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銀 민영화, 꼭 이헌재펀드여야 하나
우리銀 민영화, 꼭 이헌재펀드여야 하나
  • 서울금융신문사
  • 승인 2004.02.09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李펀드 입각설 따라 진로 불투명...정부 부분 매각 가능성


외국자본에 대한 ‘대항마’로 제시된 ‘이헌재 펀드’가 과연 우리금융을 인수할 수 있을 것인가에 금융권의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이헌재씨의 재경부 장관 입각설까지 나돌면서 이 같은 의구심은 더욱 증폭되고 있다.

그러나 금융권 관계자들은 국내 기업대출의 약 40%를 차지하는 우리은행이 외국자본에만 넘어가지 않으면 되지 꼭 이헌재펀드일 필요는 없다는 분위기다.

이와 관련, 우리금융 한 관계자는 “민영화 방안과 관련해서는 내부에서조차 의견이 엇갈린다”며 “지분 매각에 있어 국적을 따질 필요가 없다는 일부 의견이 있는 반면 다수는 이헌재펀드 같은 국내자본 컨소시엄 형태를 선호하고 있다”고 말했다.

정부지분 80.4%인 우리금융은 공적자금 투입 은행인 만큼 민영화를 적기에 시행해 공적자금을 조기에 상환함은 물론, 한국을 대표하는 은행으로 성장해야 한다는 요구를 받고 있다. 때문에 우리금융 민영화와 관련해서는 각계의 관심도가 남다르다. ‘이헌재 펀드’의 발생도 이런 맥락에서 이루어졌다.

현재 우리금융은 연기금 및 국내 굴지의 기업들이 참여하는 공동 컨소시엄이 우리금융 지분 50% 이상을 확보, 안정적인 1대 주주가 되어주기를 내심 바라고 있다. 국내 기업금융을 거의 도맡다시피 한 상황에서 우리금융마저 HSBC 등 외국계은행에 넘어갈 경우 기업정보 유출은 물론이고 감독당국의 정책이 전혀 먹히지 않는 등 폐해가 적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이에 호응한 것이 ‘이헌재 펀드’. 이헌재씨는 얼마 전 사모펀드 형태로 약 3조원을 모아 우리금융부터 인수하겠다고 선언한 바 있다.

그러나 이런 야심찬 계획에도 불구하고 ‘이헌재 펀드’가 실제 우리금융을 인수하는데는 여러 가지 난항이 따를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우선 연기금 등 큰 규모의 자본 참여가 불확실한 상태다. 현행 연기금법은 연기금이 사모펀드 등에 출자하는 것을 금하고 있다. 3조원 조성부터가 불가능하다는 것.

대기업 자금을 끌어올 수도 있지만 시장에서는 아직 산업자본의 은행업 진출에 거부감이 커 큰 규모의 지원은 기대하기 어렵다는 반응이다.

게다가 최근 정부지분을 확보하면서 완전민영화된 국민은행이 정부의 LG카드 지원안에 대해 강하게 반발하면서 정부가 우리금융 지분을 완전 매각하기 힘들 것이란 분석도 나오고 있다. 정책 실효성 증대를 위해 완전 매각보다는 부분 매각을 선호할 가능성이 크다는 것.

이헌재씨가 재경부장관으로 재기용돼 그의 명성과 신뢰도로 펀드 추진을 강행할 수도 있지만 관치금융 논란이 재연될 수 있어 이 또한 부담이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꼭 이헌재씨가 아니더라도 이헌재씨와 버금가는 실력과 명성을 가진 제 3의 인물이 펀드를 맡아 공정히 처리하면 될 것이란 견해도 나오고 있다.

시중은행 한 관계자는 “외환은행이 LG카드 지원을 거부한 사례에서 보듯이 이헌재씨가 펀드에서 손을 떼더라도 사모펀드 구성은 계속돼야 한다”며 “오히려 측면 지원으로 설립이 보다 용이해질 수도 있지 않겠냐”는 조심스런 전망을 내놓기도 했다.

그러나 또 한편, 사모펀드를 통한 불법 자금모금으로 대통령 사돈 민경찬씨가 구속된 점은 ‘이헌재 펀드’에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금감원이 대대적인 사모펀드 실태조사에 나서기로 하면서 사모펀드 활성화 대책도 하반기 이후로 연기될 방침이어서 시기가 매우 중요한 우리은행의 민영화 작업 또한 영향을 받을 전망이다.

우리은행 한 관계자는 “이헌재 펀드가 됐든 또 다른 펀드가 됐든 건전한 토종 자본만 지분으로 들어오면 될 것”이란 견해를 나타냈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