루 나왔다.

국내 산업자본의 역차별 문제도 제기했다. 산업자본의 금융업 진출 규제완화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냐는 질문에 60.1%의 금융인이 완화해야 한다고 답했다. 외국계 벌처펀드와 비교해 상대적으로 국내 산업자본의 은행소유는 차별을 받고 있다는 데 공감한다는 말이다.

지난 8월 은행법 시행령이 개정, 산업자본의 은행지분 보유한도가 과거 5%에서 10%로 확대되기는 했지만 의결권은 5%로 여전히 제한됐다. 실질적으로 일반기업의 은행소유는 발이 묶인 셈.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