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구소득 10.1%↑, 역대 최대폭 증가···고물가에 소비 '주춤'
가구소득 10.1%↑, 역대 최대폭 증가···고물가에 소비 '주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거리두기 완화로 지출 6.2%↑···실질소비는 0%대 '뚝'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서울파이낸스 김현경 기자] 올해 1분기 가계 총소득이 1년 전보다 10% 넘게 늘면서 역대 가장 큰 폭으로 증가했다. 취업자수 증가와 사회적 거리두기 완화로 근로·사업소득이 대폭 늘어난 영향이다.

소득은 10% 이상 늘었지만 물가 부담이 커지면서 소비(명목기준)는 4.7% 늘어나는 데 그쳤다. 물가상승률을 감안한 가구의 월 평균 실질소비지출 증가율은 0.8%로 크게 떨어졌다. 올해 1분기 3~4%대의 물가 상승률이 이어지면서 소비 심리가 위축된 것으로 분석된다.

19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2년 1분기 가계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전국 1인 이상 가구(농림어가 포함)의 월평균 소득은 482만5000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0.1% 증가했다. 이는 통계 집계를 시작한 2006년 이후 가장 큰 폭이다.

소득 유형별로는 전체 소득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근로소득이 306만2000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0.2% 증가했다. 근로소득이 전년 동기 대비 10% 이상 증가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같은 기간 자영업자 등이 벌어들이는 사업소득은 86만2000원으로 12.4% 증가했다. 이는 2010년 1분기(13.1%)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사회적 거리두기 완화 등으로 서비스업 업황이 개선된 영향이다. 사업소득과 근로소득 모두 두 자릿수 증가율을 기록하면서 전체 소득을 끌어올렸다. 외부에서 들어오는 이전소득은 78만원으로 7.9% 증가했다. 방역지원금 지급 등의 영향으로 정부가 지급하는 공적 이전소득이 9.5% 크게 늘었다.

이진석 통계청 가계수지동향과장은 "지난 1분기 취업자수 증가 등 고용 상황이 개선되고 거리두기 완화에 따라 서비스업 업황이 개선됐다"며 "소상공인 손실보상금 등으로 공적 이전 소득도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반면, 재산소득은 3만2000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0% 감소했다. 물가를 고려한 실질소득은 6.0% 증가율을 기록했다. 가파른 물가 상승으로 실질소득은 명목소득 증가율에 못 미쳤다.

올해 1분기 가구당 월평균 가계지출은 349만6000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6.2% 증가했다. 이 가운데 소비지출은 253만1000원으로 4.7% 증가했는데, 물가 상승률 영향을 제거한 가구의 월평균 실질소비지출은 0.8% 증가에 그쳤다. 물가 상승 영향으로 식료품·비주류 음료(-3.1%), 교통(-6.0%) 등의 지출이 실질적으로 감소했다.

곡물 가격 상승 영향으로 식료품의 명목지출 증가율은 0.9%였는데, 실질지출 증가율은 -3.1%로 집계됐다. 가사 관련 명목지출의 경우 전년 동기 대비 10.4% 감소했는데, 실질 감소폭은 13.8%로 더 컸다. 국제 유가 상승의 영향을 받는 교통부문은 명목지출은 2.8% 늘었지만 실질지출은 6% 감소했다. 국제유가 상승의 영향으로 운송기구연료비(17.5%)가 크게 늘어난 영향이다.

가구당 월평균 비소비지출은 96만5000원으로 1년 전보다 10.5% 증가했다. 경상조세(28.3%), 사회보험료(10.3%), 가구간이전지출(8.9%) 등이 늘었다. 동 분기 기준 경상 조세는 2018년 1분기 32% 증가한 이래 가장 많이 늘었다. 부동산 취득관련세 등 비경상조세는 27.6% 감소했다.

이 과장은 "소비자물가가 크게 상승하면서 명목소득은 많이 늘었지만 이것이 늘어난 만큼 소비지출이 늘어나진 않았다"며 "가처분소득도 많이 증가했고, 흑자율도 많이 올라간 점을 고려해보면 지출이 소득에 비해 회복된 상황은 아닌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