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법조계, 시민단체와 연계···조합원 소통 강화"
[서울파이낸스 여용준 기자] 삼성전자와 전국삼성전자노동조합(전삼노)의 '집중교섭'이 31일 오후 결렬됐다. 전삼노 측은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파업 사태에 대해 책임을 져야 한다며 대외 쟁의활동을 강화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앞서 지난달 29일부터 31일까지 진행된 집중 교섭에서 사측은 사측은 △노조 총회 8시간 유급 노조활동 인정 △전 직원 여가포인트 50만 지급 △향후 성과급 산정 기준 개선 시 노조 의견 수렴 △2024년 연차 의무사용일수 15일에서 10일로 축소 등을 제시한 것으로 전해졌다. 전삼노는 △노조 창립휴가 1일 보장 △파업에 따른 경제적 손실 보상 △성과급 제도 개선 △노조원 대상 0.5% 임금 추가 인상 등을 요구했다.
양측이 입장차를 좁히지 못한 가운데 31일 오후 6시30분께 임금교섭이 결렬됐다. 이어 전삼노는 1일 서울 용산구 한남동 이재용 회장 자택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재용 회장에게 "'무노조 경영 폐기' 약속을 지켜라"라고 요구했다.
손우목 전삼노 위원장은 "2020년 이재용 회장의 무노조경영 폐지 선언 후 노조 설립돼있지만, 사측은 노조와 교섭을 무시했다"며 "임금, 복리후생 결과는 노사협의회 통해서 통보할 뿐"이라고 말했다. 이어 "현재까지 그룹 오너의 메시지는 없다"며 "이재용 회장이 파업 사태 해결을 위해 전향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요구했다.
특히 전삼노 측은 삼성전자가 이재용 회장의 '무노조 경영 폐기' 선언 이후에도 노조 탄압이 이어지고 있다고 주장했다.
강기욱 전삼노 대의원은 "어느 그룹장은 쟁의근태를 사내 시스템에 입력했음에도 본인에게 보고하지 않고 사용했다며 무단결근 처리했다"고 노조탄압 사례를 밝혔다. 이어 "부사장은 사내 단체 메신저에서 파업에 참가한 인원을 강제로 퇴장시키고 업무에서 배제시켰다. 한 기술팀에서는 사내 시스템에 쟁의 근태를 입력한 파업 참가자를 색출해 블랙리스트를 작성하기도 했다"고 설명했다.
삼성은 과거 노조탄압 사례로 그룹 임원이 실형을 선고받는 일도 있었다. 2019년 삼성그룹 미래전략실 노사업무 총괄 책임자였던 강경훈 삼성전자 부사장은 노조 활동을 방해한 혐의로 징역 1년 4개월 실형을 선고받은 바 있다. 강 전 부사장은 2011년 삼성에버랜드 노조 설립을 방해하고 노조 설립 핵심 인물인 조장희 당시 에버랜드 노조 부지회장을 부당해고하는 등 혐의를 받았다.
이어 이재용 회장은 다음해인 2020년 5월 대국민 사과문을 발표하고 무노조 경영 폐기를 선언했다. 이 회장은 "이제 더 이상 삼성에서는 '무노조 경영' 이라는 말이 나오지 않도록 하겠다. 노사관계 법령을 철저히 준수하고 노동 3권을 확실히 보장하겠다. 노사의 화합과 상생을 도모하겠다. 그래서 건전한 노사문화가 정착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노조 측은 이 회장의 무노조 경영 폐기 선언 이후에도 노조 탄압 활동이 계속되고 있다고 주장했다. 김재원 전삼노 대의원은 "회사 측은 파업 참여자에 대한 블랙리스트를 만들어 따로 관리하고 성추행 피해자일 수 있는 조합원에 대해 무고죄로 공격하기도 했다"고 전했다.
이어 김 대의원은 "이재용 회장은 이 같은 상황에 대해 무시로 일관하면서 인도 재벌 막내아들 결혼식에 참석하고 파리 올림픽에 참여해 선수단에 300억원어치 스마트폰을 지급했다. 그러면서 임금은 더 줄 수 없고 대화 시도도 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한편 임금교섭이 결렬된 가운데 전삼노는 장외투쟁을 더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전삼노는 5일 국회 앞에서 2차 기자회견을 개최한다. 허창수 전삼노 부위원장은 "현장 장악력을 강화하고 조합원의 소통창구가 되는 '챌린저' 제도도 도입할 예정"이라며 "이와 함께 쟁의기금 마련과 국회, 법조계, 시민단체 등과 연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