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존보장보험 리스크 가중…갱신·실손형 늘려야"
"생존보장보험 리스크 가중…갱신·실손형 늘려야"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보험개발원 노병윤 계리통계실장 "생존담보 보험사고 매년 증가"

[서울파이낸스 박민규 기자] 건강검진이 보편화되고 신의료기술 개발 등 의학발전으로 인해 생존보장보험의 리스크가 높아짐에 따라 향후 보험산업의 어려움이 가중될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됐다.

보험개발원이 9일 서울 여의도 소재 한국거래소에서 개최한 '생존보장 위험관리 발전방안' 세미나에서 보험개발원 노병윤 계리통계실장은 "최근 생존보장보험의 수요가 늘어면서 위험률차 손해율이 증가하는 동시에 보험기간 장기화 등으로 보험산업의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노 실장에 따르면 생존보장보험의 위험률차 손해율이 지난 2005년에 100%를 초과한 후 2006년 107.2%, 2007년 104.9%, 2008년 106%의 손실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암 진단ㆍ재해ㆍ입원ㆍ수술은 6.8~10.7%, 질병 및 재해 입원ㆍ수술은 5.9~15.4% 정도 매년 사고발생이 늘어남에 따라 향후 생존보장보험의 손실이 더욱 확대될 것으로 노 실장은 예상했다.

이에 생존율 증가 흐름을 반영한 적정 위험률을 산출하고 보험사들은 장래 보험금 지급에 대비해 준비금 적립을 충실히 해 나가야 한다는 지적이다.

아울러 생존담보 위험에 대비하기 위해 선진국처럼 갱신형이나 실손형 상품 도입을 확산시켜야 한다고 노 실장은 제언했다.

또한 상품설계·가격책정·가입심사 등 여러 측면에서 대응방안을 모색하는 동시에 경과연도나 위험별로 차등급부를 설계하는 등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설명이다.

한편 이날 세미나에서 첫번째 주제발표자로 나선 국가암관리사업단 박은철 박사는 '암통계 분석 및 암관리 국가사업 현황' 자료를 통해 "지난 1993~1995년의 암발생자 5년 생존율은 41.2%였으나 1996~2000년은 44%, 2001~2005년은 52.2%로 생존율이 크게 증가했다"며 "이는 의학 발달 등 진료효과에 기인하는 것으로 분석된다"고 말했다.

또다른 주제발표자인 미국 재보험사 RGA의 P. 스몰리(Smalley) 박사는 '선진보험시장의 생존보장 및 관리현황' 자료를 통해 "각국에서 사용되는 건강보험상품들은 실손 및 정액급부가 혼합돼 있지만 선진국에서는 갱신·실손형이 일반적"이라며 "특히 초고령층에 확정요율을 사용하는 건강보험상품은 위험도가 크다"고 지적했다.

스몰리 박사는 이어 "건강보험상품 리스크 관리를 위해서는 정액급부상품의 보험가입한도를 제한하거나 피보험자의 본인부담금 설정, 확정요율 제한 등의 방안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