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리 급등기, 수신금리도 '빅스텝'···예·적금, 갈아타? 말아?
금리 급등기, 수신금리도 '빅스텝'···예·적금, 갈아타? 말아?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7월 이후 정기예금 56%가 금리 '2.75% 이상'
만기 3개월 미만은 '유지', 이상이면 갈아탈만
한 은행 영업점 창구. (사진= 서울파이낸스DB)
한 은행 영업점 창구. (사진= 서울파이낸스DB)

[서울파이낸스 박성준 기자] 한국은행이 최근 1년여 만에 기준금리를 2% 가량 인상하면서 대출자뿐아니라 예금가입자들도 '갈아타기' 고민에 빠져들고 있다.

금리 급등기를 맞아 대출금리뿐 아니라 예금금리도 워낙 가파르게 치솟자 가입 기간에 따라서는 기존의 예금을 깨고 새로 예적금에 드는 것이 이득일 수도 있기 때문이다. 

11일 한은의 '금융기관 가중평균 금리' 통계에 따르면 7월 예금은행이 신규로 취급한 정기예금 가운데 56.2%의 금리가 2.75% 이상으로 조사됐다.

'2.75% 이상' 금리 구간의 비중은 2018년 이후 올해 1월까지 줄곧 0%였다. 올해 들어서도 2∼3월(0.2%)과 4월(0.8%), 5월(2.5%)까지 극히 미미했다.

그랬던 것이 한은의 잇단 기준금리 인상으로 6월 그 비중이 25.0%까지 급증한 뒤, 7월 빅스텝이 단행되자 단숨에 절반 이상(56.2%)으로 치솟았다. 이어 ▲ 2.50∼2.75% 미만 12.3% ▲ 2.25∼2.50% 미만 9.6% ▲ 2.00∼2.25% 미만 8.6% 등의 순으로 비중이 컸다.

사실상 대부분의 정기예금 신규 가입자가 2% 이상의 금리를 적용받고, 2% 미만의 금리가 적용된 신규 정기예금은 13.3%에 불과하다.

4월만 해도 가장 비중이 큰 금리 구간은 2%에도 못 미치는 '1.50∼1.75% 미만'(21.3%)이었고, '2.75% 이상'은 0.8%에 불과했던 것과 비교하면 3개월 만에 예금 금리 환경이 급변한 것이다.

상황이 이렇게 되자 기존 은행 예·적금으로의 '역 머니무브' 현상과 함께 금융 소비자들의 고민도 깊어지고 있다. 이제라도 기존 예·적금을 깨고 새 상품으로 갈아타는 것이 나은지, 유지하는 것이 나은지 판단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먼저 만기까지 3개월이 채 남지 않았다면, 기존 예금을 그대로 유지하는 것이 더 났다는 지적이다. 정기예금을 중도 해지할 경우 통상 납입 기간에 따라 이자율을 기본금리(우대금리 제외)의 50∼80%만 적용도록 돼 있기 때문이다. 반면 가입한 지 3개월이 지나지 않았다면, 최근 형성된 더 높은 금리의 상품으로 갈아타는 것이 유리하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