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배출권, 시장조성자 수익률 -12.1%"···제9회 에너지·탄소포럼 성료
"탄소배출권, 시장조성자 수익률 -12.1%"···제9회 에너지·탄소포럼 성료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김무종 서울파이낸스 편집국장(왼쪽부터), 임지우 한국투자증권 수석연구원, 최관순 SK증권 연구위원, 김지영 그리너리 기후테크솔루션본부 상무, 김태선 NAMU EnR 대표이사가 26일 제9회 에너지·탄소포럼에 참석해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사진=이진희 기자)

[서울파이낸스 박조아 기자] 탄소배출권의 산업부문 매매 수익률이 지난 2022년 10월부터 2023년 2월까지 16.3% 수익률을 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시장조성자(증권사)는 오히려 마이너스 12.1% 수익률을 낸 것으로 분석됐다.

지난 26일 서울 여의도 전경련회관 콘퍼런스센터 루비홀에서 열린 서울파이낸스 주최 제9회 에너지·탄소포럼에서 김태선 NAMU EnR 대표이사는 "탄소배출권 시장을 보면 현물시장 가격이 높고 낙찰가격이 낮아 매도차익 거래가 활성화됐다"며 "산업부분은 비쌀 때 많이 팔아 많은 수익을 올렸고, 반대로 제3자는 가격이 낮아지는데도 순매수를 해 규모가 커져 이같은 결과가 나왔다"고 분석했다.

이어 "지난해 8월부터 올해 2월까지 탄소배출권 시장에서 비중을 살펴보면 산업부분의 거래비중이 32%, 제3자(시장조성자) 거래비중이 39%를 차지한 것으로 분석됐다"고 덧붙였다.

김 대표는 "코로나 이전 매도차익 거래를 통한 수익이 3.2%에 불과했으나, 코로나 이후에는 7%가 넘었다"며 "말 그대로 업체들은 앉은 자리에서 손쉽게 매도차익을 통해 수익을 올릴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이번 포럼에서는 'ESG 펀드 재분류가 저탄소 전환에 미칠 영향', '자발적 탄소시장 현황 및 활성화 방안', '국내 배출권 가격 결정요인과 전망', 'RPS·K-RE100·K-ETS 포트폴리오 대응전략' 등에 대한 주제발표가 이어졌다.

첫 번째 발표자로 나선 임지우 한국투자증권 수석연구원은 에너지 전환을 위한 금융지원이 유의미하기 위해선 그린워싱(위장 환경주의) 해소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임지우 한국투자증권 수석연구원이 발언하고 있다.(사진=권진욱 기자)

그는 국내외에서 ESG펀드 관련 규제를 강화하려는 움직임이 이뤄지고 있다고 말했다. 미국의 SFDR(Sustainable Finance Disclosure Regulation) 규정이 가장 발달돼 있으며, SFDR은 ESMA가 입안한 금융상품 ESG 정보 공시 규정으로 ESMA에서 직접 ESG 펀드를 구분해주는 것이 아니라 운용사가 자체적으로 아티클(Article) 8·9를 명시 후 관련 정보를 제시하는 형식이라고 설명했다.

국내의 경우 지난달 28일 금융감독원이 ESG펀드 △기업공시 개선반 △ESG금융상품 활성화반 △리스크 관리 강화반으로 구성된 공시기준 관련 TF를 출범했다. 

임 수석연구원은 "4~5월 중 ESG펀드 관련 공시기준 안이 발표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이어 "이 공시가 발표되면 투자자들이 명확하게 본인이 투자하고 있는 펀드가 어떻게 ESG에 영향을 미치는지 등을 볼 수 있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에너지 전환 측면에서 바라봤을 때 그린워싱 이슈는 조기에 해결해야 하는 문제"라며 "단순 'ESG', '친환경' 등의 문구에 따라 무차별적인 ESG 자금 지원이 들어간 경우 에너지 전환에는 부정적일 수 밖에 없다"고 덧붙였다.

두 번째 발표자로 나선 김지영 그리너리 기후테크솔루션본부 상무는 현재 정부의 규제 등으로는 국내는 2050 배출가스 감축 목표를 달성하기 어렵다며, 민간 자발적 탄소 감축의 중요성에 대해 주장했다.

김지영 그리너리 기후테크솔루션본부 상무가 발언하고 있다.(사진=권진욱 기자)

김 상무는 "정부 규제로는 40% 감축이 아니라, 15% 가량 밖에 하지 못해 빈 공간을 누군가는 채워야 한다"며 "국내에서는 규제로 인해 자발적 시장이 뒤늦게 태동한 만큼, 참여자 확대 외에도 감축유인 가능한 요소가 더욱 많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탄소거래 활성화를 위해 △글로벌 가이드라인에 부합하는 운영 체계 구축 △자발적 크레딧을 자산으로 인식하기 위한 법적 성격 규정 △중소기업의 참여가 용이하게 행정 지원 등의 방안을 제시했다.

김 상무는 "개인의 감축활동에 따른 소비자 인센티브가 증가하면 민간부문 감축 활성화돼 산업계 전반 배출 저감과 순환경제에 기여 가능하다"며 개인의 소비패턴 변화도 제언했다. 

세 번째 발표자인 최관순 SK증권 연구위원은 최근 하락하고 있는 국내 탄소배출권 가격이 내년 하반기부터 추세적 상승을 보일 것이라고 전망했다.

최관순 SK증권 연구위원이 발언하고 있다.(사진=권진욱 기자)

최 연구위원은 "현재 우리나라는 배출권거래제 제3기를 진행하고 있다"며 "국내 배출권 가격은 코로나 이후 가격 변동성이 확대됐으며, 경기둔화 우려와 할당대상업체의 보수적인 운용 영향으로 하락세를 보였다"고 분석했다.

그는 "배출권은 국내 경기와 밀접한 상관 관계를 보인다"며 "경제성장률 둔화로 2021년 4.1%에서 2022년 2.6%로 2022년 KAU22는 큰 폭의 배출 인증량 증가는 없었을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이어 "2023년은 경기둔화 우려가 높아지고 있는 상황인 만큼, KAU23 배출권 수요는 감소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지난 3월 정부는 국가감축목표(NDC) 달성을 위해 재조정했다. 산업부문 감축목표는 기존 2226억톤에서 2307억톤으로 소폭 하향했고, 전환부문 감축목표는 1499억톤에서 1459억톤으로 상향했다. 전력수급기본계획도 일부 수정했다. 10차 전력수급계획에 따라 신재생에너지 수급여건을 고려해, 2026년 신재생에너지 의무공급비율을 15%로 하향하고 25% 달성 시기를 2030년 이후로 변경했다. 

최 연구위원은 "2023년 8월 이월물량 확보를 위한 매도 우위가 예상됨에 따라 가격 약세가 전망되지만 급락 가능성은 제한적"이라며 "2026년 4차 계획기간 시작 및 탄소국경조정제도(CBAM)의 본격 시행으로 2024년 하반기부터 추세적 상승이 전망된다"고 설명했다.

마지막 발표자로 나선 김태선 NAMU EnR 대표이사는 국내 탄소배출권시장에 있어 개인투자자의 시장참여가 현물시장뿐만 아니라 향후 파생상품 시장에서의 성패를 가를 핵심요소라고 진단했다. 

김태선 NAMU EnR 대표이사가 발언하고 있다.(사진=권진욱 기자)

김 대표는 "국내 탄소배출권시장은 코로나 팬데믹 이후 공급 우위의 가격 급락세가 나타나고 있다"며 "특히 K-ETS 시장에서 지난달 말 장기 변동성(연간)이 49.1%까지 올라갔다. 증시(코스피)의 경우 높아봐야 20%대라는 점을 감안하면 변동성이 매우 크다"고 말했다.

김 대표는 탄소배출권 시장의 개선방향으로 △경매제도 △시장안정화 조치 △정보 비대칭성 해소 △개인투자자 시장참여 △장내 파생상품 도입 △장내거래 의무화 △유상할당 강화 △이월제도 변경 등 8개 과제를 언급했다.

그는 시장안정화 조치에 대해 "정부가 경매시장 내 낙찰가격과 현물가격의 갭을 줄이기 위해 최저가격거래제를 만들었지만, 이에 대한 준칙이 없다"며 "유럽의 경우 안정화 조치와 경매시장이 잘 연결됐다. 적정 유통물량을 산정해 초과시 경매 물량을 줄이고 부족하면 늘리는 방식의 가격통제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특히 현행 이월제도 개선에 대해 강조했다. 김 대표는 "국내에선 무상할당된 배출권의 이월이 가능해, 탄소배출권의 이론상 가격과 상대평가된 가격의 갭이 크다"며 "무상할당된 시점에서 이월을 불허해야 하며, 유상할당을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26일 서울 여의도 전경련회관 콘퍼런스센터 루비홀에서 열린 서울파이낸스 주최 제9회 에너지·탄소포럼.(사진=권진욱 기자)

관련기사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