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위원장 "자금시장 안정화 시기 단언 어려워···시장 일일점검"
금융위원장 "자금시장 안정화 시기 단언 어려워···시장 일일점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5대 금융 회장단 간담회···95兆 유동성 공급 
"부동산 연착륙 중요···DSR규제 완화는 신중"
김주현 금융위원장(오른쪽 두 번째)이 1일 오전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열린 5대 금융지주 회장단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김주현 금융위원장(오른쪽 두 번째)이 1일 오전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열린 5대 금융지주 회장단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서울파이낸스 김현경 기자] 레고랜드 사태로 촉발된 단기자금시장 경색과 관련해 5대 금융지주가 95조원에 달하는 유동성 공급 지원안을 발표한 가운데 김주현 금융위원장은 1일 "세계적으로 불안 요소가 많은 상황에서 섣불리 (시장이) 안정된다고 단언하기 조심스럽다"고 밝혔다.

김 위원장은 이날 오전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열린 5대 금융지주 회장단과 간담회를 마친 뒤 자금시장 안정화 시기를 묻는 취재진 질의에 이같이 답했다.

그러면서도 매일 자금시장 동향을 체크하는 등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시장 변동성 확대시 관계기관 및 민간기관과의 신속한 협의를 통해 시장 안정 효과를 높이겠다는 계획을 전했다.

김 위원장은 "이전에는 (시장을) 매크로(거시적)한 관점에서 많이 봤는데 최근에는 마이크로(미시적)한, 문제가 될 수 있는 취약분야에 대해 일일 자금동향 점검식으로 매일 체크를 하고 있다"며 "그 과정에서 조금이라도 문제가 될 것 같으면 바로 관계기관, 민간과 협의해 조치를 바로바로 하기 때문에 훨씬 더 효과적으로 시장에 대응할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최근의 자금시장 경색을 해소하기 위해선 시장 내 신뢰가 크고 건전성이 좋은 금융지주사의 역할이 불가피하다고 강조했다. 이날 KB·신한·하나·우리·NH농협 등 5대 금융지주는 시장 안정을 위해 올해 말까지 총 95조원 규모의 유동성을 공급하기로 발표했다. 유동성 공급은 △시장 유동성 공급 확대(73조원) △채권시장·증권시장안정펀드 참여(12조원) △지주그룹 내 계열사 자금공급(10조원) 등으로 진행된다.

김 위원장은 "최근 금리를 보면 이렇게 짧은 기간 내에 급격하게 오른 경우가 없고, 환율도 마찬가지인데, 기업의 입장에서 급격히 유동성을 줄이거나 하면 굉장히 어려워질 수밖에 없다"며 "그러면 유동성을 공급해줄 수 있는 곳이 어디인지 생각해보면 5대 금융지주가 건전성도 좋고 유동성 공급능력도 상당해서 우리나라 경제 주체들 중 안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정부와 민간 차원의 대규모 유동성 공급 대책이 글로벌 긴축 기조와 배치된다는 지적에 대해선 "당연히 한국은행이 고민을 할 것"이라며 "비정상적인 시장 불안이 있으면 더 큰 문제가 있기 때문에 어떤 국제기구든 긴축을 하더라도 취약계층을 보호하고 비정상적인 시장의 불안 요인, 왜곡을 막아야 된다는 건 공통적 의견"이라고 말했다.

여신전문금융회사, 건설사 등에 대한 은행의 대규모 지원의 동반부실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와 관련해선 "금융사들이 대출해주고, 신용을 공유해줄텐데 부실화되면 당연히 금융사도 어려워질 수 있고, 그런 가능성에 대비해 건전성 관리에 굉장히 노력을 많이 했다"며 "부동산 태스크포스(TF)쪽도 상대적으로 우려가 되는 부분에 대해 건전성 파트를 노력해왔다"고 밝혔다.

대형 증권사를 중심으로 제2 채권시장안정펀드(채안펀드)를 추진하는 데 대한 증권업계의 우려에 대해선 "정부의 재원을 갖고 모든 것에 대응하는 것은 맞지 않고 민간이 해결할 수 있는 부분은 민간이 해결하는 게 맞다"면서 "증권 분야도 문제가 생겼으니 한국증권금융과 한국은행 통해서 지원을 하겠다는 거지만 증권쪽에서도 할 수 있는 것은 스스로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앞서 금융위는 대형 증권사들에 제2 채안펀드를 조성해 자금조달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중소형 증권사들을 지원해달라 주문했다. 이를 두고 증권업계에서 인위적 개입에 따른 시장 왜곡 등 우려의 목소리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최근 부동산PF(프로젝트파이낸싱) 연쇄 부실 우려와 관련해 그동안 부동산 호황기를 타고 수익성 높은 부동산PF 자산을 크게 늘린 증권사들도 일부 책임을 져야 한다는 게 금융당국의 생각이다.

최근 주택담보대출비율(LTV) 규제 전면 완화를 발표한 데 이어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 추가 완화 계획이 있는지에 대해선 "신중해야 한다"고 답했다. 앞서 김 위원장은 지난 27일 무주택자·1주택자를 대상으로 규제지역 내 LTV를 50%로 일괄 완화하고 15억원 초과 아파트에 대한 주택담보대출을 허용하는 부동산 대출규제 완화 방안을 발표했다. 다만, 시장에선 DSR 규제가 있는한 LTV를 완화해도 큰 효과가 없을 것이란 지적이 나오고 있다.

김 위원장은 "지금은 부동산 연착륙이 굉장히 중요하다고 생각하는데, 금융쪽의 이슈뿐만 아니라 부동산정책 전반하고의 조합이 맞아 이뤄져야 해 DSR 하나만 갖고 이야기하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이어 "전반적인 국토부 규제, 기재부 세제 등도 종합적으로 봐야 하는 문제"라면서 "DSR은 어쨌든 과도하게 빚을 지지 말라고 하는 거니까 지금과 같은 상황에서는 DSR을 굉장히 신중하게 해야 한다는 기본적인 생각은 갖고 있다"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