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중국 리오프닝···주요국 물가 상승 야기할 것"
한은 "중국 리오프닝···주요국 물가 상승 야기할 것"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향후 글로벌 공급망 리스크와 시사점' 발표
中 리오프닝, 완화효과보다 물가 상방압력이 우위
미·중 갈등 등 분절화, 글로벌 공급망 리스크 확대
부산항 신선대와 감만 부두 야적장에 컨테이너가 가득 쌓여 있는 모습. (사진=연합뉴스)
부산항 신선대와 감만 부두 야적장에 컨테이너가 가득 쌓여 있는 모습. (사진=연합뉴스)

[서울파이낸스 신민호 기자] 향후 중국 리오프닝(경제활동 재개)이 본격화될 경우 원자재가격 등 상방요인으로 우리나라를 비롯한 주요국의 인플레이션 압력이 증가할 것이란 전망이 제기됐다.

7일 한국은행 조사국은 'BOK 이슈노트 : 향후 글로벌 공급망 리스크와 시사점'을 통해 이 같이 전망하며 "향후 중국 리오프닝이 본격화될 경우 글로벌 경기의 진작효과가 크겠지만, 주요국 인플레이션과 관련해 불확실성이 큰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중국은 팬데믹 기간 중 제로코로나 정책으로 공급망 차질이 지속됐지만, 최근 조기 리오프닝으로 경제 정상화에 대한 기대가 증대되고 있다.

주목할 점은 중국의 리오프닝이 주요국 인플레이션이 미치는 영향이다. 중국의 공급차질은 주요 중간재 공급제약 및 비용상승 등을 통해 글로벌 교역을 위축시키고 주요국에서 물가상승압력을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했다.

실제 국가별 공급망 압력지수를 통해 분석한 결과, 중국의 공급망 차질(1표준편차, 상하이 봉쇄기 3표준편차)이 심화될 경우 글로벌 무역은 1년간 0.3~0.5% 정도 둔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해당 기간 글로벌 물가상승률은 0.2~0.5%포인트 상승했다.

중국 공급망 차질이 글로벌 무역 및 생산(오른쪽)과 글로벌 물가에 미친 영향(자료=한국은행)
중국 공급망 차질이 글로벌 무역 및 생산(오른쪽)과 글로벌 물가에 미친 영향(자료=한국은행)

부문별로 보면 업종별로 IT, 국가별로는 아시아‧태평양 지역이 중국 공급망과 연계성이 높아 해당 부문을 중심으로 영향이 상대적으로 더 크게 나타날 것으로 추정됐다.

문제는 물가 하방요인 대비 상방요인의 영향력이 더 크다는 점이다.

보고서를 작성한 김찬우 한은 조사국 조사총괄팀 과장은 "중국의 공급차질 완화는 글로벌 물가의 하방압력으로 작용한다"며 "다만 이번 재확산에 따른 차질 정도가 과거 확산기에 비해 작았던 만큼 추가적인 완화 효과는 크지 않을 것"이라고 판단했다.

그러면서 그는 "중국의 펜트업(보복소비) 수요가 빠르게 확대될 경우, 원자재가격 등에 상방요인으로 작용하면서 글로벌 인플레이션 압력을 증대시킬 가능성이 높다"고 덧붙였다.

우리나라 주요 수출품목의 국별 비중(오른쪽) 및 국내 제조업 수입중간재 의존도 (자료=한국은행, 관세청)
우리나라 주요 수출품목의 국별 비중(오른쪽) 및 국내 제조업 수입중간재 의존도 (자료=한국은행, 관세청)

중기적으로 미·중 갈등, 지정학적 긴장 등에 따른 분절화가 글로벌 공급망 리스크를 확대시킬 것이란 우려도 제기됐다. 국제통화기금(IMF)에 따르면 중장기적으로 분절화 정도에 따라 글로벌 GDP가 0.2~7%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2022년 기준 반도체의 대(對)중 비중이 55%, 자동차의 대미 비중은 40%를 차지하는 등 핵심품목 수출이 미·중에 편중됐다.

또한 우리 경제는 원자재 및 중간재를 특정 국가를 중심으로 상당 부분 수입하고 있어, 분절화가 심화될 경우 생산 차질 및 물가 상승압력이 상대적으로 크게 작용할 전망이다.

보고서는 미·중 무역갈등 여파로 우리 수출이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받을 경우, 우리 총수출액(명목)이 1~1.7%, 실질 GDP는 0.1~0.3% 감소할 수 있다고 추정했다.

이에 대해 김찬우 과장은 "거시적으로 팬데믹 이전과 달리 공급능력 제약으로 인플레이션 압력이 확대되면서, 물가와 경기 간 상충관계(trade-off)가 확대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이어 그는 "중장기적으로 공급망 재편이 성장잠재력에도 영향을 줄 가능성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며 "산업 측면에서 그간 중국 특수로 인해 지연된 구조조정을 추진하는 기회로 활용하는 한편, 지리적‧품목별 다변화 등을 통해 공급망의 복원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