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대 카드사 연체율 1.26% '3년래 최고'···부실 우려 '조마조마'
4대 카드사 연체율 1.26% '3년래 최고'···부실 우려 '조마조마'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충당금 66%나 늘렸지만···손실흡수능력 하락
(사진=픽사베이)
(사진=픽사베이)

[서울파이낸스 신민호 기자] 카드사 건전성에 경고등이 커졌다. 1분기 연체율이 급증하며, 3년새 가장 높은 수준까지 악화됐기 때문이다. 이에 카드사들은 선제적으로 충당금 규모를 늘렸지만, 연체 규모가 확대되며 손실흡수능력이 약화되는 등 악순환이 일어나고 있다.

12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지주계열 4개 카드사(신한·KB·우리·하나)의 평균 연체율이 1.26%로, 전분기 대비 0.23%포인트(p)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코로나 팬데믹 초기였던 2020년 1분기 말(1.4%)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당시 카드사들은 건전성 악화에 선제적으로 대비해 충당금을 적립했고, 이에 △2분기 1.17%) △3분기(1.09%) △4분기(0.99%)로 괄목할만한 건전성 개선세를 보인다. 이후에도 4개 카드사 평균 연체율은 1%를 하회하는 수준에서 유지됐지만, 지난해 말부터 급격히 악화된 것이다.

이 중 신한카드의 경우 1.37%로 전년 말 대비 0.33%p 상승했다. 연체 수준과 상승폭 모두 가장 높았다. KB국민카드의 연체율은 1.19%로 전분기 대비 0.27%p씩 상승했다. 우리·하나카드의 연체율도 각각 1.35%, 1.14%로 0.14%p, 0.16%p씩 올랐다. 4개 카드사 모두 연체율 1%의 벽을 넘은 것이다.

이 같은 건전성 악화에 카드사들은 선제적으로 충당금을 적립했다. 실제 4개 카드사의 1분기 대손충당금적립액은 5752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60.8%나 증가했다. 특히 하나카드의 경우 1분기 대손충당금이 1047억원으로 전년 대비 161.8%나 급증했다.

문제는 불어난 충당금에도 손실흡수능력이 약화됐다는 점이다. 4개 카드사의 평균 NPL커버리지비율은 297.7%로 전분기 대비 53.7%p나 하락했다.

NPL커버리지비율이란 부실채권으로 분류되는 고정이하여신 대비 충당금을 쌓아둔 비율이다. 해당 비율이 하락했다는 것은, 그만큼 카드사의 손실흡수능력이 악화됐음을 뜻한다.

이 중 우리카드의 경우 278.2%로 전분기 대비 67.1%p나 하락했으며, 신한카드는 55.9%p 낮아진 277%로 가장 낮았다. 하나카드의 경우 344.8%로 유일하게 300%를 상회했으며, KB국민카드는 290.7%로 44.9% 하락했다.

고금리 지속, 경기침체 등의 영향으로 건전성 개선여지가 적다는 점도 문제다. 한국은행의 '금융기관 대출행태서베이 결과'에 따르면 1분기 중 카드사의 신용위험지수가 36으로 전분기 대비 11p나 상승했다. 해당 지수는 0을 기준으로 양수(+)면 신용위험도가 증가됐음을, 음수(-)면 감소했음을 의미한다.

이에 대해 한은 측은 "차주의 채무상환 부담 지속, 취약 가구와 기업의 재무건전성에 대한 우려 등에 기인한다"고 설명했다. 또한 2분기 전망치도 14로 나타났다. 1분기 대비 감소했지만, 여전히 신용위험도가 확대 추세에 있음을 뜻한다.

다중채무자 등 상환능력이 취약한 취약차주가 주고객층이라는 점도 우려요소다. 하현수 한국기업평가 책임연구원은 "신용도 측면에서 카드대출 차주의 질적 구성은 개선되고 있지만, 전체 카드대출 내 다중채무차주가 차지하는 비율이 80~90% 내외로 절대적 수준이 여전히 높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이는 카드대출상품의 주요 이용유인에서 비롯된 태생적 한계에 따른 것"이라며 "카드사가 주요 고객군인 다중채무자의 비중을 줄일 수 없다면, 다중채무자에 대한 면밀한 리스크 관리를 통해 고위험군 차주에 대한 노출 수준을 낮추는 것이 차선"이라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한 카드사 관계자는 "이미 선제적 리스크 관리 차원에서 충당금 적립을 크게 늘렸다"며 "NPL커버리지비율이 다소 하락했지만 기준치를 크게 상회하는 등 손실흡수능력 자체는 충분한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그는 "고금리 기조 등이 이어지며 연체 리스크가 큰 것도 사실"이라며 "최근 연체율 등의 지표가 개선되고 있지만, 카드업권 전반에서 더 많은 충당금을 쌓는 기조가 당분간 이어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