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파이낸스 이호정 기자] 박보균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취임 이후 처음으로 게임업계 관계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중국의 판호 발급 확대를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박 장관은 1일 서울 강남구 한국게임산업협회에서 열린 간담회 모두발언을 통해 "지금 업계에서 요구하는 중국의 판호 발급 확대를 위해 외교부, 경제부처와 협력해서 판호 확대를 위해서 특별한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말했다. 이어 주 52시간제에 대해서도 "합리적 운영을 위해 지혜롭게 이 분야에 대처하겠다"고 덧붙였다.
특히 박 장관은 이날 모두발언들 통해 '게임은 문화다', '게임은 질병이 아니다' 등을 자신의 견해를 밝히며 "윤석열 정부 시대, 게임의 공간은 넓게 펼쳐지면서 게임 산업은 확실하게 발전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K-콘텐츠라면 방탄소년단(BTS)이나 '오징어게임', 최근 칸 영화제에 수상한 작품들, 주연 배우들을 떠올리지만, K-콘텐츠의 글로벌 장악력을 따지면 단연 게임이 그 장악력의 맨 앞에 있다"며 "K-게임은 우리 콘텐츠 수출의 70%를 차지하면서 대한민국이 콘텐츠 매력 국가라는 존재감을 과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박 장관은 게임에 대한 질병 인식에 대해서도 "게임은 늘 편견과 오해에 시달려왔고, 게임 과몰입을 질병으로 몰아가는 시선이 엄존하다 "며 "하지만 게임은 질병이 아니다. 그런 장애물을 당당하면서 지혜롭게 대처하고 넘어가겠다. 게임 업계 분들도 절제와 이용자들의 신뢰 회복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고 전했다.
끝으로 그는 "게임 현장에서 필요한 인재를 키우고, 기획, 제작, 유통 전 과정을 저희가 지원하겠다. 규제를 선도적으로 혁신하겠다"며 "이제 게임업계는, 또 게임을 하는 사람은 윤석열 정부 시대에 넓은 공간에서 힘차게 일하고 창작하고 활로를 개척하고 규제의 시달림을 받지 않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간담회에는 강신철 한국게임산업협회장, 황성익 한국모바일게임협회장, 정석희 한국게임개발자협회장, 윤상규 한국VR·AR콘텐츠진흥협회장, 게임산업협회 부회장사를 맡은 12개 게임 업체 대표 및 임원급이 참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