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총 시즌 임박···재계 '신사업·女 이사·ESG' 초점
주총 시즌 임박···재계 '신사업·女 이사·ESG' 초점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삼성전자 제52기 정기 주주총회 (사진=삼성전자)
삼성전자 제52기 정기 주주총회 (사진=삼성전자)

[서울파이낸스 오세정 기자] 오는 16일 삼성전자를 시작으로 국내 주요 상장사들의 정기 주주총회 시즌이 다가온 가운데 기업들이 신규 사업 진출과 ESG(환경·사회책임·지배구조) 경영에 강한 의지를 보이고 있다. 특히 올해 주총 시즌 주요 안건으로 배당 확대와 신사업 재편, 여성 사외이사 선임 등이 오른 만큼 기업별 이사회 구성과 사업의 방향성 등 큰 폭의 변화가 예상된다. 

◇ 배당 확대, 미래 신사업 발굴 '투자자 기대감↑'
 
4일 재계에 따르면 주요 기업들은 배당금 확대를 이번 주총의 안건으로 올린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특수에 힘입어 호실적을 기록하면서 배당금을 대폭 늘렸다.

SK하이닉스는 2021년 주당배당금을 전년 1170원 대비 30% 이상 올려 1540원으로 결정했다. 또 2024년까지 새 배당 정책을 적용하고, 기존 1000원이었던 주당 고정배당금을 20% 상향해 1200원으로 올린다. 아울러 이번 주총에서 정관 개정을 통해 올해 1분기부터 분기 배당도 실시할 예정이다. 

노종원 SK하이닉스 사장은 지난해 및 지난해 4분기 실적 컨퍼런스콜에서 "미래 성장의 결실을 주주들과 함께 나누기 위해 새로운 주주환원 정책을 마련했다"며 "기존 배당정책의 성과와 변화한 대내외 경영환경 등을 반영해 기업 가치 제고에 힘써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효성티앤씨는 보통주 한주당 5만원을 지급하기로 했다. 전년 주당 배당금 5000원과 비교하면 1년 만에 10배나 늘렸다. 앞서 SK는 2015년 통합지주사 출범 이후 최대인 주당 8000원의 배당을 발표한 바 있다. 기아도 작년 기말 배당금으로 전년보다 세배 오른 주당 3000원을 결정했다.

LG전자가 세계적 디지털아트 플랫폼 업체 블랙도브와 손잡고 LED 사이니지에 NFT 예술 작품 감상 서비스를 제공한다. 사진은 기업 로비에 설치된 LED 사이니지에 예술 작품을 띄워놓은 예시 이미지. (사진=LG전자)
LG전자가 세계적 디지털아트 플랫폼 업체 블랙도브와 손잡고 LED 사이니지에 NFT 예술 작품 감상 서비스를 제공한다. 사진은 기업 로비에 설치된 LED 사이니지에 예술 작품을 띄워놓은 예시 이미지. (사진=LG전자)

신사업 추가 역시 주요 안건이다. 기업들이 신사업 확대를 통해 사업 포트폴리오 강화에 나설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투자자들의 기대를 모으고 있다. 

LG전자는 오는 24일 주총에서 '블록체인 기반 소프트웨어의 개발 및 판매, 암호화 자산의 매매 및 중개업', '의료기기의 제작 및 판매업' 등을 사업목적에 추가하는 정관 변경 승인안을 결의한다. 최근 태양광 패널 사업 중단을 발표한 LG전자가 신사업 강화에 속도를 내는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 블록체인, 의료기기 사업을 명시함에 따라 급성장하는 의료기기와 대체불가능한토큰(NFT) 관련 사업 확장에 나선 것으로 보인다. LG전자는 최근 디지털아트 플랫폼 업체와 협업해 NFT 예술 작품을 TV에서 감상하는 서비스 출시를 발표했으며, 디지털아트 전시회에 참여해 NFT 작품을 올레드(OLED·유기발광다이오드) TV로 선보인 바 있다. 또 2017년 홈 뷰티기기 'LG 프라엘'을 시작으로 탈모 치료용 의료기기 'LG 프라엘 메디헤어', 통증 완화 의료기기 ‘LG 메디페인’등을 출시하며 헬스케어 시장을 공략하고 있다.

김광수 이베스트투자증권 연구원은 "LG전자는 지속 가능 및 사업 고도화를 목표로 전사 사업 포트폴리오를 개선해나갈 것으로 보인다"며 "성장성이 분명한 미래사업 중심으로 전장, 로봇, 스마트솔루션(플랫폼), B2B 부문에 대한 투자를 강화하고 신사업 확대를 위한 지분 투자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전력 기기 제조 기업 LS일렉트릭은 신사업 경쟁력 강화 차원에서 전기차 부품 사업을 물적분할한다. LS일렉트릭은 전기차 부품 생산 부문인 'EV 리플레이'를 분할해 신설 법인 'LS이모빌리티솔루션'(LS e-Mobility Solutions)을 설립하는 안건을 오는 28일 주총에서 승인할 예정이다. 분할 기일은 4월 1일이다. 

이 밖에 현대자동차그룹 계열의 물류 기업 현대글로비스는 '수소·암모니아 발전 사업 및 탄소 중립 관련 부대 사업'을 추가한다.

◇ '女 사외이사 모시기'·ESG 강화 움직임도 관건

기업들의 여성 사외이사 선임 움직임도 눈에 띈다. 올해 8월 시행되는 새 자본시장법은 자산 2조원 이상 상장법인의 이사회를 특정 성(性)으로만 구성하지 않도록 해 사실상 여성 이사 1인 이상을 의무적으로 포함해야 한다.

LG그룹에선 LG화학과 LG디스플레이, LG이노텍이 이달 23일 각각 주주총회를 열고 첫 여성 사외이사를 선임할 계획이다. LG화학은 이현주 카이스트(KAIST) 생명화학공학과 교수와 조화순 연세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를, LG디스플레이는 강정혜 서울시립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를, LG이노텍은 이희정 고려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를 각각 선임한다. 

앞서 ㈜LG를 비롯해 LG전자, LG유플러스, LG에너지솔루션 등 계열사들은 지난해 주주총회에서 이미 여성 사외이사를 뽑았다. 이외에도 삼성엔지니어링과 한화시스템, LX인터내셔널 등도 이번 주총에서 창사 이래 첫 여성 사외이사를 선임한다.

이미 여성 사외이사가 있는 삼성전자에선 이번 주총으로 첫 여성 이사회 의장이 탄생할지 관심이 쏠린다. 삼성전자 이사회 의장인 박재완 전 기획재정부 장관은 내달 임기 만료로 물러나는데 후임 의장 후보 중 한 명으로 2018년부터 삼성전자 사외이사직을 맡아온 김선욱 전 법제처장(전 이화여대 총장)이 거론된다. 삼성전자에선 아직 여성 이사회 의장이 나오지 않았다. 

서울 종로구 계동에 위치한 본사 사옥에서 김준호 현대건설 노조위원장(왼쪽부터), 윤영준 대표이사, 김형진 대아이앤씨대표이사가 함께 노사합동 중대재해 근절 협약식을 진행하고 있다. (사진=현대건설)
서울 종로구 계동에 위치한 본사 사옥에서 김준호 현대건설 노조위원장(왼쪽부터), 윤영준 대표이사, 김형진 대아이앤씨대표이사가 함께 노사합동 중대재해 근절 협약식을 진행하고 있다. (사진=현대건설)

기업들이 내놓을 ESG 강화 방안에도 관심이 쏠린다. 먼저 삼성전자는 이번 주총에서 신규 사외이사로 청와대 환경비서관과 한국환경연구원(KEI) 부원장, 국무총리실 녹색성장위원회 민간위원 등을 지낸 한화진 이사를 선임할 계획이다. 또 삼성전자는 ESG 경영 차원에서 올해 주주총회에서 소집통지서와 주주통신문을 발송하지 않고, 이를 전자공시시스템(DART)의 전자공고로 대체하기로 했다.

현대차그룹은 이사회에 ESG 관련 정책 심의와 의결 권한을 부여하기로 했다. 현대차는 4000억원 규모의 ESG 채권을 발행했으며 기아도 ESG 채권 발행을 검토하고 있다.

SK는 이사회 구성원의 역량을 공개하는 '이사회 역량 현황표'(BSM·Board Skill Matrix) 도입을 검토 중이다. 사외이사는 물론 사내이사도 평가 대상에 포함될 것으로 보인다. BSM은 이사회의 전문성을 시각적으로 보여줌으로써 투자자와 주주들이 이사회의 역량을 더욱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 도구다. SK㈜는 이르면 정기 주주총회를 앞두고 이달 초 관련 방침을 공개할 것으로 알려졌다.

국내 주요 기업들이 이번 정기 주총을 전후로 전향적인 탄소배출 감축 방안을 제시할 가능성도 나온다. 앞서 유럽 최대 연기금인 네덜란드 연금자산운영(APG)은 삼성전자, SK하이닉스, LG화학, LG디스플레이, 롯데케미칼, 포스코케미칼, SK, LG유플러스, SK텔레콤 등 국내 대기업 10곳에 탄소배출 감축 요구 서한을 보냈다. 해당 기업들이 주주 질의에 대해 성의 있는 답변을 내놓겠다고 밝힌 바 있다.

특히 이번 주총에서는 지난 1월 27일 시행된 '중대재해 처벌 등에 관한 법률'이 '뜨거운 감자'로 떠오를 전망이다. 산업 현장에서 중대재해 발생 시 사업주나 경영 책임자에 대한 처벌이 가능해졌을 뿐만 아니라 기관투자가와 시민 단체까지 나서 압박의 수위를 높이며 기업에서도 신경을 곤두세우고 있다. 현대산업개발과 포스코 등 산업재해 발생 가능성이 큰 건설, 중공업 등을 중심으로 안전 관리 담당 임원 선임, 조직 구성이 잇따를 것으로 보인다. 중대재해 발생 시 법적 책임을 분산하기 위해 오너 등 대주주가 대표이사나 사내이사를 내려놓는 방식으로 이사회의 구성이 바뀔 가능성도 있다. 


관련기사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