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방위 쇄신에도···안갯 속에 빠진 전경련 회장직
전방위 쇄신에도···안갯 속에 빠진 전경련 회장직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신동빈·김승연·구자열 등 고사···외부인사 김종석 위원장 등 언급
쇄신 위한 미래발전위 TF "이름 변경 등 다양한 방안 고려"
전국경제인연합회 건물 앞. (사진=이서영 기자)
전국경제인연합회 건물 앞. (사진=이서영 기자)

[서울파이낸스 이서영 기자] 재계의 맏형으로 불리는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 회장직 후보 선출이 약 10일 앞으로 다가왔다. 최근 전경련은 자체 쇄신 안을 내놓기도 했지만, 주요 기업 총수들이 여전히 부담감을 가지며 회장직을 고사하고 있어 선출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외부 인재 수혈까지 언급되고 있다. 

14일 업계에 따르면 전경련은 오는 23일 신임 회장을 선출한다. 지난달 이웅열 코오롱 명예회장이 전경련 회장후보추천위원장 겸 미래발전위원장으로 선임됐다. 

허창수 GS그룹 명예회장은 2011년부터 전경련 회장을 맡아, 오는 23일 임기만료를 끝으로 더 이상 연임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6번 연속 회장직을 맡은 허 회장은 그동안 지속적으로 연임하지 않겠다는 의지를 밝혔으나 마땅한 후보가 없어 회장직을 맡아왔다.  

전경련 회장 후보로는 재계 5위 신동빈 롯대 회장을 비롯해 김승연 한화 회장, 구자열 한국무역협회 회장(LS 이사회 의장), 박정원 두산 회장 등이 거론됐지만, 이들 모두 차기 회장직을 고사한 거으로 전해졌다. 

가장 유력하게 언급된 인물은 손경식 CJ그룹 회장이자 한국경영자총협회장이다. 그는 2005년부터 2013년까지 대한상의 회장을 맡았고, 2018년부터 경총 회장을 맡으면서 능력 부분에서는 이미 검증됐다는 평가다. 다만 손 회장은 경총과 전경련을 통합해 미국의 헤리지티재단 같은 싱크탱크 역할로 거듭나야 한다고 밝히고 있어, 전경련 내부에서는 부정적 시선으로 바라보고 있는 상황이다. 

주요 기업 총수들이 전경련 회장직을 거절하는 건, 영향력이 줄어든데다 안 좋은 이미지가 남아 있기 때문이다. 2016년 박근혜 정부 때 국정농단 사건으로 인해, 전경련은 '정경유착'이라는 이미지를 가지게 됐다. 이에 전경련을 주도하던 국내 4대그룹이 모두 탈퇴하고, 전경련 회원사가 600여개에서 450여개로 줄었다. 이와 함께 문재인 정부에서는 사실상 '패싱'당했다. 정권 변화와 함께 전경련 위상 변화가 있을 것이라는 예상과 달리, 윤석열 대통령의 UAE(아랍에미리트) 및 다보스포럼 순방에 전경련이 참여하지 못했다. 

재계 총수들이 전경련 회장직을 모두 고사하자, 외부인사인 김종석 대통령 소속 규제개혁위원회 민간위원장과 윤석열 대통령 대선 선거대책위원회에서 상임선대위원장을 지낸 김병준 국민대학교 명예교수 등도 후보로 거론된다. 과거 19·20대 전경련 회장은 관료 출신으로 고 유창순 총리가 맡은 적이 있다. 

결국 전경련의 내부 쇄신이 필수불가결한 사항이 됐다. 지난 2017년 단체 이름을 한국기업연합회를 변경하고, 유관기관은 한국경제연구원을 싱크탱크로 전환하는 혁신방안을 내세웠지만, 당시 산업통상자원부의 허가를 받지 못해 흐지부지 됐다.

최근 이웅열 위원장이 △국민 소통 △미래 선도 △글로벌 도약 등을 중심으로 한 ‘뉴 웨이 구상’(New Way Initiative)을 발표한 상황에서 이름 변경 등 구체적 혁신안은 미래발전위원회 태스크포스(TF)에서 논의 중이다. 이와 함께 4대 그룹의 전경련 복귀도 성사될 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만약 전경련 회장후보추천위가 오는 23일까지 회장 후보를 내지 못할 경우, 직무대행 체재 혹은 허창수 GS그룹 명예회장의 '울며 겨자 먹기식' 연임이 불가피할 것이라는 시나리오도 제기된다. 전경련 관계자는 "최대한 23일 내 결론이 날 것이라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