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빅스텝, 환율 급등·자본유출에 대한 정책대응"
한은 "빅스텝, 환율 급등·자본유출에 대한 정책대응"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환율 급등기, 소비자물가 전가율 더욱 높아
5~6% 물가 지속 전망···인상 기조 견지 필요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12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 본회의에서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 한국은행)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12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 본회의에서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 한국은행)

[서울파이낸스 박성준 기자] 한국은행이 역대 두 번째 '빅스텝'(0.5%p 금리인상)을 단행한 배경에 대해 환율 급등을 꼽았다. 환율 상승이 물가상승압력으로 작용하는 것은 물론, 외국인 자본 유출 등 외환시장 리스크로 작용할 수 있다는 관측이다. 한은은 고물가에 따른 성장 손실이 더욱 클 수 있기에 당분간 금리인상 기조를 이어가야 한다는 견해를 재차 강조했다.

한은은 17일 홈페이지 블로그에 게재한 '물가의 추가 상승압력과 외환부문의 리스크 증대로 정책대응을 강화'라는 제목의 글을 통해 이같이 밝혔다. 앞서 한은 금융통화위원회는 지난 12일 기준금리를 한 번에 0.5%p 인상하는 빅스텝을 단행해 기준금리를 2.5%에서 3%로 올렸다. 이는 한은 역사상 첫 빅스텝을 단행한 7월에 이어 역대 두 번째의 빅스텝이었다.

홍경식 통화정책국장은 "높은 물가 오름세가 지속되는 가운데 환율이 물가의 추가 상승압력으로 작용하고 있는 만큼, 지난 8월보다 정책대응 강도를 높일 필요가 있었다"면서 "최근 빠른 환율 상승은 물가의 추가 상승압력으로 작용했다"고 평가했다.

홍 국장은 "지난달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 이후 달러 강세 기조 강화에 엔화·위안화 등 주변국 통화 약세와 무역수지 적자 우려 등이 더해지면서 원·달러 환율이 1400원을 상당폭 상회하는 수준까지 뛰었다"며 "내부 분석 결과, 원·달러 환율 변동은 시차를 두고 소비자물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최근과 같은 환율 상승기와 고물가 시기에는 환율의 물가전가율이 더 높아지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고 전했다.

이어 "주요 산유국의 감산, 지정학적 리스크 등 향후 국제에너지가격 움직임과 관련한 불확실성도 다시 높아진 상황"이라면서 "앞으로 소비자물가는 상당기간 5~6%대의 높은 오름세를 지속할 것으로 예상되는데, 향후 물가경로 상에는 경기둔화에 따른 하방 압력에도 불구하고 환율 상승, 주요 산유국의 감산 등으로 상방리스크가 큰 것으로 보인다"고 진단했다.

외환부문 리스크가 확대된 점도 주요 요인으로 꼽힌다.

그는 "글로벌 달러 강세 기조 강화에서 유발된 환율 상승 기대가 자본유출 압력을 높이고, 외환시장의 쏠림현상을 유발하는 등 국내외 금융불안 요인으로 작용했다"면서 "통화가치 약세 전망은 외국인 투자자가 자금을 회수하거나 만기도래분 재투자를 지연시키는 유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여기에 환율 급등이 직간접 경로를 통해 국내 금융기관의 유동성 사정에 미치는 파급효과에도 각별히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우리나라는 변동환율제를 채택하고 있기 때문에 환율 수준 등을 직접적으로 목표해 통화정책을 운용하지는 않지만, 환율을 통한 물가상승압력 증대와 자본유출입 등 외환부문의 리스크 증대에 대해서는 정책결정시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했다"고 덧붙였다.

이렇듯 상황을 종합해볼 때 당분간 금리인상 기조를 이어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홍 국장은 "국내 경제는 글로벌 경기 둔화의 영향으로 성장률이 점차 낮아질 것으로 예상되지만, 목표 수준을 크게 상회하는 물가 오름세가 상당기간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며 "지금 정책대응에 실기해 고물가 상황이 고착되면 안정화를 위해 더욱 강력한 정책대응이 필요한 만큼, 성장 측면의 손실도 더욱 커질 수 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