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스크 칼럼] '비정상' 포털 뉴스 생태계의 정상화
[데스크 칼럼] '비정상' 포털 뉴스 생태계의 정상화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내 양대 포털인 네이버와 카카오의 뉴스 제휴·제재 심사 등을 맡는 '뉴스제휴평가위원회'(이하 제평위)가 존폐 기로에 놓였다.

제평위는 지난 22일 운영을 잠정 중단한다고 발표했다. 이번 결정에 따라 입점심사도 당분간 중단된다. 활동 중단 기간 동안 공청회 등을 통해 새로운 제휴평가시스템을 검토하겠다는 게 제평위의 계획이다.

하지만 언론계 안팎에선 이번 결정을 사실상 제평위의 사망 선고로 받아들이는 분위기다.

지난 2015년 출범한 제평위는 뉴스서비스를 제휴하는 과정에서 외압을 차단하고, 투명한 심사 과정을 통해 뉴스 소비자들에게 양질의 콘텐츠를 제공하겠다는 취지로 설립된 자율기구다.

이전까지 포털이 언론사와의 제휴를 직접 심사해 왔던 것에서 벗어나, 언론유관단체·학계·시민단체 등의 참여를 통해 각종 논란을 잠재울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하지만 설립 취지와 달리, 심사와 퇴출 기준을 놓고 공정성 시비에서부터 밀실 심사 논란까지 각종 구설수에 오르내렸다.

이번 결정 역시 정치적 외풍을 비껴나기 위한 움직임으로 해석되고 있다. 내년 4월 총선을 앞두고 정부·여당의 '포털 때리기'에 부담을 느낀 때문이라는 것이다.

문제는 불똥이 엉뚱한 곳으로 튈 가능성이 높다는 점이다. 이번 결정으로 신생 매체의 경우 당분간 설 자리를 잃을 가능성이 커졌다. 신생 매체 입장에서 양대 포털 입점은 단순히 제휴를 넘어 뉴스 소비자와의 접점을 만들 수 있는 거의 유일한 수단이다. 가장 낮은 등급의 제휴 형태인 검색제휴 언론사 역시 뉴스스탠드, 콘텐츠 제휴(CP)로 점프할 수 있는 기회를 상당 기간 가질 수 없게 됐다.

뉴스 소비자들에게도 이런 공백은 바람직하지 않다. 포털 제휴가 일부 몰지각한 언론들의 '밥벌이' 수단으로 악용되고 있다는 점은 공공연한 비밀이다. 그렇다고 모든 신생 매체를 도매금으로 취급해 뉴스제휴를 원천 봉쇄해야 한다는 발상은 위험하고 더 큰 해악을 낳을 수 있다. 언론의 자유와 맞닿아 있는 문제 일 수도 있다.  

제평위를 대체할 새로운 제휴평가 시스템은 온라인 뉴스 생태계를 정상화하는 데 초점이 맞춰져야 한다. 

무엇보다 뉴스 소비자들에게 다양한 뉴스를 공정하고 정확하게 전달하는 본연의 역할에 충실해야 한다. 여기에 변화하는 독자들의 눈높이를 맞추기 위한 다양성 확보도 빼놓을 수 없다. 

앞서 제평위는 올해 7월부터 참여 기관을 15곳에서 18곳으로 확대하는 '제평위 2.0' 체제를 준비하다 이번 결정으로 무산됐다. 참여 기관 확대를 반대할 이유는 없지만, 그 자체가 여러 논란을 잠재울 수 있는 만능키가 될 수는 없다.

올바른 언론이 포털 뉴스 생태계에서 뿌리 내리고, 제대로 평가받는 시스템이 만들어져야 한다. 뉴스 생산자와 소비자를 따로 떼어놓은 '제2·3의 제평위'가 또다시 나온다면, 그 역시 시한부 위원회가 되는 것은 불 보듯 뻔하다.

그동안 온라인 뉴스 생태계에서 황소개구리가 된 양대 포털은 뉴스 생산자와 소비자를 잇는 본연의 역할로 돌아와, 저널리즘 토양을 비옥하게 만들 수 있는 관문이 돼야 할 것이다. 정치권의 소나기를 잠시 피할 심산이라면, 오산이다.

금융부장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